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영어사전 뒤져가며  NovelAI Unofficial Knowledgebase (miraheze.org) 는 한번 쭉 정독은 하고 왔음. 근데도 모르는 건 모르겠드라. 내가 형태소라는 거에 대해서 이게 뭔지 진지하게 고민을 하게 될 일이 생길 줄은 몰랐는데 말이야. 이게 알면 알수록 90% 안다고 90% 쓸 수 있는게 아니고 90% 알아도 10%도 활용을 하기 어려운 거 같아서 초보자 입장에서 도저히 이해가 안 가는 부분들을 정리해 보았음. 혹시 몇 가지 본인이 아시는 게 있다면 살짝만 귀뜸만 해 주시면 하루 종일 해메이는 초보에게 너무 도움이 될 거 같음. 


1. AI라 160센티가 큰 키인지 작은 키인지, 물리량을 판단을 못한다는 건 알겠음. 그럼 이건 인식을 하나(인식이란 말은 AI구조상 이상하지만 어쨌건)


A는 B보다 크다. B는 C보다 크다. A는 C보다 큰가 작은가?

A의 길이는  B의 3배이다. C의 길이는 B의 다섯 배이다. C의 길이는 A의 몇 배인가?



이걸 AI가 인지를 할 수가 있나? 아니면 인지를 못하는 게 당연하고 A와 C의 관계는 내가 항상 로어나 메모리나 이런 곳에 적어 줘야 나는 건가? 


2. 연재 글들을 보면 EVENT : 뭐시기 뭐시기, Descripte : 쏼라쏼라,  이런 걸 하면 AI가 : 뒤의 내용을 알아서 채워준다는 거 같은데, 이런 명령어들이 따로 정리되어 있음? 


그리고 : 사용하는 방법이 잘 이해가 안 감. 뭐 character name : 뭐 이런식으로 해도 AI가 이름 막 만들어 주고 그런 경우도 있었던 거 같은데 


3. 위의 명령어 외에도  NAI 무작정 따라 하기! – 3 (실제 진행, Input과 Script) - 텍스트게임 채널 (arca.live) 를 참고하면 로어북으로 명령어를 만들어 쓸 수 있는 거 같은데 잘 이해가 안 감, 실제로 내가 0에서 로어북 토씨하나 공백하나 안 틀리고 똑같이 베껴도 내 명령어는 동작을 안 하더라구. 구조를 보면, A 부분이 [ Keep all of the details and repeat the input in a more literary manner. ]  이고 B가 해당 명령어 [ Repeat: OPENING이 


[ Input: I swung my sword at the savage. ] [ Repeat: I drew out my weapon, swinging it sharply downwards on an enemy that was already upon me. The savage screeched before collapsing to the ground without so much as a word being uttered by him. ]

##[ Input: I hit the monster hard in the stomach with my foot. ][ Repeat: With great force, I kicked the beast between its legs. It grunted loudly but did not fall over from such a blow, only raised its head up to glare back at us threateningly. ]

[ Input: She threw a tantrum. ] [ Repeat: She immediately threw a tantrum. Her tail swished left and right wildly while she continued to wave her little arms about in front of her chest as if trying to grab his attention. ]

----


이렇게 3개의 예시인 거 같은데, AI에게 A는 지시고, B는 명령이고 C는 예시다라는 걸 어떻게 인식을 시킴? 그리고 오프닝에 ⁂가 -2 편향 있는 건 너는 ⁂ 쓰지 말라는 건가?


이거 사실 데이터 베이스에도 스웜 (벌레무리)봇 예시로 커맨드가 아닌 특이한 캐릭터 설정 하는 법 설명한 거 같은데 그것도 잘 이해가 안 감. 노 베이스에서 예시만 보여서 명령어를 뚝딱 만들어 낼 수가 있나? 그럼 그 명령어가 제대로 동작을 하나? 그건 사람도 힘들거 같은데. 


4. 로어북 설정에서

Prefix

Suffix

token budget

reserve token


이것들은 대체 뭔 의미인지는 모르겠음. 뒤의 둘은 숫자 집어 넣는 건 알겠는데 전치사 후치사는 무슨 의미인지, 어떤 변수를 집어 넣어야 하는 건지도 모르겠네....


5. Phrase를 - 편향 한다는 건 그 표현을 피한다는 의미고, 예를 들어 코끼리가 나올 때, '그 코가 긴 동물' 이런식으로 한다는 거고 token을 ban한다는 건 아예 코끼리 생각을 못하게 한다는 건가? 사람에게는 불가능한 거지만. 


6. 혹시 뜬금없는 표현이 어디서 튀어나왔는지 검사할 방법이 있나? 예를 들어 slice of life 물을 쓰는데, 메모리나 모듈이나 로어나 다 뭘 집어 넣은 게 없는데 스타워즈의 클론 트루퍼 같은 내용이 튀어나온다면 이게 어디서 온 건지 역추적할 수 있나?


