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024776&code=61121111&cp=nv

제천여성도서관이 ‘남성 차별’이라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시정 권고에 따라 남성의 도서 대출을 허용키로 한 것을 두고 온라인에서 여성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충북 제천시가 운영하는 이 도서관은 ‘남성 차별’이라는 인권위의 시정 권고를 받아들여 이달부터 남성에게도 도서 대출 서비스를 허용하기로 했다. 2011년에 이어 최근 한 민원인이 제천여성도서관을 대상으로 “공공 목적의 도서관을 여성만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차별”이라는 취지의 진정을 냈고, 이를 인권위가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그간 남성들의 이용 허용 요구에 도서관 측은 “여성 전용 도서관 운영은 기증자 의사를 따르는 것으로 남녀 차별 문제와 무관하다”고 해명해 왔다. 하지만 인권위는 “제천여성도서관이 행정력과 공적 자원으로 운영되는 공공시설임에도 합리적 이유 없이 남성의 이용을 배제한다”며 “기증자의 의사를 존중하더라도 그 의사는 참고하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인권위의 판단에 6일 “증여자의 기부 목적과 도서관 설립 목적보다 도서관을 이용하지 못하는 남성의 불편함이 더 중요하냐” “‘여성 혐오’는 무시한 채 ‘여성 전용’은 없애려 한다”는 분노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여성 커뮤니티 회원들은 “설립자의 취지가 ‘여성의 교육 기회 차별의 해소’인데 20대 남성의 민원으로 인해 남성이 사용 가능한 도서관이 된 것이 말이 되냐”며 “일반 도서관이 여성 전용인 것도 아니고 여성의 교육 기회 차별로 인해 세워진 뜻이 있는 도서관을 역차별로 항의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인권위 홈페이지에 반대 의견을 피력했다.

인권위 관계자는 “홈페이지에 올라오는 민원들은 확인이 됐다”며 여성들의 거센 반발을 인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민원 성격에 따라 답변이 나오는 기간은 다르지만, 최장 기간은 28일이다. 답변 기한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말할 수 없다”고 전했다.


제천여성도서관의 남성 도서 대출 서비스 폐지를 요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도 등장했다. 청원인은 5일 ‘제천여성도서관의 남성 도서서비스의 중단, 폐지를 요구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 글을 올렸다.

청원인은 “개인의 사적인 의견은 공공시설 운영 목적을 반하여 우선시될 수 없다”며 “제천에 시립도서관을 포함한 공용도서관은 수도 없이 많다. 인권위는 여성의 안전한 공간을 단지 있지도 않은 차별이라며 빼앗고 남성에게 권리를 손에 쥐여주는 일이 옳다고 생각하냐”고 주장했다.


이 청원은 7일 오전 9시 기준 100명 이상이 동의한 상태다.


ㅅㅂ  펨교조 청원은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동의했는데도 무시했는데 얘네들은 100명만 청원동의해도 기사가 올라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