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AK 첫조립에 어려움을 겪는 챈럼들을 위해서 본글을 작성합니다! 



기본정보


악튜러스는 3형식 기반 QD기박을 사용합니다.  LCT와 다르게 스프링교체에 걸리는시간은 완전조립된 상태에서도 10초내외로 가능할정도로 간단합니다. (개머리판 접으시고 노출된 기박후방을 가스마개로 돌리시면 스프링가이드와 스프링이 나옵니다.)


21년 최근개선분은 다이얼식 홉-업이 적용되었고 더미 볼트만 당기면 즉각적으로 홉업의 조절이 가능할뿐더러 조준경의 노브를 돌리듯이 얼마나 돌아간지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DIT KIT 조립



기본적으로 레드울프 기준 반갈은 


PT1은 리시버, 개머리판, 기박

PT2는 전방 가스튜브&이너바렐,아웃바렐 및 핸드가드 뭉치와 더스트커버, 모터와 그립입니다.



AK-12 전체를 수령하신이후엔 이러한 처참한 광경에 AK 처음조립하시는분들은 뇌정지가 올수있으니 하나하나 해봅시다.






1. 모터조립


모터는 기본적으로 배송온 그립속에 있습니다. 

동봉된 육각렌치세트가 있으니 그립나사(정나사를 풀어줍니다.) 


이후 그립에서 모터(하우징포함)을 분리합니다. 




이후 적색부분의 나사를 풀은다음(해당부분 나사가 채결된 상태로 기본적으로 있습니다.) 

 위 사진과 같이 기어박스에 결합합니다. 


푸른색은 하우징 체결나사니 건드실필요 없습니다. 


이후 적색부분 나사를 채결합니다. 

이떄 토크를 강하게 주실필요가 없습니다. 기어박스 제질이 주물이기에 강한토크를 줄시 나사산&나사머리에 손상이 갈수 있습니다. 


1.1 모터 배선 연결 및 그립 체결 


이후 모터 배선을 연결합니다.

모터 배선연결부는 적색과 백색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적색은 적색으로 표기된곳에 그립배선을 끼우시고


무색(그림에서 청색으로 표기) 한곳은 무색 표기된곳에 그립배선을 끼우시면 됩니다.


완벽하게 배선을 장착하시고 배선을 모터후방 가이드에 끼우시고 다음영상과 비교해보세요.




올바르게 배선 체결이 되었다면 위 영상과 비슷할겁니다. 



이후 모터 하우징나사를 조입니다. (주물기박이므로 과한 토크 금지) 

이떄까지 가면 모터하우징과 기박이 적당히 고정되었을겁니다. 


전동건용 AK-12 그립을 모터하우징에 끼운 이후 육각랜치로 적당한 토크(필자는 토크 걸리는 시점에서 4분의 1바퀴) 

를 돌려 그립을 고정합니다. 




이 단계까지 하신이후 배터리가 있으시다면 작동테스트가 가능합니다.




2.  챔버와 이너배럴 장착


이제 이너배럴 조립의 시간입니다. 





전방 트리니언은 위쪽(1번)은 가스튜브, 아래는 이너/아웃 바렐용입니다. 




가스튜브쪽을 보면 2개의 무두나사를 확인가능합니다.

기본박스에 동봉된 육각랜치를 이용하시거나 육각랜치 세트를 사용하셔서 저 나사를 위쪽으로 올려줍니다.


이 나사들은 아래로 튀어나오지만 않으면 됩니다. 

(아웃바렐을 확실히 조여주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기에, 

차후 설명하겠지만 해당 나사에 대하여는 정말 미세한 토크가 가해질정도로만 고정해도 됩니다.)



이제 적색 동그라미(2번)을 고정하는 십자나사를 풀어줍니다. 

그러면 2번이 앞뒤로 움직이는데 여기서 챔버와 이너바렐을 1번 아래에 있는 구멍에 넣어주고 

"2번에서 풀은 십자나사로" 챔버를 고정합니다. 


고정이 확실히 되었다면 이하 사진과 같이 고정됩니다. 


푸른색 원이 아까 2번에(적색원에 있던 구조물) 있던 십자나사입니다. 



(급탄부 아래에 2번이 살짝 보이는걸 확인가능합니다.) 





3. 전방 아웃배럴과 핸드가드 조립체 결합 


이제 총의 모양은 리시버에 이너바렐과 챔버만 결합되어 좀 이상해보일겁니다. 



사진에 있는 핸드가드 조립체를 이너바렐에 끼우면서 리시버 전방 트리니언에 결합해줍니다.



이제 리시버 전방 트리니언과 핸드가드(총열 포함)을 고정할 시간입니다. 



핀 방향에 유의하시면서 가스블럭쪽 핀부터 결합합니다. 

이 핀은 총열(아웃배럴)을 고정시켜줍니다.  이 핀이 기본적으로 아웃배럴을 고정해주기에 2문단에서 설명했던 아웃배럴을 고정하는 무두나사의 토크는 높을필요가 없습니다.


핀 방향에 유의하시면서( 사진과 같이 삽입합니다. 저부분엔 더미볼트캐리어 스프링이 들어가기에 핀의 좌우측 형상이 다릅니다.) 


이후 하부 핸드가드 고정핀을 삽입합니다.


좀 뻑뻑할수 있는데 핀펀치와 고무망치로 적당히 두드리시면 잘 들어가요! 

(잘못된 각도로 치시면 리시버 반대쪽이 휘어질수 있으니 각도 잘 맞추어서 조심히)



이제 상술했던 아웃바랠 고정용 무두나사(2개)를 조여줍니다. 




4. 더미볼트 장착 및 레일 더스트커버 조립 


셀렉터를 단발로 내리고


리시버 후방우측에 있는 홈에 더미볼트 삽입후

더미볼트를 이하 사진과 같이 위치시킵니다.




아웃바렐 고정하는 핀이 있던부분 앞에는 작은 구멍이 있습니다.


이곳으로 더미볼트의 스프링과 스프링가이드를 넣어줍니다. (이떄 리시버 기박에 고정부가 있어 스프링가이드 후방을 고정시킬수 있습니다.) 



더미볼트가 손으로 당겼을떄 잘 후퇴후 전진하는지 확인하시고 

더스트커버 고정핀을 돌리면서 뺴신다음 더스트커버를 장착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