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민술(2챕터의 세계 이름)

색슨인들이 세운 종교적 상징인 기둥의 이름.

게르만 신화의 신 이르민에서 이름을 따옴.


수호자 아세라타(2챕터 식물녀 보스)

엘, 바알을 숭배한 우가리트 신화에서 등장하는 여신.

각 지역에서 자신들이 믿는 주신의 아내로 여겼음.

성경에서 바알과 함께 우상숭배 묘사만 나오면 심심하면 등장

아세라, 아셰라, 아셰라트, 아세라타

읽는 방법도 많음


스네구로치카(3챕터 세계의 이름)

슬라브(러시아)쪽 토종 신앙에서 등장하는 눈의 처녀의 이름

크리스마스와 새해 기간에 어린아이들에게 선물을 주러 다닌다고 함


수호자 스반흐비트(3챕터 엘사 보스)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대장장이 볼룬드의 이야기를 쓴 볼룬드 서사시가 있음.

이 볼룬드에겐 형제가 있었고, 세 명 모두 발키리와 "선녀와 나무꾼"해서 결혼함.

그 중 다른 형제 중 한 명과 결혼한 발키리의 이름이 흘라드구드 스반흐비트.

이름인 Hladgud-Svanhvit는 백조의 흰색이라는 의미가 있음.

좆그오에서는 발키리들이 오딘에게 받은 예장의 이름으로 나옴.


흰곰 헤르뵈르아르타

정확히 헤르뵈르아르타라는 이름의 출전은 알 수 없음

다만 이놈이 섬기는 스반흐비트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발키리의 이름인 걸 감안하면

보통 한국어로 헤르보르 알비트라고 쓰는 발키리의 이름에서 온 것 같음.

헤르보르 알비트는 위의 볼룬드의 형제인 대장장이 뵐란트와 결혼한 발키리의 이름임.

이름인 Hervör alvitr는 모든 지혜라는 의미가 있음


신마라

북유럽 신화의 무스펠하임의 주인인 거인 수르트의 아내로 묘사됨

신모라라고도 씀.

그 유명한 레반테인을 보관하고 있다고 함


에레쉬키갈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명계인 이르칼라를 관장하는 여신.

그리스로마 신화로 치면 하데스....비슷하긴 한데

실제론 이쪽 명계엔 관리하는 명계의 신이 한둘이 아니라는 모양이라

유일한 명계의 지배자인 하데스보단 급은 달릴듯.

씹덕이라면 보통 좆그오에 나오는 버전으로 익숙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