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4231 시스템, 인천은 343 시스템으로 경기를 시작했음.



인천의 주요 공격방향은 좌측이었는데 좌측 스토퍼까지 높게 전진 / 오버래핑하면서 좌측에서 수적우위를 형성하는 것이 주요한 움직임이었음. 만약 서울의 우풀백이 인천의 좌윙백에 끌려오면 인천의 좌측공격수가 자유로워지는게 됨. 이런 좌측에서의 수적우위가 인천의 전술 핵심이었음.



하지만 서울의 우측공격수 강상우는 원래 풀백, 윙백도 가능한 멀티맨이었기에 인천의 좌윙백를 마킹했음. 동시에 공격형미드필더 팔로세비치가 한칸 내려와 서울은 541형태로 수비대형을 갖췄고 좌측 하프스페이스를 막아내는데 성공함.



인천은 압박 시 523대형, 수비 시엔 541대형을 형성함. 특히 중앙에 3-2 혹은 2-3 대형을 형성하며 패스길 차단에 신경씀. 서울이 442 대형으로 공격했기 때문에 거의 모든 상황에서 중앙에 수적우위를 형성 가능했음. 상황에 따라 팔로세비치, 린가드가 내려오며 중앙에 패스채널을 만들어줬지만 단발적인 상황으로만 끝남.



하지만 포항에서 김기동은 저런 수비 방법을 깨는데 매우 능숙한 감독이었음. 나는 이걸 2&1 시퀀스라 부르는데 풀백이 공을 잡으면  시작되는 공격시퀀스임.


풀백에게 공이 가는 순간 전방의 선수 2명이 동시에 측면과 하프스페이스로 침투를 시도함. 이때 상대의 수비의 횡간격이 벌어지는데 이 공간을 중앙공격수가 점유하면서 자유롭게 공을 잡고 풀백과 2대1 패스를 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것이 2&1 시퀀스의 핵심임.


설령 중앙공격수에게 마크맨이 붙어도 포항에서는 제카, 서울에는 일류첸코처럼 피지컬 좋은 선수가 등을 지는 상황이기 때문에 소유권을 지키고 2대1 월패스가 가능함.



하지만 오늘 서울은 이런 전개에 필수적인 2선의 동시적인 침투와 중앙공격수의 채널링이 전반 이후론 거의 없었음. 때문에 풀백은 패스타이밍을 놓치고 고립되기 일수였고 소유권을 내준 뒤 인천의 역습을 계속 허용했음.


특히 서울의 좌측풀백 이태석은 줄 곳이 없기에 결국 1대1 드리블이 강제되는 상황이 많았고 경기에서 자주 이런 모습이 반복됨.


2선은 2선대로 의미없는 스프린트와 백코트가 반복되면서 체력을 소모하면서 결국 아래에서 다룰 간격문제로 이어짐.



그렇게 무의미한 공격작업과 스프린트가 반복되면서 서울의 공간은 벌어졌고 인천은 후반전부터 노골적으로 역습을 노리기 시작함.


특히 무고사의 움직임이 눈에 띄였는데 서울의 중앙수비 한 명을 끌고 오는 더미런을 잘 수행해줬고 이로인해 발빠른 인천의 측면공격수들이 전방으로 침투할 환경이 조성됨.



서울은 전체적인 팀의 에너지레벨과 측면에서 약속된 움직임이 부족함. 특히 기성용의 투볼란테 짝을 제대로 찾지 못하면서 중원에서 안정감도 많이 부족한 상황임. 김주성과 권완규의 센터백 라인도 기량적으로 많이 부족한 조합이기도 하고 3선 문제까지 겹치면서 수비조직력 문제도 여실히 보여줌.


인천은 요 몇년 사이 좋은 팀이 됐음. 343 시스템을 메인으로 측면에서 폭발적인 에너지레벨과 무고사, 제르소라는 특색 있는 공격진까지 갖춘 팀임. 하지만 올 시즌 2경기에서 결정력의 문제가 반복되며 2경기 승점 1점에 머무르고 있음. 51000명이라는 기록적인 관중이 왔지만 서울은 곳곳에 산재한 문제점을, 인천은 결정력이라는 문제점을 보여주며 비판 받을거로 보임.


====================================================================================


종축챈은 후기글에 개추가 후해서 참 좋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