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경제일반인의 입장에서 공급수요를 기준으로 써봄

"기본소득제 N원을 전국민에게 무상배분하면, 시장에서 모든 물품이 X만큼 폭등한다"

가 성립하려면 다음을 만족해야 함

1. 수요가 급증해서 X만큼 오른다,
2. 혹은 공급이 폭락해서 X만큼 오른다


1의 경우, 우려할만한 폭등이 생기려면 한 종목만 사람들이 집중적으로 사야함.
여러사람이 여러개를 사는 경우 그만큼 인플레이션 상승폭은 완만해지게 되있음

2의 경우, 기본소득으로 실업상태 만족 -> 인건비 상승 ->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야 하는데
원자재 비율이 높은 상품일수록 상승률이 완만해지고, 오히려 노동시장 경쟁률이 낮아져서 취업하기 편해진다는 가정으로 이어질 수 있음

그리고 무엇보다도, 저 명제가 성립한다면
저 역도 성립해야 된다는 말이 됨
시장이 인과관계가 제대로 작동한다면 말이지

"전국민에게 기본소득 N 만큼 뜯어내면, 그럼 시장에서 물품이 X만큼 가격하락하는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이 말도 성립하게 된다는 소리가 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