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최근 수정 시각: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首都圈 電鐵 水仁·盆唐線
Suin·Bundang Line
#fabe00
역 수
63역
연장
106.9km
차량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궤간
표준궤(1435mm)
통행방향
좌측통행
운영

1. 개요2. 역사3. 둘러보기

1. 개요 [편집]

수인·분당선은 과거 수도권 전철 수인선과 수도권 전철 분당선이 직결한 노선으로, 왕십리/청량리에서 강남, 분당, 기흥, 영통, 수원, 화성, 안산, 소래, 연수, 인천까지 잇는 장거리의 노선이다. 하지만 실제로 왕십리부터 인천까지 주파하는 차량은 25% 가량 밖에 되지 않는다.

죽전역 이북의 경우 열차 시간표에 죽고죽인이라는 다소 섬뜩한 어구가 있는데, '죽'전행-'고'색행-'죽'전행-'인'천행이 번갈아서 오기 때문에 그렇다. 보통 상행은 오이도행, 왕십리행, 청량리행이고, 하행은 죽전행, 고색행, 인천행이 대부분이나 막차 시간대가 되면 여느 노선이 그렇듯이 하행 오이도행, 상행 죽전행, 상행 고색행 등 여러 행선지가 튀어나온다. 물론 1호선만큼 다이나믹하진 않다.

한대앞역부터 오이도역까지는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직결된다. 한대앞역은 금정역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안쪽 승강장과 바깥쪽 승강장의 노선이 다름), 나머지는 아예 승강장을 공유한다. 청량리역부터 왕십리역까지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직결하지만 승강장은 다르다. 참고로 평면교차를 하기 때문에 경의중앙선의 시간의 왜곡에 숟가락 하나 정도 올리고 있긴 하다.

2. 역사 [편집]

1994년 9월 1일 / 수서역 ~ 오리역
1996년 11월 23일 / 복정역 추가
2003년 9월 3일 / 선릉역 ~ 수서역
2004년 1월 16일 / 이매역 추가
2004년 9월 24일 / 구룡역 추가
2004년 11월 26일 / 오리역 ~ 보정역
2007년 12월 24일 / 죽전역 추가
2011년 12월 28일 / 보정역 ~ 기흥역
2012년 6월 30일 / 오이도역 ~ 송도역
2012년 10월 6일 / 왕십리역 ~ 선릉역
2012년 12월 1일 / 기흥역 ~ 망포역
2013년 11월 30일 / 망포역 ~ 수원역
2014년 12월 27일 / 달월역 추가
2016년 2월 27일 / 송도역 ~ 인천역
2018년 12월 31일 / 청량리역 ~ 왕십리역
2020년 9월 12일 / 수원역 ~ 오이도역
2024년 1월 20일(예정) / 학익역 추가

3. 둘러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