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리스 a.k.a. 스뎅



- 아군 보조 역할을 지상에서 수행하는 기능공 직군의 6성

- 터렛 소환으로 보조할 수 있어 공격 범위에 제약받지 않는 높은 범용성

- 1스킬의 공격력 증가 효과는 최대 와파린 2스킬보다 6% 더 높은 효과

- 2스킬의 SP 보조 효과는 프틸롭시스 재능보다 1% 낮은 쿨타임 감소 효과

- 3스킬로 공격 회복 스킬 및 재능을 갖는 대원의 SP를 빠르게 회복할 수 있음

- 풀잠재 효율은 7.1%로 평범한 수준이나, 재능의 터렛 회수 확률 증가가 실전에서 체감되기 쉬움(10%p 증가)



- 모든 스킬들이 단점 보유

- 2정예 이전에는 파괴된 터렛을 복구할 방법

- 대표적 단점으로 코스트 이용량 대비 얻는 효용성이 높지 않음

- 육성 이후 활용에 있어 기존 대원들과 매우 특별하게 차별화하지 못하는 성능

- 터렛은 스테인리스 퇴각 시 사라지므로 고난도 작전 중 '동시 배치 수 감소' 제약에서 활용도가 낮아짐

- 터렛은 배치 타일을 차지하므로 고난도 작전 중 '배치 금지 타일 추가' 제약에서 활용도가 낮아짐

- 터렛은 일정 코스트를 소모하여 배치하므로 고난도 작전 중 '유닛 배치 코스트 증가' 제약에서 활용도가 낮아짐

- 스킬 발동으로 인한 효과가 주력이므로 고난도 작전 중 'SP 회복 제약'과 관련한 2개 제약에서 활용도가 낮아짐(스킬을 발동하지 않을 경우 1스킬, 2스킬 모두 기존 대원들의 성능을 넘어서지 못하는 효과이므로 경쟁력 하락)

- 터렛은 '아군 강화'에 초점을 맞췄고, 그 때문에 플레이어의 편성 대원 및 육성 수준에 따라 매우 큰 차이 존재





- 1스킬 터렛 배치 코스트는 3

- 1스킬의 공격력 증가 효과는 비교적 높은 코스트를 소모하여 발동, 배치 칸 3칸을 차지하여 시전함에도 불구하고 와파린 2스킬의 90% 버프와 6% 차이

- 공격력 증가의 경우 지속적으로 다수를 공격하는 대원(혼, 블레이즈 등) 및 공격력 증가 버프 효율이 높은 대원(엑시아 등)과 조합하여 전반적 딜링 증가(저점 강화), 특정 웨이브 대처력 상승(고점 강화)

- 스킬 종료 시 설치한 터렛을 파괴하므로, 동시 2개 터렛을 배치할 경우 점차 터렛 수가 감소하여 손실 발생

- 보편적 1개 작전의 플레이 시간은 3~4분 경으로 설계되어있어 일반맵에서는 큰 디메리트가 아니지만, 위기협약과 같이 스톨링, 무한 제어 빌드 및 섬멸작전에서의 체크포인트 등의 작전에서는 점차 효용성 하락

- 일반적으로 스킬 발동 횟수는 3회, 운이 좋을 경우 4회까지이며 4회 이상부터는 평균적으로 스테인리스 재배치 후 터렛 3개 획득이 이득

- 마스터리 1~3레벨 효율은 각각 +3%, +4%, +4%로 스킬작 효율이 낮아 범용적 관점에서 큰 차이 존재 X





- 2스킬 터렛 배치 코스트는 3

- 터렛의 지속 체력 손실량은 매 초당 0.4%의 체력 손실, 250초 지속(4분 10초)

- 보편적 1개 작전의 플레이 시간은 3~4분 경으로 설계되어있어 일반맵에서는 큰 디메리트가 아님

- 스킬 발동 시 체력 손실량 증가, 매 초당 0.8%의 체력 손실

- 스킬 종료 시 터렛을 1개 획득하고, 각각의 터렛을 이용해 SP 버프를 2번의 스킬 회전동안 지속적으로 주는 것도 가능

- 단일 터렛의 기본 상태 쿨타임 감소 효과는 22%

- 단일 터렛의 스킬발동 상태의 쿨타임 감소 효과는 33%

- 2개 터렛의 기본 상태 쿨타임 감소 효과는 36%

- 2개 터렛의 스킬발동 상태의 쿨타임 감소 효과는 50%

- 프틸롭시스 2정예 재능의 쿨타임 감소 효과는 23%이며, 필드 전체에 적용되는 효과이므로 단일 터렛을 각각 사용하여 2명 이상의 대원에게 SP 부스팅을 하고싶다면 스테인리스보다 프틸롭시스가 유리

- 공격시 SP 회복류 스킬을 가진 대원을 사용한다면(아이린, 가드 첸 등) 프틸롭시스의 효과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 스테인리스가 유리

