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 건설은 취향이기도 하고 저보다 더 효율적인 설계를 하시는 분들도 많을테지만.


제가 림월드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을때 뭐가 필요한지 몰라서 건물 얼기설기 엮다가 엿을 많이 먹어보기도 했고 


겜을 재밌게 즐기려고 시작했는데 초반 건물가지고 낑낑대다가 시간 많이 날려먹는 사람들을 위해 기초적인 건축방법을 써보려 합니다.


다들 알고 있는 내용일수도 있고, 저도 아직 림월드의 세세한 시스템에 대해서 모르는 부분도 있으니 도움될부분은 알려주시길.





어떤 건축물이 됐건 시설을 설계하기 위해선 먼저 그 시설에 필요한 실이나 공간의 용도를 죽 리스트로 작성 해야해요.


실시설계시엔 시설 이용하는 인원당 필요한 면적까지 산출하긴 하는데, 겜하면서 그정도까지 할필욘 없고 엔딩볼때즘 8~10인 즈음으로 많이 봤기에


그 기준으로 소규모로 만들어 보려 합니다.





기지에 필요한 구역은 주거구역, 생산구역, 방어전력구역 3가지로 분류를 했는데








적어도 여기 적힌 모든 실이 다 필요해요 림월드에선. 뭉뚱그려서 짓는것도 취향인데 적어도 전 이게 편했어요 보기 좋기도 하고.


저중에 농장, 지열을 볼드표기한게 


비옥한땅, 지열 저 두가지는 위치가 바뀔수가 없는, 자연적인 환경에 의해 결정되기떄문에 기지 전체 아웃라인이 저기에 따라 결정돼요


나머지는 다 가변이 가능한데 저 두가지는 기지 설계 아웃라인을 잡을때 키가 될수밖에 없는 요소니까 저 두가지를 보고 위치를 잡아야함.







건축학엔 버블 다이어그램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림월드에선 구조가 전부 평면이라 이 다이어그램만 잘 짜도 설계 90%가 완성돼요.


이게 뭐 거창한건 아니고 밑에그림같은건데 




이걸 위 리스트 실들로 짜봅시다.








이 다이어그램은 실제 실 크기나 모양새도 대강은 표현 한거고,


전 휴게실 면적은 8x10 , 8x11 정도로 잡아요 그 기준으로 다른 실 면적 대강 헤아리면 됨. 증감은 자유


여기서 중요한건 통행로가 어디만 이어져 있느냐에요.



먼저 녹색 주거시설들 보면 휴게실로 모든 통로가 이어져있는데


무조건 문이 많아서 동선 짧아지면 좋지않냐는 궁금증이 들 수도 있음


근데 휴게실, 식당에 비싼 예술품 전부 몰아넣고 그쪽을 통과하게 설계하면 인상적 휴게실 무드가 거의 항시 뜨면서 무드관리에 큰 도움이 돼요




예전에 지었던 기지로 예시 하나 들어볼게요










공간이 좁아서 조제실이랑 연구실도 같이 뭉뚱그렸고 통신실도 수감실도 다른데로 빠지긴 했는데


기본적인 이동루트와 공간분할은 거의 지키고있어요. 작업장으로 가든 킬존으로 가든 밥을 먹으러 가든 휴게소는 반드시 거쳐야함. 


덕분에 무드+


먼저 주거구역부터 설명하면









침실같은 경우는 애초에 증축을 염두에 두고 설계해야 함.


림월드는 인원 증감이 빈번하고 개인침실을 다 지어줘야하기때문에 복도식이 되는게 필연적인데, 복도 먼저 깔고, 


자원 부족한 초반엔 인원에 맞춰 실을 짓고, 인원이 증가할때마다 복도를 길게 잇고 실만 증설하면 간단함.


게다가 침실은 아침에 한번 빠져나오면 낮시간대에 다시 들어갈 일이 없어서 외진곳까지 길게 이어져도 동선에 아무런 영향을 안 줘요.


크기는 개인실 4x3, 부부실 4x4로만 해도 큰 문제는 없었어요



주방은 반드시 양쪽에 냉동고와 곡물창고를 끼고 있어야 해요 이유가 필요함?


냉동고는 전력이 드니까 필요한 만큼 면적만, 곡창은 그냥 넓게 잡아서 잉여분 곡식 비축한다고 생각하세요.


