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x=실험자체를 시도안하고 논문만보고 판단함

아르곤 국립 연구소(미국) - 실험x - 비관적으로봄(사이언스지 게재)

난징대학교 물리학과(중국) - 실험x - 비관적으로봄(사이언스지 게재)

화중과기대학(중국) - 실험완료 - 1차 부분성공 (재시도중)
(영상에서 말하듯 반자성으로 보여진다함. 번역엔 초전도체라고 나오는데 일부러 오역한듯)

중국과학원물리연구소(중국) - 실험x - 비관적으로봄

고체화학 및 에너지 연구실(프랑스) - 실험x - 비관적으로봄

인도국립물리연구소(인도) - 실험완료 - 1차 및 2차실패 (3차재시도중)


앤드류매칼립(GE쪽 공학자) - 실험중 - 금일15-16시쯤 굽기및 테스트완료될듯
(눈문대로 순도높은 재료구한다고 늦게 실험)

동남대학 손월교수 - 실험중 - 테스트중(곧 결과업뎃할듯)

半导体与物理 - 실험완료 - 반자성체로 나옴(결론 실패)

科研农民工 - 실험완료 - 반자성체로 나옴(결론 실패)

关山口男子技师 - 실험완료 - 반자성체로 나옴(결론 실패)

익명(중국연구자) - 실험완료 - 1,2차 실패(결론 실패)

아이리스 알렉산드라(러시아/IGB-RAS 분자생물학자) - 실험완료 - 반자성체같은 초전도체인듯하다고 함
(결론 실패-재시도중)

Nimo(이스라엘공대졸업생) - 실험완료 - 제작자 추론-초전도체인지..상자성체인지..반자성체인지 정확한 판단을 못내리겠다고함-저항값0 확인. 이걸론 초전도체 설명 불가(맞닿은부분이 떨어지면 상자성체처럼 전면이 붙는다함.. 이부분은 퀀텀 공개영상에서도 확인가능 ..)



전반적으로 특이성 반자성체라고 보고있네요.. 초전도체는 저항값0이 나와야하는데.. 저항값측정에서 0수렴을 하지않아 특이성 반자성체로 봅니다.. 공중부양과 같은 마이스너효과가 나타나지만 반자성체처럼 부분 공중부양만 나타나서 그런거같네요.. 반자성체의 현상은 유툽에 검색해보시면 쉽게 현상을 보실수있습니다.. 특이성이라 명명하는이유는 일빈적인 반자성체보다 강한 반자성 현상을 나타내서 그러는거같네요

개인적으로 조금 덫붙여 설명하자면..
결국 퀀텀영상에서는 저항측정값도없고, 기본적인 테스트 환경조건 및 시료 재료확인 영상도 없었습니다..
간단한 테스트기로 1-5초내외도 측정할수있고 이것만 영상올렸더라면
논문이 똥이라도 이정도의 비판적으로 세계학회 및 연구기관들이
비관적인 내용을 말하지않았을텐데말이죠....
특허야 황우석박사 조작논문때에도 한국 미국 특허등록 했습니다.....
상온 초전도체 이론은 이미 네이처에 90년도말에 등재되었다가 시현을 못해서 결국 논문 철회되었습니다.
이번엔 그렇지 않길바라겠습니다..
저도 미생물 연구자로 2-30대 청춘을 받쳤기에 조심스럽게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