7. trim은 잘라낸 다는 거고 insertion type 은 어떻게든 집어 넣는 거와 관련이 있다는 건 알겠는데 

trim down

maximum trim type

insertion type 이 결국 무슨 소린지 모르겠음. 뭘 선택하면 뭐가 어떻게 달라지는 거지? 



8. ⁂랑 ***랑 ----랑 다른 게 있음? 데이터베이스에는 장면 종료를 알리는 거라고 비슷한 거라고만 적혀 있던 거 같은데. 공백 하나에도 의미가 있는 데 이것들이 똑같을 리는 없을 거 같은데 



9. 메모리에다 우선순위 -900 박아놓고 [Joe is 150 centimeters tall. ] 라는 명시적인 문장을 박아 놓아도 Tell me how tall Joe is: 뭐 이런 입력을하면 170이랬다가 160이랬다가 180이랬다가 대충 그쯤에서 왔다갔다 하던데, 이게 왜 이런 거임? 인식이 안 된 건가?


그리고 메모리에는 저렇게 적혀 있는데 로어북의 Joe 항목에  [Joe is 200 centimeters tall. ] 이런 문장이 있으면 AI는 Joe의 키를 얼마라고 생각하지? 그냥 제 맘대로 어쨀 땐 150이라고 하고 어쩔 땐 200이라고 하나? 로어북 우선순위는 -600쯤이라 하면. 


더해서, 메모리에  [Joe is 200 meters tall. ] 아무런 맥락 없이 치면 조의 키는 200미터라는 건데, 따로 다른 언급이 없으면 인간의 키가 200미터인 경우보다 내가 오타친 경우인 확률이 높으니 AI가 평범한 사람인 거 같은 조의 키를 200미터라고 인식을 안 하나?


10. 긴 이야기를 쓸 때는 잠깐 끊어가면서 이전의 내용을 요약하고 로어북 및 메모리 업데이트를 해야 한다고 들었는데, AI에게 처음부터 현재까지, 혹은 특정 부분에서 특정 부분까지의 내용을 요약 시킬 수 있음? 예를 들어 내가 현재까지 진행한 것을 Scene으로 구분해서  Scene 1~5를 진행했는데,  AI보고  Scene 3~5의 내용을 요약해봐. 뭐 이런 걸 시킬 수 있음? 아님 내가 직접 써야 함?


11. AI에게 어느 정도의 추론 능력을 기대할 수 있음? 예를 들어 내가 AMY라는 여성이 아시아인이라는 정보만 주고 AMY의 머리색을 물었을 때 검은색이라 대답할 수 있다면, 이 여성은 강도와 마주치면 바로 두 손 들고 다 털리겠지만 BOB이라는 덩치 크고 사나운 백인 남성은  총 든 강도와 마주쳤을 때 비록 상대가 총을 들고 있더라도 맞서 싸울 생각을 한 다던지. Darla는 AMY와 같은 조건의 여성이라고 해도 BOB이상으로 공격적이고 사납다는 성격특성을 넣으면 맞서 싸울 생각을 한 다던지.   이것도 추론이라고 해주기는 애매하지만.....


12. 내가 로어북에 Cindy라는 등장인물을 만들었다고 치면, 키워드로 자기 이름 Cindy가 있다고 치더라도 등장하기 이전에는 이름이나 키워드가 불릴 일이 거의 없잖음. 그런데 AI가 진행하는 이야기에서 등장인물을 첨 등장 시키려면 그냥 강제 활성화만 켜 놓으면 알아서 어떻게든 AI가 Cindy를 이야기로 끌어들임? 이건 로어북에 설정한 개념이나 설명도 마찬가지인가? 


13. advance의 stop seqeunces는 뭔 의미임?  특정 토큰 넘버에 닿으면 AI보고 문장생성(생각)을 멈추란 의미인 거 같은데.... 



14. 글 쓰는데 AI 모델이나 모듈, 프리셋 영향이 큼? 나는 판타지가 아니라 현대를 배경으로 한 일반 소설을 쓰고 싶은데 어떤 세팅이 가장 어울리거나 완전 우월한 세팅이 있음?



15. 로어북이나 메모리에 동태적인 설정을 하면 반영이 됨? 로어북에 '이 숲의 면적은 1년 1% 단리로 성장한다. 1500년의 면적은 1000제곱미터였다.' 이렇게 적어 놓으면 본문에서 1530년의 이야기를 할 때 이 숲의 면적이 1300제곱미터라는 걸 AI가 알고 있을 거라는 가정을 할 수 있나?



우선 내가 알고 싶은 걸 정리하기 위해 올림. 

혹시나 NAI FAQ모음집이라도 하시는 분 알려주시면 감사. 근데 영어는 어떻게 사전 들고 해석한다고 하더라고 설명 자체를 잘 못 알아 먹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