곡물은 평소에도 저장기간 길고, 겨울에도 냉동되어서 보관기간 사실상 생각안해도 되니 남는건 재깍재깍 파시길.




연구/통신설비는 다들 사이즈가 커서 걍 실 하나에 몰아넣는게 편해요. 이리저리 다른데 낑겨넣으면 보기 흉해짐


약품조제실을 병실 옆에 따로 만들어서 생약,뉴트로아민,천, 그리고 생체공학 의수들 바로 갖다쓸수 있게 보관하세요.


보통 수감실이든 병실이든 약품을 많이 쓰게 마련이고 치료나 수술할떄마다 저장고 가서 약품뺴는거 보다가 림들 훅가는 경우가 꽤 있어요.








킬존과 생산시설 모습임.



생산시설에서는 저장고가 주축이 되는데, 저장고 위치를 잡을떄 될 수 있으면 맵 중앙에 가까운 쪽으로 잡도록 노력하세요. 이 기지는 잘못 잡았죠.


맵 중앙에 가까울수록 맵 사방에 흩뿌려진 자원이나 채광품들 끌어모으는데 도움이 돼요.


그리고 목재, 강철, 석재 저장고를 따로 만드는 이유는 일단 제일 많이 쓰이는 소모품인게 첫번쨰.


두번쨰가 림월드의 장애인같은 자원표기 ui를 보기가 정말 힘들어서에요.


저렇게 따로 모아서 저장해놓으면 어느정도 차있는지 빠져있는지 직접 시각적으로 확인이 되는데다 물량도 어느정도 파악이 돼요.


기초자원이 잡템들이랑 섞여있으면 진짜 답도 없어요 꼭 분리하시길바람.




작업실은 작업속도떄문에라도 작업서랍과 모든 테이블을 몰아넣을수밖에 없어요


축사랑 곡물창고를 부출입로로 따로 연결한 이유는 건초나 채소류 식량들 사료로 가공해서 축사로 가져가기가 굉장히 편해져서임.










전체 전경


킬존은 딱 두개면 웬만한 방어는 된다 봐요. 맵구성이랑 적 진입로 멍청하게 잡히면 한개로도 됨.


한곳에 두방향씩 진입하게 만들어서 가운데다 벙커처럼 모래주머니와 포탑 박으면 여태까진 잘 막았는데.. a17은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전력설비는 지열 특성상 군데군데 흩어질 수 밖에 없음. 특히 기지 외곽 밖에 있는 지열은 완벽하게 방어한다는 생각 말고


그게 파괴되었을때 내부 풍력 및 태양열로 버틸수 있는 버퍼를 확보해두시는게 편함. 


태양열이나 풍력 위치는 군데군데 남은 공간에 낑겨넣을 수 있어서 배치가 꽤 자유로운편이긴 한데 아무래도 외벽 안에 넣는게 좋겠지요










a17되는바람에 16꺼 날려먹어서 새로 설계중인 기지에요


맵을 시작하면 위에 언급했던것처럼 첫번쨰로 지열구멍 위치 확인하고, 비옥한 대지 위치를 확인하고 기지 위치와 아웃라인을 그립니다



초반 스타트할땐 전부 다 지으려고 하지 마시고 


먼저 임시로 쓸 가설창고, 침실부터 지으세요. 운이 좋게 이미 지어진 사암벽체가 있어서 저기를 쓸거임.


그리고 계획으로 실 벽체를 그립니다.







먼저 주거시설을 지을때 휴게실 위치부터 잡으시고,


침실, 연구시설은 작업구역과 반대쪽으로 밀어넣으세요. 주방과 부속시설은 생산시설과 밀접하게 붙어야 나중에 축사나 곡물옮길떄 빨라져요.


짓는 순서는 먼저 저장고, 침실, 휴게실, 식당 순이에요. 초반엔 자원도 부족하고 하루만에 다 짓는것도 불가능하니


무드관리에 제일 필수적인것들부터 짓는다고 생각하세요





근데 네시간 썼더니 집중력 바닥나서 더는 못하겠는데, 생산시설 짓는과정은 나중에 이어서 쓸수도 안쓸수도.. 


여튼 부족한글 봐줘서 감사해요


저도 모르는게 아직 많으니 제가 모르는 팁들도 좀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