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저번에 한 번 깔았는데 대체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감도 안 와서 
기껏 cuda까지 다 설치해놓고는 삭제해버렸습니다. 

근데 영원히 이걸 피할 수는 없을 것 같네요. 


llama-cpp-python에서 cuBLAS 지원을 시작했길래 

환호하면서 써보려고 했는데... 안되더라고요.


LLAMA_CUBLAS=1 FORCE_CMAKE=1 pip install llama-cpp-python


저렇게 활성화방법이 나와있는데 안먹힘;

ChatGPT에게 물어보니 리눅스용 커맨드라고...

윈도우만 아는 개초보는 대체 어쩌라는 건지.ㅎ

머 ChatGPT가 윈도우에서는 환경변수 수정하고 어쩌고저쩌고 알려주긴 하는데 

그런 중요한 걸 툭하면 환각에 빠져 허우적대는 놈 말만 믿고 

따라하긴 좀 그렇잖아요. 문제 생겼을 때 해결할 능력도 없는데. =_=


혹시 저 커맨드라인을 윈도우에서도 비슷하게 실행할 수 있는 방법 아시면 가르침 바랍니다.(절실)


어쨌든 그래서 WSL2 재도전.

우분투도 깔고, VSC에 연결도 하고, 쿠다 깔고, 

(공지에 있는 WSL 설치 가이드 작성해주신 분께 너무나 감사드림)

우바부가 원클릭 인스톨러 다운로드 받고, 

압축 풀어보니 start_linux.sh 있길래 더블클릭하니 실행은 안되고 코드가 열림;;;;;;


개당황 ㅜㅜ

ChatGPT에게 물어보니 리눅스는 그렇게 하는 거 아니라고 하네요.ㅋ

그래서 그놈 시키는 대로 해보니 실행 잘 돼서 설치완료.


http://xxx.x.x.x:yyyy 에 접속하면 된데요.

접속해보니 안됨. 아... 


뭐 하나 순조롭게 되는 게 없구나.ㅜㅜ

진짜 초보자는 살기 힘든 세상입니다.


구세주 ChatGPT에게 물어보니 

서버는 WSL쪽에서 실행되고 있는데 윈도우에서 접속하려니 그게 되냐, 이러네요.(심하게 요약)


그래서 궁금한거2.

WSL로 우바부가 사용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쓰시나요.

ChatGPT는 윈도우쪽에서 X Window System인지 먼지를 쓰면 된다면서 

VcXsrv를 깔라는 둥 하고 있는데... 이게 맞나요? 


그냥 WSL2 쪽에서 먼가 브라우저로 직접 열거나 그런 거 없는지?

리눅스라는 건 이름만 들어봤지 머하는 놈인지도 모르다보니 

당연히 다 알 거라 가정하고 해놓은 설명으로는 너무 부족하네요.

조언 바랍니다!


그냥 리눅스쪽에 리눅스용 크롬 깔면 해결되는 거였군요. <== 바보가 여기 하나

하여간 질문을 해도 제대로 해야 답도 제대로 나오는 듯. ㅎㅎ

일단 리눅스쪽 우바부가에 접속하는 거는 성공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