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채널

1. 적정량의 약물.


약의 종류와 적정량 효과는 개인차가 심하니 딱 잘라서 말할수는 없지만 

몸에서 무리가 되지 않는 수준을 추천.


2.규칙적인 생활.


규칙적인 생활? 그냥 별거없다. 딱, 잠에서 일어나는 시간만 일정하게 맞추면 된다. 8시에 일어나도 좋고 9시에 일어나도 좋다. 

수면시간은 상관없다. 하지만 깨어나는 시간은 무조건 일정하게 유지해야된다.

팁을 주자면, 나는 알람을 맞춰두고 눈뜨자마자 콘서타부터 먹는다. 그러면 콘서타의 약효때문에 내가 더 자고싶어도 잘수가 없으니 강제적으로 일어나서 하루를 시작하게 된다.


3. 유산소 운동.


운동의 중요성은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겠지만, 특히나 @들에게는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운동을 함으로써 도파민의 분비와 함께 @들에게 부족한 작업기억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언제 운동할지는 개인차가 있으니 알아서 조정하고, 대신 하루에 최소 20분 이상은 '몸에서 땀이 흐를 정도로' 운동을 했으면 한다.


4. 명상.


개인적으로 효과를 많이 봤으므로 @들도 명상을 지속적으로 했으면 한다.

명상이라고 거창한건 없고, 그냥 중간중간에 잠시 눈을 감고 머릿속을 비우는 휴식시간을 가지는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공부를 하든, 일을 하든 중간에 잡생각이 떠오르거나 능률이 떨어질때 하는 것을 추천.


5. 모든 것은 최대한 단순하게 한다.


@들중에 특히나 완벽주의적인 성격이 많은걸로 안다.

나도 완벽주의적인 성격때문에 꽤나 많은 고생을 해서 누구보다 이 졷같은 고통을 잘 알고있다.

완벽주의자의 가장 큰 문제점은 어떤 '일'을 시작하려해도 압박감과 부담감에 부딪쳐서 일을 시작도 못하는거라 생각한다.

일을 완벽하게 하려하니 시간도 많이 걸리고 부담이 워낙 크니까 머리가 그냥 거부하는 것이다.


팁을 주자면 최대한 힘을 빼고 실패를 받아들이는 자세로 단순하게 생각하는 것.

운동을 하든 공부를 하든 여행을 가든 거창하고 복잡한 계획이나 목표는 필요없다. @들은 어차피 하지도 못하니까.

예를 들자면


오늘부터 매일 운동을 하기로 마음먹은 A씨.

방금 잠에서 일어난 A씨는 샤워를 하고 옷장에서 오래된 트레이닝복을 꺼내서 입고 거울을 보면서 머리를 정돈하고 가방안에 물통과 음식을 챙겨넣고 멀리 새로생긴 헬스장에 버스를 타고...(X)


오늘부터 매일 운동을 하기로 마음먹은 B씨.

방금 잠에서 일어난 B씨는 잠옷차림 그대로 동네를 한바퀴 뛴다. (O)


이런식으로 어떤일을 하든 최대한 단순하게 해라. 불필요한건 과감하게 없애서 뇌가 느끼는 부담감과 거부감을 줄여나가라.

매 순간순간마다 단순하고 손쉬운 선택을 하고 단순한 패턴을 반복하면 삶이 훨씬 쉬워지고 편안해질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