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0.80

이전 게시했던 패치 디자인 투표글에 남겨주셨던 여러 좋은 의견을 취합해 조금 더 조사해보고 만들어봤습니다.


               우측: 어기 및 훈련도감(부대)                                      좌측: 좌독기 및 진무(계급)

       



                             패용 예시

           




전체 테두리의 모양은 조선 시기 방패의 형태에서 차용하였고, 패치 패용례를 찾아보다가 현 대한민국 육군에서는 컴뱃셔츠 우측에 국기, 그리고 그 아래 소속 부대 마크를 부착하고 좌측에 계급과 이름 등을 부착한다고 해서 좌/우측에 들어갈 어기(조선 국기) 및 문구를 선정했습니다. 부대 마크는.... 아무리 찾아도 훈련도감 부대의 문양이 따로 존재한다는 정보가 없어 깔끔하게 한문 및 영문으로 기입하였으며 또한 훈련도감 자체가 한양도성, 즉 현대로 치자면 수도방위를 담당하고 있는 부대라는 글이 있어 동의어 반복을 피하기 위해 원 디자인에 있던 '경군(수도군)'이라는 문구를 삭제하고 계급인 '진무'만 넣었습니다. 좌측 상완에 부착하는 패치의 경우 계급 위에 조선군 군기인 '좌독기'가 붙어있는데 좌독기는 국왕 및 조선군을 상징하며, 행진시에는 부대의 맨 앞, 정지시에는 단상의 왼쪽에 세운다고 하여 마침 왼쪽 상완이라 일맥상통하는 것 같아 넣어봤습니다. 어기 및 좌독기는 위장성을 고려하여 흑백으로 수정하였습니다.

현재 고려사항으로는 부대 및 계급 문구의 한문과 영문 사이에 한글 표기도 넣을지 고민중입니다.




                              플캐용 부대 패치                                                                                패용 예시

           



플캐 가슴에 붙일 패치로는 문구로 된 부대 마크가 적절할 것 같아 그대로 디자인하였습니다. 원 계획에서는 곤룡포처럼 용 문양을 넣을까 했는데 국왕의 상징인 용 문양을 군인이 붙이고 있는 모양이 고증에 맞지 않을 것 같아 폐기하였습니다. 


혹시라도 잘못된 부분이나 다른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편하게 댓글 부탁드립니다. 아직 확정된 디자인이 아닌만큼 향후 수정될 디자인에 반영될 수 있습니다!


*ver.0.81*

한글 표기가 들어가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아 훈민정음체로 넣어봤습니다. 


                             



*ver.0.82*

한문과 한글 표기를 우종서(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읽는 법)로 수정하였습니다. 영문 표기는 좌횡서를 유지하였습니다. 또한, 훈련도감의 영문 표기를 Military Training Agency에서 Demonstration Task Force로 수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