알고 계신 분들도 많겠지만 VR녹화 하는 정보가 없는 것 같아서 간단하게 적어보려 합니다.

우선 내용이 길어서 결과물 부터 올립니다.


노래에서 보컬을 제거한 반주이고 립 모션도 빼둔 모션입니다.


이건 번외로 다른 제작자가 만든 씬 1분 녹화본입니다. 소리는 뺐습니다.



준비물

Eosin video render플러그인 - 다운로드

ffmpeg(다운로드 방법 아래 설명에) - 다운로드

*유튜브 업로드시 프리미어 프로 2019버전 이상 필요



먼저 비디오 렌더 플러그인을 다운받아 zip 안에 있는 Eosin.VRRenderer.15.var파일을 AddonPackages폴더에 추가하고 녹화하고 싶은 씬을 오픈합니다.


Add Atom에서 Misc - Empty 오브젝트를 추가합니다.



Empty 오브젝트를 선택 및 플러그인 탭으로 가서 Add Plugin 버튼을 누릅니다.



Eosin_VRRenderer.cslist 플러그인을 찾아서 불러옵니다.



플러그인이 정상적으로 불러와지면 오른쪽 하단에 프리뷰 화면이 나타납니다.

확인 후 피직스 오브젝트 탭에 가셔서 스케일을 0으로 변경합니다. (오브젝트 구체 모양을 없애기 위해)



얼굴이 프리뷰 화면 가운데로 오게끔 높이와 거리를 조절합니다.(오브젝트 파란색 화살표가 찍는 방향입니다.)

개인적으로 사용해본 결과 캐릭터가 서 있을때 이상적인 높이는 Y값 1.62~1.67 사이였습니다.



위에 사진을 보다시피 룩이 플레이어 화면을 쳐다보고 있기 때문에 시점을 Empty - control로 변경해줍니다.

시점 조정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이 과정은 생략합니다. 



다시 Empty 오브젝트로 와서 Open Custom UI 버튼을 누릅니다.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3D VR을 녹화하고 싶으면 렌더 모드에서 Stereo 옵션을 선택하고 그냥 평면 VR영상을 녹화하고 싶으면 Mono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Stereo Mode는 Static으로 합니다. 

오디오는 디폴트로 녹음이 켜져있으나 씬 오디오가 필요 없을 경우에는 Record Audio를 체크 해제합니다.

만약 씬에 MacGruber_PostMagic(포스트매직)플러그인을 사용 중이면 오른쪽 중간에 Use Post-Processing Effects를 체크합니다.(저는 이 옵션을 체크할때 아래에 있는 버퍼 이펙트도 체크합니다. 뭔지는 모르지만..)



그리고 Seconds To Record 에서 녹화 시간을 지정합니다. *초 단위 입니다.

초당 녹화될 프레임도 설정 해주시고 Smooth Stitching Overlap 옵션으로 포스트 매직 먹히는 양을 프리뷰 화면을 보면서 조정합니다.

비율은 2:1 해상도는 최소 4K에서 최대 8K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8k 이상은 돌리는 기기가 많지 않고, 4k 이하는 화질이 매우 안 좋습니다.)

이미지 포맷은 JPEG로 설정해 주세요. PNG보다 녹화 속도도 빠르고 용량 확보하기에도 좋습니다. (8K VR180 Stereo 60프레임 5분 녹화 JPEG 기준 100기가 내외로 잡아먹습니다.)  

 


셋팅이 끝난 후 Ui를 닫고 F11과 스페이스바를 눌러 MMD 녹화를 시작합니다.(저는 MMD라 스페이스바를 눌렀지만 타임라인 애니메이션 같은 경우에는 특정 지정키나 트리거를 이용해서 녹화하셔야 합니다.)

ESC를 누르면 녹화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녹화 트리거가 필요하신 분은 위와 같이 설정하시면 됩니다.



녹화가 끝나면 Vam설치경로\Saves\VR_Renders 경로에 폴더가 생성되어 있고 들어가면 많은 사진과 오디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제 준비물에 있던 ffmpeg를 다운 받습니다.



빨간 네모칸을 눌러서 다운받고 압축파일 안에 bin폴더에 들어가서 ffmpeg.exe파일만 Vam설치경로\Saves\VR_Renders경로에 압축 해제합니다.(복사해서 계속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가까운 곳에 두는 게 편합니다)



ffmpeg.exe 파일을 폴더 안에 복사 붙여넣기 합니다.

 


복사 붙여넣기 후에 키보드 윈도우키를 누르고 cmd를 검색하거나 Windows powershell을 검색하여 작동하는 프로그램으로 실행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디렉토리를 이동합니다.

cd 본인뱀설치경로\Saves\VR_Render\폴더명


아래 예시

cd C:\VAM\Saves\VR_Renders\20230820-234419


디렉토리 이동이 되었으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 후 실행합니다.

.\ffmpeg -framerate 초당프레임 -i 제목_%06d.jpg -i 제목.wav -c:v libx265 -tune:v fastdecode -level:v 6.2 -crf 18 내보낼파일이름.mp4


아래 예시

.\ffmpeg -framerate 60 -i 20230820-234419_%06d.jpg -i 20230820-234419_008579.wav -c:v libx265 -tune:v fastdecode -level:v 6.2 -crf 18 output5k.mp4 


*만약에 녹화된 사진 장수가 10만단위에서 100만 단위로 넘어가게 되면 제목_%자릿수.jpg임으로 제목_%07d.jpg로 입력하여야 합니다.



명령어가 맞게 잘 입력되었다면 위와 같이 시작됩니다.



인코딩이 종료되면 encoded가 뜨면서 완료됩니다.



폴더에 다시 들어가 보면 동영상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영상을 skybox나 deovr및 vr영상 재생 플레이어로 시청하시면 됩니다.

동영상을 제외한 사진 오디오 ffmpeg.exe는 이제 삭제해도 됩니다. 



유튜브에 업로드 하려면 동영상에 vr 메타데이터가 추가 되어야 해서 아래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빈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하단쪽 미디어 시퀀스 생성 부분에 동영상 파일을 드래그 합니다.



시퀀스 - 시퀀스 설정을 누릅니다



시퀀스 설정 하단쪽 VR속성 부분에서 투영 - 등장방형 / 레이아웃 - 180도 영상은 입체 가로 360도 영상은 입체 세로를 선택합니다. 

가로 캡처한 보기 180도 영상이면 180도 360도 영상이면 360도 / 세로는 180도 선택 후에 확인을 누릅니다.



그리고 영상 미리보기 오른쪽 하단에 스패너 버튼을 누르고 VR 비디오 - 사용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vr영상을 평면 화면으로 변환해주고 편집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소리 싱크가 안 맞는다면 미디어 우클릭 한 후 연결 해제를 선택해서 영상과 소리를 분리후에 소리 싱크를 조절하시면 됩니다.



편집이 완료되어 동영상을 내보내고 싶다면 파일 - 내보내기 - 미디어를 선택합니다.



저장할 파일이름을 지정하고 동영상 해상도랑 프레임이 맞는지 확인 후 아래로 내립니다.


 

VBR, 1패스 선택하시고 4k 영상이면 90Mbps 8k 영상이면 250mbps 셋팅을 추천 드립니다.

비디오는 VR임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시퀀스에 입력한 내용이랑 똑같이 되어 있는지 확인 후 내보내기 하면 됩니다. 

유튜브 비트레이트 공식 링크


막상 적어보니 간단하면서도 간단한 것 같진 않지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카메라맨이랑 응용해서 쓰면 타임라인 없이 움직이게 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