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정돈 귀엽지


툴붕이들 붙어서 떨어지질 않는

더 강력한 빈대가 왔단다


빈대는 모기보다 지능이 떨어져 여기저기 드문드문 물지 않고 피가 잘 나오는 곳을 찾을 때까지 한 번에 수 방에서 수십 방 씩 이동하며 계속 물어 뜯는다. 이 때문에 보통 발끝이나 팔끝에서 시작해서 직선으로 또는 둥글게 물린 자국이 생기는 특징을 보인다. 혈관을 찾지 못해 몸을 기어다니다 대충 피부가 연하다 싶은 곳은 다 찔러보기 때문이다. 물린 자국도 모기와 다르다. 모기에 물리면 물린 곳을 중심으로 볼록 튀어나오지만, 빈대에 물리면 평평하게 빨갛게 부어오르거나, 송곳으로 피부를 찌른 듯 직경 0.5~1.0 mm 정도로 움푹 파인다.


빈대에 의한 상처는 모기보다 훨씬 가렵고 따갑다. 빈대에 물리면 처음에는 뻘겋게 될 뿐이지만, 10~24시간이 지난 후부터 극도의 가려움이 발생한다. 긁거나 건드릴 경우 빠른 속도로 물집이 확대되며, 심하면 흉이 질 수도 있으므로 조심하여야 한다. 빈대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이라면 물린 자리 하나 하나마다 직경 0.5~1 cm 남짓한 새빨간 반점들이 생긴다. 물린 자리는 상피세포의 증식을 저해하는 독소 때문인지 잘 아물지 않고 1~2주 가량 이상 이어진다. 이 때문인지 빈대를 겪어본 적이 없는 사람들은 해외 체류 중 빈대에 물린 상처를 피부병으로 오인하기도 한다.


빈대에 물리면 가려워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이곳 저곳 벅벅 긁다가 아파서 잠에서 깨기를 반복한다. 제대로 수면을 취할 수 없어 생활 리듬에도 큰 악영향을 받으며, 몸은 긁다 벗겨진 상처 투성이가 된다. 민감한 사람은 빈대가 흡혈하면서 인체에 주입한 물질에 심한 의주감(蟻走感, formication)[3]을 느낀다. 이마ㆍ귀ㆍ코ㆍ목ㆍ팔ㆍ다리 등 피부에 대낮에도 빈대가 스멀스멀 기어가는 듯한 환촉(幻觸)이 생기는데, 시도 때도 없이 온몸에서 느껴지므로 미치고 환장한다.

해충을 연구하는 전문가에 따르면 가려움, 감염, 알레르기보다 더 큰 빈대의 해악은 정신적인 피해이다. # 여행객은 물론, 많은 유학, 연수생이나 워킹홀리데이, 해외 취업자들이 한국에서 빈대를 경험하지 못하다가 외국에 나가 노이로제에 시달릴 만큼 심한 빈대 피해를 겪는 사례가 보고된다. 특히 빈대가 있는 줄 알면서도 사정상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면, 잠자리에 들 때마다 '오늘은 몇 방이나 물릴까.' 하는 걱정 때문에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한다. 평소라면 무시할 만한 수면 중간의 간지러움마저도 빈대로 오인하고 불을 켜서 확인하곤 하는데, 이 짓을 매일 밤마다 반복하면 정말 아무리 정신력이 강한 사람이라도 버틸 수가 없다. 잠에서 깨거나 멍 때리다가 정신을 차리면 모기는 날아가는데 빈대는 날지 못하니 그대로 붙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