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kakao.com/v/20210707120305706

8일부터 새로운 거리두기 개편안 3단계를 수도권에 적용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현재의 거리두기 체계를 14일까지 유지하기로 가닥이 잡힌 셈이다. 당국은 새 거리두기 3단계 조치를 적용하는 경우 기존 조치에 비해 개인 방역은 강화되지만 유흥시설 운영 재개, 실내체육시설 운영시간 제한 해제 등 다중이용시설의 방역 조치 완화로 전반적인 방역 대응이 완화되는 것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우려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20~30대 이용빈도가 높은 지역에 대한 집중적 선제검사, 10시 이후 숙박업소 내 음주 점검, 방역수칙 위반 시 ‘원스트라이크 아웃’을 통한 10일 이상 영업 정지 등의 방역 수칙 강화를 병행키로 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올해 들어 처음으로 확진자가 8일 연속 700명 이상을 기록하는 등 4차 대유행이 본격화된 만큼 고강도 방역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는 "이제 4차 유행으로 들어섰고, 아직 정점이라고 보기도 어려운 만큼 기존 유행보다 유행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 수도권 외에는 유행 상황이 안정적이지만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방역 단계 격차가 심하면 ‘원정 음주’ 등의 풍선효과가 우려된다"며 "전국 2단계 격상과 함께 클럽, 노래방 등에 2~3주만이라도 영업 제한을 해 큰 비는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앞으로 상황은 더욱 악화될 수 있다"며 "거리두기 단계를 신속히 격상하고 방역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거리두기 격상으로 우려되는 소상공인의 부담과 관련해 "예측불가능한 상황이 더욱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국민들의 자율적인 방역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천 교수는 "정부가 3단계 격상을 하지 않는다면 국민 스스로가 3단계에 준하는 방역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며 "직장, 학교, 학원 등 밀집시설에서는 자가검사를 적극 진행하는 한편 온라인 수업을 늘리고 모임 자제, 마스크 착용 준수 등 철저히 방역 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문재앙 정부특)전문가 말 안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