- 유넥티스 모듈(X, Y) 장착 시, SP 회복 속도를 증가시켜주는 프틸롭시스의 효과는 모듈의 효과와 곱연산이므로 낮은 효율을 보지만, 스테인리스 2스킬의 경우 직접 SP를 1 채워주는 효과이므로 굉장히 높은 시너지 효율을 보유

- 50SP 이상을 소모하는 스킬을 주로 사용한다면, 높은 효과를 볼 수 있음(블레이즈 2스킬 등)

- 최근 출시되는 오퍼레이터들의 경향은 강한 성능과 짧은 스킬 회전률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기에 스테인리스 2스킬을 이용해서 큰 효과를 체험하기에는 어려운 편

- 링 2스킬과 조합 시 CC 커버력 상승 및 충전식 스킬이기에 높은 시너지 효율을 보유

- 아이린, 첸 더 홀룽데이, 골든글로우, 피아메타, 파젠카 등의 고타점 스킬 딜러들과 높은 시너지 효율을 보유

- 특히 첸 더 홀룽데이의 3스킬의 이론적 지속 시간은 40~42초이며 SP 버프~스킬 종료까지의 기간이 스테인리스 스킬 회전률과 거의 비슷하게 맞춰지기 때문에 1:1 커버 가능

- 마스터리 1~3레벨 효과에서 1레벨에서 소모 SP 2 감소, 소모 SP 2 감소, 소모 SP 1 감소로 스킬작 효율이 매우 낮아 범용적 관점에서 큰 차이 존재 X, 7레벨이 효용성 대비 가장 좋으며, 마스터리를 할 경우 마스터리 1, 2레벨에서 멈추는 것을 권장





- 3스킬 터렛 배치 코스트는 10

- 터렛은 5번의 공격을 받을 경우, 1번의 스킬을 발동

- 5번의 피해를 받은 뒤 발동하는 스킬은 적이 존재해야만 발동

- 터렛의 스킬은 스테인리스 공격력의 300%에 해당하는 단일 피해와, 스테인리스 공격력의 150%에 해당하는 범위 피해(반경 1.1타일의 원형 범위)로 2연타 공격

- 터렛의 스킬은 공중 공격 가능

- 터렛의 공격은 은신한 적을 공격 불가

- 터렛 뒤에 배치한 대원은 물리피해 20% 경감 효과

- 터렛은 아 3스, 와파린 2스 버프를 받지 않음

- 퍼퓨머, 보카디 등의 도트힐을 받지 않음

- 터렛 피해량은 스테인레스 본체 공격력 연동

- 기능공 직군(로베르타, 윈드플릿 포함) 공격으로 터렛이 1% 체력을 회복하며, 실전에서는 큰 의미 없는 미미한 수준

- 기절, 빙결, 수면에 면역

- 7지역 활성 오리지늄 제단 영향 X

- 아군 공격범위 내에 터렛과 적이 같이 있다면 터렛의 피격 우선도가 내려감(도발 레벨 -2 보유)

- 터렛에 리 2스킬 적용 가능, 하지만 적용하더라도 대부분 적보다 높지 않은 도발 레벨을 가져 아군은 여전히 적 우선 공격

- 터렛 피격은 연타계 전부 적용, 첸/아이린 등 검호 직군의 평타 2대가 각각 1타로 적용. 단, 그라벨의 평타는 1타로 적용.

- 링 3스킬, 보카디 3스킬과 같은 도트딜 스킬로는 터렛 피격이 적용이 되지만, 사이사이 딜레이가 존재하여 가장 빠른 터렛 공격을 하지는 불가. 이는 Ash 2스킬과 같은 극한의 공속에도 똑같이 적용되어 비효율.

- 터렛은 터렛을 서로 공격 가능

- 원거리 적은 터렛을 공격 X

- 니엔 등으로 저지수 증가 불가

- 아군 유닛 판정이 아님(*케오베 재능 트리거 가능)

- 적군 유닛 판정이지만, 고립 효과를 적용하여 적으로 간주되지 않음(*패신저 재능 트리거 가능)

- 공격 대상으로 판정 가능(Ash 2스킬, 혼 1스킬 등으로 재능 및 스킬 효과 트리거 가능)

- 공격 회복 스킬을 가진 대원이 터렛을 공격하여 SP 회복 가능

- 터렛은 W 2스킬 지뢰를 트리거할 수 있고, W는 터렛을 공격 가능 유닛으로 판정해 터렛 근처를 우선해서 지뢰 설치

- 터렛은 따로 SP 회복 가능 유닛으로 판정하지 않아 와파린, 리스캄 등의 재능을 받지 않음

- 터렛은 활성 오리지늄 장판으로 공격력은 상승할 수 있지만, 공격속도는 증가하지 않음.

