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의 장점을 그나마 살릴 수 있는 방법들 몇가지 적어봄.

가장 중요한 건, 현재 세트는 한타가 가장 큰 강점이라는 거임.
즉, 한타를 중점으로 운영하는게 좋음.

=> 텔포 좋다.


-세트의 템트리-

1코어: 신파자

세트는 라인전 유지력이 좋지, 맞딜 자체가 탑챔들 사이에서 좋은 수준은 아님.
그래서 이 안정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 신파자 1코어를 추천함.

2코어: 스테락

세트가 가끔씩 한타 중에 W 한번 쓰고 터지는 경향이 있음.
한타를 여는 경우가 많아서 당연한거지만, 이를 버티기 위해서 스테락을 통해 하나의 안전장치를 챙기는 것을 추천함.

3코어, 4코어: 탱탬

내가 메인탱이 아니라면, 솔직히 죽무 정령도 나쁘지는 않다고 봄.
승전보까지 챙겨주면 안전장치가 되게 많은데, 피는 되게 잘참.
딱히 흡혈 관련 템을 가지 않는 세트가 장시간 한타를 참여할 수 있고 이는 W의 효율을 뽑아내기도 좋음.
(한번 일반에서 써보고, 나에게 맞는지 확인한 후에 가는 걸 추천함.)

5코어: 블클
왜 빨리 블클을 가지 않는 건가? 라고 할 수 있음.
그러나, 세트가 블클을 가는 이유는 기본적인 스펙이 좋고 이속을 제공하기 때문임.
이속은 하위템인 탐식의 망치에서도 얻을 수 있음.

결국 블클의 가장 중요한 효과인 퍼센트 방깎은 초반에 효율이 안좋고, 후반이 그 진가가 들어나니 블클을 후반에 가는 것임.

-세트의 몇가지 팁들-

1.올라프를 상대할 때, 올라프의 보호막은 자신의 피가 낮을 수록 그 량이 증가하니 짧딜교로 피를 좀 빼놓다가 EW 중앙을 맞추어서 한방에 죽이는 것을 추천.
1-1. 5렙을 찍은 이후, 올라프가 궁을 쓸 때 세트의 궁을 활용해서 긴급탈출이 가능하다. 
(이것으로 궁궁 교환이 가능하나, 상대 점멸, 유체화의 유무를 잘 기억해야한다.)

2. 세트는 초반 라인전이 강한 편이다.
2-1. 이를 활용하기 위해 정복자에 난폭을 들면 예상치 못한 딜을 뽑아내기가 쉽다.

3. W는 라인전 단계에서 2레벨 정도만 찍어주고, Q선마를 해주는 것이 세트와 잘 어울린다.
(이유: 세트는 지속딜이 강한 챔프이다. 패시브를 통한 평타와 전투중에도 증가하는 초당회복량, 이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쿨이 짧고 깡딜이 꽤나 높은 q를 선마하는 것이 좋다. 또한 W는 쿨이 길어서 선마를 할 경우, 한번의 딜교 이후 내가 사려야하는 타이밍이 길어지고 추가공격력과 체력 계수가 달려서 템이 나올 수록 강해지는 후반형 스킬이다.)

4. 세트는 브루저들 상대로 전형적인 강약약강 챔피언이다.
이유:(지속전투력이 높은 편이나, 그런 부분에서 세트를 넘는 경우가 잦음. 이를 일정부분 막아주는 것이 EW의 고정딜.
반대로 말하자면 W가 없으면 세트는 하루종일 상대에게 맞아야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대가 약하면, E로 막 끌고 딜교를 해도 되고, 패시브와 노마나 챔의 특징이 합쳐져 불합리한 딜교가 가능하다.)
4-1: 위에 서술한 이유를 바탕으로, 세트가 라인전을 지는 챔프 상대로는 착취를 들어 안정성을 높이고, 세트가 라인전을 이기는 경우에는 딜을 위한 정복자를 든다.

5. 상대가 갱을 왔을 때, 상대 정글과 탑에게 동시에 E를 맞추어서 기절 넣고 튈 수가 있다.
5-1. 궁을 통해서 상대 정글이나 탑을 붙잡고 내 타워쪽으로 뛰는 방식으로 2:1를 순간적으로 1:1 상황으로 만들어서 받을 수 있는 딜을 줄이고 나의 생환률을 높일 수 있다.

6.(중요). 후반갈 수록 세트의 W딜이 강타딜량을 넘어가기에 정글몹 스틸이 매우 쉬운 편이다.

7. 세트가 한타에서 가능한 것들.
7-1. 잘 큰 딜러를 r로 잠시 전장 이탈시킬 수 있다.(다만, 이럴 경우 세트 자신은 죽는 경우가 잦으며 어시도 먹기 힘들기에 성장이 정체된다.)
7-2. 상대 탱커를 r로 잡고 상대 딜러진으로 뛰어서 E 연계.(가장 정석적인 방식)
 ㄴ  7-2-1. 이때, 세트가 해야할 것은 상대 딜러진의 딜과 CC를 W와 스테락 보호막으로 다 받아내서 우리팀이 딜을 넣기 쉬운 환경을 만드는 것.
7-3. E를 통해서 순간적으로 상대 딜러의 딜링을 멈추게 할 수 있다.

8. 언제나 우리팀이 세트에게 호응 가능한지 살펴보고 들어가자.
(이유: 세트는 후반갈 수록 상대의 CC쿨이 짧아지고, 다들 뭉쳐다니기에 1:1교환이 힘들다.)
(이유의 이유: EW로 대려갈 수 있으나, 아예 E거리도 나오지 않을 정도로 카이팅 되는 경우가 잦음)


-세트의 룬-
메인룬: 착취와 정복자.
  1. 착취. - 상대가 라인전 강캐거나, 딜이 강해서 나의 유지력이 필요할 때. (레넥톤, 리븐, 아칼리 등등.)
  2. 정복자. - 내가 상대를 지속딜로 꽤나 이길 수 있을 때.
서브룬1:
  1. 거석상의 용기. - 내가 E를 넣기 쉬운 상대(대부분의 근거리)
  2. 무효화 구체. - 내가 E를 넣기 힘든 상대(대부분의 원거리+ 문도)
서브룬2: 
1. 재생의 바람. - 지속적인 맞딜을 하는 경우, 라인전 유지력이 필요한 경우, 상대가 한방딜이 없고 지속딜이 강한 챔프일 경우
  2. 뼈방패. - 상대의 한방 딜이 너무 강한 경우, 혹은 초반의 딜교가 중요한 경우. (뼈방패를 통한 짧 딜교 효율 극대화)

서브룬3: 그냥 무조건 과잉성장 드세요.
서브룬4:
  1. 정밀의 난폭. - 패시브 때문에 평타를 자주 쓰고 Q로 모션캔슬도 가능하니, 그 효율이랑 딜량이 매우 좋음.
  2. 철거. - 난폭 없이도 라인전 이길 수 있는 상대거나, 상대가 탱커여서 맞딜이 의미가 없는 경우.
  3. 빛의 망토. - 맞딜보다 붙는게 더 중요한 경우(상대의 대부분이 원거리나 이동기가 있을 때.)





**이상이 정리의 끝이며, 챔프별 상대법은 질문하면 대답해드림.
혹시나 설명에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바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