ㅖㅏ 길고 긴 더구를 끝내고 결국 기종을 결정해서 돌아온 솦붕이인 레후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VFC 글록의 판을 바꿀 만한 정보(https://arca.live/b/airsoft2077/69243397 참조)를 얻어왔기에 이를 반영하여 새롭게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음.

더불어 VFC 글록은 글록 중에서도 상당한 주력 기종이니, 뉴비들이 자신에게 맞는 VFC 글록을 결정하고 입문하는 데에 혼선이 없도록 모든 정보들을 깔끔히 정리하는 것이 이 글의 첫 번째 목표이기도 함.

서론이 길면 재미없으니 빠르게 시작.


1. 구형 설계, 유격 있음 - VFC 글록 17 젠 3

: 21년 12월 이후 생산분들은 노즐이 신형과 같은 설계로 변경되었고(이에 따라 슬라이드 내부 설계도 변경된 것으로 추정), 덕분에 반동 하나만큼은 신형 설계인 17 젠 5와 동일한 것을 보여줌. 거기다 노즐이 신형이 되었기에 관련 부품 수급이 불가능하다시피 했던 이전 노즐과는 달리 옵션 부품 수급도 편리함. 

다만 위의 설계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럴 베이스(03-8 부품)가 슬라이드 가이드의 역할을 겸하는 구조이기에 슬라이드와 프레임 간의 유격은 생길 수 있음.

더불어 신형 설계와 달리 구형 설계 특성상 홉업 챔버가 마루이 타입이기에 홉업 조정 과정이 비교적 번거롭다는 것(무조건 상-하부를 분해해야만 조정이 가능함)도 아쉬운 점임.

특이사항으로 프레임 내부에 탄창 과삽입 방지 가이드가 존재하기에, 신형 설계들과 다르게 탄창이 과도하게 삽입되어 탄창의 가스 토출구 고무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 


2. 구형 설계, 유격 적음 - VFC 글록 17 젠 4, 19 젠 3

: 얘네도 마찬가지로 21년 12월 생산분부터는 신형 설계와 같은 노즐을 사용하기에 반동과 호환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는 점에서는 상당한 이득이며, 1번에서 알아본 17 젠 3와 다르게 슬라이드 가이드가 별도 부품으로 들어가 있음.


둘 다 설계도상으로 03-17번 부품이 슬라이드 가이드이며, 이 부품은 VFC 본사뿐만 아니라 레울이나 MLEmart에서도 수급이 가능함.

홉업 챔버의 구조는 1번과 동일한 마루이 타입 챔버인지라(17 젠 4의 경우 마루이용 챔버와 호환 가능 사례 有, 19 젠 3는 호환 불가) 홉업 조절은 비교적 불편하지만, 타사의 글록들을 생각해보면 그리 큰 단점은 아님.

오히려 장기 사용 시 조절부가 갈려나가는 신형 설계들보다 내구성 면에서는 훨씬 유리함.

여담으로 이 글록 또한 프레임 내부에 탄창 과삽입 방지 가이드가 존재하여 탄창의 가스 토출구 고무를 지켜낼 수 있음(= 뒤집거나, 기울인 채로 쏴도 고무가 갈리지 않음).


3. 신형 설계, 유격 있음 - VFC 글록 17 젠 5, 19 젠 4, 19X, 45

: 특이하게도 19는 젠 4부터 신형 설계를 적용함. 또한 구형 설계와 달리 모델별로 다른 설계가 아닌, 모두 완전히 동일한 설계를 적용하였기에 옵션품 호환성이 아주 좋아짐. 더불어 홉업 챔버와 리코일 스프링 가이드의 변경으로

 - 홉업 조절 방식이 단순화됨

 - 챔버 내부 구조가 단순화됨

 - 호환되는 옵션 부품이 많아짐

이라는 장점이 존재함. 하지만 신형 설계로 넘어오면서 몇 가지의 원가절감을 위한 사항들도 존재하기에,

 - 슬라이드 가이드 삭제 및 배럴 베이스로의 역할 통합 + 배럴 베이스의 소재 변경(스뎅 -> 알루미늄 합금)