- 통합전략#3 유물 중 '세월의 분노'와 연계, 터렛이 배치되면 필드 위 랜덤한 아군 유닛에게 3000 마법 피해 적용 (버그로, 현재 수정됨)

- 메피스토, 메피스토-노래하는 자, '모루', '모루' B타입 등의 적군 치료 판정을 받지 않음

- 터렛 주위에 샤마르 2스킬의 저주인형을 배치해도 포탑의 공격력 저하 X

- 유격대 전령병에 의해서 공격력이 증가됨

- 살카즈 초병에 의해 강화되지 않음

- 통합전략#2, 3 유물 중 매 초마다 n% 체력 회복 유물로 인해 체력 회복 가능

- 엘리트 적 취급 X (에벤홀츠 3스킬 적용 불가)

- 도솔레스 이벤트의 침수 피해 X

- 오리지늄 더스트 이벤트의 모래바람, 독가스 등의 환경 피해 X

- 니어라이트 이벤트의 암전 기믹을 밝힐 수 없음

- 위기협약 지원 계약의 효과 적용 X

- 메피스토-노래하는 자, 독안개, 11지 일부 적들로 인한 독가스 기믹으로 타수 회복 불가

- 터렛 배치로 축음기 점령 불가

- 발리스타로 피격당하지 않으며(관통하여 그 뒤로 날아감), 터렛 SP 회복 불가

- 히트펌프로 인해 공격받을 수 있으며(SP 회복 가능), 체력은 줄지 않음

- 거대 버섯으로 인해 방어력 증가 X

- 우르수스 민간인, 투사 탈룰라 공격 X

- 터렛의 공격은 터렛이 피해의 근원

- 투사 탈룰라에게 공격받을 수 있으며(SP 회복 가능), 체력은 줄지 않음

- 통합전략#2, 3 유물 중 '서포터 오퍼레이터의 소환물 스탯 증가' 효과를 받을 수 없음

- 무사, 리퍼 직군이 터렛을 타격하여 체력 회복 가능

- 스펙터 디 언체인드의 대역 공격으로 공격당하지 않음

- 브로큰 스피어: 혈전 유물의 효과는 '유닛에게 피해를 입혔을 경우'이므로 터렛을 타격하여도 SP 2 추가 회복 불가

- 조작, 배치, 편성 라인업의 육성 상태, 사용하는 적에 따라 저점이 매우 낮고 고점이 매우 높아 현존하는 편차가 가장 큰 스킬

- 타 오퍼레이터와 조합하여 배치 수 4~5개를 소모한 뒤 비교적 높은 '이론적 피해 상한' 도달(+링, 스카디 더 커럽팅 하트 조합으로 방어력 1000의 적에게 106735의 단독 피해와 46116의 범위 피해, 합계 152850, 포탑 1개 기준.)

- 최적의 조건을 가진 맵의 배치타일, 육성 상태, 적의 종류를 구분해서 사용해야하므로 굉장히 까다롭고, 그로 인해 얻는 이득도 타 대원 조합에 비해 큰 가치를 얻지 못함(무에나+샤마르+아: 108631 등)

- 물리피해 경감 20% 효과의 경우 가비알 3스킬의 피해 경감 50% 효과와 비교했을 때 큰 가치를 갖지 않음

- 가장 조합 효율이 높은 대원은 링 3스킬과 스카디 더 커럽팅 하트 3스킬, 엑시아 3스킬 등이 존재하여 한정캐 보유 및 육성에 큰 영향을 받는 단점 존재

- 터렛을 공격해야만 터렛이 스킬을 발동하므로, 터렛을 공격하여 얻는 이득과 적을 직접 공격하여 얻는 이득을 고려했을 때에 스테인리스 3스킬로 얻는 이점이 충분히 낮은 편





육성 추천도: 1정예 1레벨 스킬 7레벨로 2스킬 위주 사용(소모 재화 대비 2정예화 효율 매우 낮음)




추천도: F(초급자) ~ C+ (숙련자)

윈드플릿


- 서포터, 캐스터 직군에만 보조 가능, 추천 보조는 이격 스카디 or 패신저 등

- 장치 효과는 중첩되어 최대 68%의 공격력 증가 효과

- 1스킬 기간 동안, 스스로 SP 회복 가능



- 1스킬의 공격력 증가 및 SP 회복 효과 보조는 중첩 가능

- 1명이 2개의 장치를 적용한 상태일 경우, 2SP 획득 가능

- 2명이 각각 1개의 장치를 적용한 상태일 경우, 각각 2SP 획득 가능(버그로 추정됨)

- 1스킬의 3×3 공격 범위는 어느 정도 딜링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공격 속도가 느려(1.5s) 기본 딜링 능력이 애매한 편



- 2스킬동안 장비 2개를 모두 장착할 경우, 15초간 +68% 공격력 상승 효과

- 장비는 실버애쉬 재능의 -10% 재배치쿨 감소 효과를 받으나, 전장에는 최대 2개까지만 배치 가능



- 2스킬 메인


- 장비의 공격력 증가 효과는 윈드플릿의 공격력을 따라가므로, 2스킬의 스킬작 레벨에 따라 잠재 효율 4~7%


- 굳이 육성할 필요는 X



추천도: B-

F vs B- 로 윈드플릿 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