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퀘2 팔았다가 화질 개선됐다는 소식에 꽂혀서 퀘3 산 케이스라

Snapdragon XR2 Gen 2 platform에 관심이 많은 상태였음. 


흔히 '화질이 좋아졌다'라는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워낙 많은 것 같아서

정리를 좀 해봤는데 맞는지 검증 부탁함.


머리 깨지겠네.

=========================================================



AV1은 코덱의 일종이다.

영상 및 동영상을 인코딩-디코딩할 때 쓰는 거다.


코덱이 왜 필요하냐면 

생으로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비효율적이라  

손실-비손실 압축 알고리즘 등의 방법을 이용해 저장한다.


인코딩, 디코딩 작업이 큰 작업이라 전용 하드웨어에 기능이 탑재된다. 

CPU에서도 처리할 수 있고 GPU에서도 처리할 수 있음.

퀘3의 경우 Snapdragon XR2 Gen 2이라는 SoC에서 처리함. ( SoC의 한 파트에서 처리함 )


이 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다른 쪽으로 보낸다하면 더더욱 그렇다.

받는 쪽에서 네트워크를 타고 온 데이터를 디코딩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뿌려준다.


그래야 본인의 자택에 할당된 대역폭으로도 VR영상을 재생 가능. 


그리고 코덱은

특정 하드웨어만 지원하는게 아니라 
대부분 저사양이면 저사양인대로 고사양이면 고사양인대로 프로파일별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저사양용 AV1 프로파일

고사양용 AV1 프로파일 등.



AV1은 영상을 압축하여 데이터 용량을 절감하는 면에서 효율적일지 몰라도

영상 퀄리티와는 상관이 없다.


화질이 좋으려면 당장 눈에 비치는 픽셀 수가 많아야한다. ( sweet spot, fps등은 나중에 얘기 할 것)

-> 그 컨텐츠가 동영상이라면 디코딩 했을 때 이미지 한장 한장의 픽셀 수가 많아야함.

-> 즉 디코딩 했을 때, 초당 비트레이트가 커야 함.

-> 이건 원본 파일과 연관이 있지 않나? ( 이미지 센서가 큰 카메라로 찍은 raw파일이 용량이 큰 것처럼 )
-> 퀘3로 게임을 한다치면,
게임의 설정값이 영향이 미칠 것 같음. ( 낮은 설정값으로 겜하냐, 높은 설정값으로 겜하냐의 차이 )


그러나, 실시간으로 Pc에서 돌아가고 있는 하프라이프 알릭스의 출력 신호를
퀘3이 받는다하면 (유선으로 받든 무선으로 받든)

실시간성 때문에 지연시간에 영향이 있을거라 추측을 했음.



https://arca.live/b/vrshits/88342691?target=all&keyword=av1&p=1

이 글에 나온 내용을 빌리자면


하지만 AV1은 지연 시간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90Hz에서는 H.264로 디코딩하는 데 7ms가 걸리고
AV1에서는 약 11ms가 걸립니다.
여러 게임을 시도해 본 결과 AV1은 디코딩하는 데 항상 4ms가 더 걸렸습니다.


Virtual Desktop에서 Half-Life: Alyx를 실행하여 H.264와 AV1 성능을 나란히 비교했습니다. 
둘 다 동일하게 90Hz, 120MBits 비트 전송률, Godlike, 그래픽은 Ultra로 설정했습니다.

H.264를 사용하면 약 37-38밀리초의 지연 시간이 발생합니다. 
AV1에서는 45-46ms입니다.
H.264에서는 디코딩에 7ms, 
AV1에서는 같은 장면에서 11~12ms가 소요됩니다.


AV1과 HVEC를 비교한 글에서도

AV1가 동영상을 압축/해제하는데 더 시간이 걸린다고 했음.

즉, AV1가 공간면에서 이득일 지 몰라도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인코딩/디코딩 속도가 느리다면

위에서 말한글의 레이턴시가 발생될 것이라 예상됨.

하지만


"헤드셋과 Virtual Desktop에서 120Hz 주사율을 사용하면
AV1에서 지연 시간이 눈에 띄게 낮아졌습니다.
120Hz에서는 디코딩 시간이 11~12ms에서 안정적인 9ms로 떨어집니다."

의 요인은 이해가 잘 안 됨.


주사율은 화면 refresh rate.

120Hz라면 1초에 최대 120개의 장면을 표현할 수 있다는 말인데,

AV1이 압축 기술 및 객체 예측 기술이 더 뛰어나서 그런건지 모르겠음.

(60개의 사진 보다 120개의 사진끼리의 변동폭이 더 적어서
  레이턴시가 낮아진건가? 뇌피셜임.)





내가 이해한게 맞냐?
틀린 부분있거나 너무 주관적으로 해석했다 싶으면 지적좀.


내일은 PC-공유기-퀘3 내부망 세팅 관련해서 공부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