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의 <동백꽃>


<전체 줄거리>

 

내가 점심을 먹고 나무를 하러 갈 양으로 산으로 올라서려는데, 점순네 수탉이 아직 상처가 아물지 않은 우리 닭의 면두를 다시 조아서 선혈이 낭자했다. 나는 작대기를 들고 헛매질만 하여 떼어 놓았다.

 

나흘 전에 점순이는 울타리를 엮는 내 등 뒤로 와서 더운 김이 홱 끼치는 감자를 내밀었다. 나는 그녀의 손을 싹 밀어버렸다. 뒤를 돌아본 나는, 쌔근쌔근 하고 독이 오른 그녀가 나를 쳐다보더니 나중에는 눈물까지 흘리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다음날 점순이는 자기 집 봉당에 홀로 걸터앉아 우리집 씨암탉을 붙들어 놓고 때리고 있었다. 점순이는 사람들이 없으면 수탉을 몰고 와서 우리 집 수탉과 싸움을 붙였다.

 

하루는 나도 우리 집 수탉에게 고추장을 먹이고 용을 쓸 때까지 기다려서 점순네 닭과 싸움을 붙였다. 그 보람으로 우리 닭은 발톱으로 점순네 닭의 눈을 후볐다. 그러나 점순네 닭이 한 번 조인 앙갚음으로 우리 닭을 쪼았다.

 

점순이가 싸움을 붙일 것을 안 나는 우리 닭을 잡아다가 가두고 나무하러 갔다. 소나무 삭정이를 다면서 나는 고년이 목쟁이를 돌려놓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점순이가 바윗돌 틈에 동백꽃을 소복이 깔아놓고 앉아서 닭싸움을 보며 청승맞게 호드기를 불고 있다. 약이 오른 나는 지게 작대기로 점순네 큰 닭을 때려 죽였다. 그러자 점순이가 눈을 흡뜨고 내게 달려든다.

 

다음부터는 그러지 않겠느냐고 다짐하는 점순이에게 그러마고 약속한다. 그리고 뭐에 떠밀렸는지 점순과 껴안은채 노란 동백꽃 사이로 넘어져 파묻히게 된다. 점순이의 향긋한 냄새에 정신이 아찔해진다. 

이때 점순이는 어머니가 부르자 겁을 먹고 꽃 밑을 살금살금 기어서 내려가고 나는 산으로 내뺐다.

 

<구성>

 

◆ 발단 : 닭싸움으로 나의 화를 돋우는 점순이(현재)

◆ 전개 : 나흘 전의 감자 사건과 우리집 닭을 괴롭히는 점순이(과거)

◆ 위기 : 닭싸움에 대한 나의 반격과 실패(과거)

◆ 절정 : 점순네 닭을 죽인 후, 두 사람의 화해(현재)

◆ 결말 : 점순이 찾는 소리에 흩어지는 두 사람(현재)

 

<등장 인물>

 

◆ 나 : 소작인의 아들로 우직하고 순박한 청년. 점순의 구애를 이해 못하고 거절하나 결국 닭싸움을 계기로 그녀의 구애를 받아들인다.

◆ 점순이 : 마름집의 딸로 깜찍스럽고 조숙한 처녀. 적극적인 행위로 자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개성적, 동적인 인물.


<한 눈에 보기>

 

◆ 갈래 : 단편소설, 순수소설, 애정소설, 농촌소설

◆ 배경 :

     ▷ 시간적 → 1930년대의 어느 봄날

     ▷ 공간적 → 인심이 후하고 소박한 사람들이 농사를 지으면서 사는 강원도의 어느 산골마을

◆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 표현상 특징 :

     ▷ 향토적이고 해학적인 문체 구사

     ▷ 비속어, 사투리, 구어 등이 쓰인 토속적 문체

     ▷ 간결하며, 독백체의 효과적 활용

◆ 갈등구조 : 점순이와 '나'와의 심리적 갈등

◆ 주제 : 산골 마을 남녀의 순박한 사랑








< 점순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