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hysicsworld.com/a/lidar-sensors-and-tunable-lenses-could-help-create-autofocus-glasses/

https://www.reddit.com/r/AR_MR_XR/comments/zlxd2l/lidar_sensors_and_tunable_lenses_could_create/

비주얼 시연

전자적으로 조정 가능한 렌즈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맞춤형 프레임의 3D 모델 및 최종 프로토타입. (제공: Biomed. Opt. Express 10.1364/BOE.471190 © The Optical Society)



나이가 들어 눈이 가까이 있는 물체에 명확하게 초점을 맞출 수 없는 사람들이 무엇을 보고 있든 올바른 시각적 선명도를 제공하도록 자동으로 조정되는 안경을 갖는 것은 오랫동안 꿈이었습니다. 빛을 망막에 정확하게 집중시키는 수정체의 능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노안은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악화로 인해 60세 이상의 많은 사람들은 더 이상 1미터 반경 내에서 아무것도 명확하게 볼 수 없습니다. 약 20억 명의 사람들이 이 상태로 살고 있습니다.


자동 초점 기능을 갖춘 "튜너블" 렌즈의 상용화는 수년이 남았지만, 튀빙겐 대학의 연구원 들은 Biomedical Optics Express에서 고체상태의 LIDAR 카메라 피드백 시스템으로 제어되는 액체 멤브레인 기반 튜너블 렌즈의 기능을 시연하고 연구 결과를 보고했습니다.


액체 멤브레인 기반 렌즈는 액체가 챔버 안팎으로 펌핑될 때 모양이 변하는 멤브레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멤브레인의 곡률은 곧 렌즈가 됩니다. 연구자들은 노안 교정에 사용하기 위한 시력 및 콘트라스트 감도에 대해 이러한 유형의 조정 가능 렌즈를 평가하고 수차 특성을 평가했습니다. 제1저자인 Rajat Agarwala와 동료들은 또한 처리 시간이 40ms인 현재 판매되고있는 휴대용 LIDAR 카메라를 기반으로 피드백 메커니즘을 제작하고 이를 사용하여 렌즈의 작동 가능성을 시연했습니다.


이 연구에는 안과 검사를 받은 후 참여한 눈이 건강한 성인 15명이 포함되었습니다. 테스트 전에 안구마비제를 투여하여 시력을 변경하는 눈의 능력을 차단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조정 가능한 렌즈가 들어 있는 맞춤형 안경형 프레임 프로토타입을 착용하고 시야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LIDAR 카메라를 이마에 묶었습니다.


연구원들은 참가자들이 외부 디스플레이를 세 거리에서 보고 키보드를 사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했을 때 시력을 평가했습니다. 또한 렌즈를 구동하는 시선 추적 및 깊이 센서 데이터와 함께 렌즈를 사용하여 콘트라스트 감도 및 초점 재조정 작업을 평가했습니다. 조정 가능한 렌즈가 장착된 LIDAR 카메라는 노안을 위한 조정 가능한 안경 개발을 위한 3D 거리 추정기로서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팀은 넓은 시야와 함께 낮은 웨이브프론트 오류와 빠른 전력 전환을 관찰하여 안과 응용 분야에서 렌즈의 상당한 잠재력을 보여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