 -> 위 사항으로 인한 배럴 베이스의 내구도 대폭 하락, 슬라이드-프레임 간의 전면부 유격 증가

 - 배럴 베이스 구조의 데포르메화로 인해 고정 핀의 개수 감소

 -> 위 사항으로 인한 배럴 베이스의 유격 발생 및 챔버-배럴 베이스 간의 유격 발생으로 집탄 하락

 - 탄창 과삽입 방지 가이드 삭제로 인한 탄창 가스 토출구 고무에 가해지는 부하율 증가

 -> 위 사항으로 인해 탄창 바닥을 누른 채로 격발하 등의 행위가 불가능해짐

이라는 단점들 또한 생겨났음. 사실상 장점보다 단점의 개수가 더 많기는 하지만, '슬라이드-프레임 간의 유격'과 '배럴 베이스 내구성, 유격'을 제외하면 사소한 문제들이기에 업그레이드 내지 옆그레이드 정도로 볼 수 있음.

더불어 옵션 파츠가 모두 신형 설계 기준으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업그레이드를 통해 최고점까지 보려는 경우에는 이쪽이 더 유리하기도 함.


4. 결론

<글록 17>

글록 17 젠 3: 좋은데 지금 살 이유는 없음. 대체제가 확실한데 굳이 살 필요가...?

글록 17 젠 4: 유격이 안 늘어나는 17을 가지고 싶다면 이게 답이다.

다만 옵션 슬라이드는 노즐 장착부 가공이 필수임.

글록 17 젠 5: 슬라이드가 길어서 유격은 제일 심하며 총열이 짧은 모델들보다 반동이 약하지만 17 중에서는 최신형.

근데 젠 5 중에서도 초기형(전면 서레이션 없음, 하부 맥웰의 반원형 홈 존재) 재현이라 굳이...?

부품 호환성 좋은 17을 원하는 게 아니면 굳이 추천은 안 함. 차라리 45를 사 ㅇㅇ


<글록 19> - 이 라인업은 세대에 관계없이 모두 구형 트리거라 세이프티 부분의 내구성이 떨어짐. 옵션 트리거 박을 각오는 하고 가자.

글록 19 젠 3: 홉업 챔버의 불편함만 감수한다면 유격도 없고, 반동도 최강이며 탄창 호환성도 최강.

이것도 옵션 슬라이드는 노즐 장착부 가공이 필수임.

글록 19 젠 4: 홉업 조절이 편리하지만 그 대가로 유격을 얻음.

개체 차이라고는 하지만 이상할 정도로 본인이 썼던 3개는 모두 유격이 심했음(작동상 문제는 없음).


<글록 19X, 45>

글록 19X: 45의 땅콩버터색 하위호환. 끝.

탄색을 원한다면 이것밖에 답이 없다.

글록 45: 19X와 달리 탄창을 가려먹지 않고(19X의 경우 맥웰 형상이 실총과 같이 독자 규격이라 젠 5 탄창에 범퍼를 교환해주어야만 호환이 가능함), 작동성도 훌륭함. 신형 설계 중에서는 유격이 없는 제품을 뽑을 확률이 가장 높음.


반동은 사실상 설계가 같아져서 17 라인업만 아니라면 차이가 없으니,

유격이 적은 제품 / 홉업 조절이 편리하고 파츠 호환성이 높은 제품

이 두 가지 선택지를 기준으로 고르면 된다고 말해주고 싶음.

여담으로 해머 셋과 같은 작동형 내장 부품들은 구형 설계와 신형 설계가 대부분 공유하기에 세대 구분 없이 호환이 가능함(타 브랜드보다 해머 셋의 내구성은 2배 정도 높음. WE 제품이 잘 관리했을 때 1만 발을 버티지만, VFC는 막 굴려도 최소 2만 발을 버팀).

솦챈 뉴비건, 솦챈 올드비건 글록을 고르는 데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음.
궁금한 게 있다면 당연히 댓글로 물어보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