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타는 챈을 진화시켜보자


우선 춘천부터


지도부터 보고 시작하도록 하자.


자주색은 대형마트 또는 그에 준하는 상업시설 / 백화점이고, 갈색은 멀티플렉스 영화관, 청색은 버스터미널과 기차역.

검은 선 안이 제대로 된 시내(City)고, 회색 선 안이 도농복합지역 포함(Urban)이라고 보면 됨.


 

이름을 보면서 설명해보도록 하자.


춘천시는 일반적인 도시처럼 구획별로 분류하기에는 지나치게 연결성이 강함. 따라서 분절 가능한 지역은 중부의 원도심, 원도심과 소양강으로 분절되어 있는 강북, 공지천과 강원대로 분절되어 있는 신도심이 있고, 그 안에서는 상업지구 위치에 따라서 주로 이용하는 상업지구가 달라질 뿐 도시구조의 분절성 같은 건 거의 없음. 심하게는 명동-온의동-퇴계동 간의 연결성도 있고.


우선 주요 프로필을 알아보자.


춘천시 (春川市 / City of Chuncheon)

면적 1,116.41

City 245,000 / Urban 265,000 / 시 인구 282,328명 / 1.5% 통근통학권 460,000 / Metro 540,000


시장 이재수

국회의원 허영 / 한기호

도의회 의석 5석

시의회 의석 21석


역사

맥국의 수도 

(백제의 주양(다수설))

고구려 수차약 / 수추성

신라 우수주 - 수약주 - 삭주 - 광해주 (광해군 군호의 어원)

고려 춘주 - 안양도호부 - 춘주

조선 춘천도호부 - 춘천유수부 (1888) - 춘천군 (1895) - 춘천부 / 춘성군 (1946) - 춘천시 (1995)


신라 삭주 치소

고려 춘주도

조선 춘천부관찰부청 - 강원도관찰부청

일제 강원도청

대한민국 강원도청


지정면 승격 1917년 (최초)

읍 승격 1931년 (최초)

부 승격 1946년 (남한 11번째)

특례시 예정 (2020년대)


행정

1읍 9면 15행정동 29법정동


문화

중부지방 (중남부 - 중북부 혼합)

영서 중부 방언 (춘천 방언)

닭갈비 / 막국수 / 된장소면 / 장칼국수(막장) 등


최고층 건물 : 춘천 센트럴타워 푸르지오 (160.5m / 2022년 완공 예정) (강원도 최고층 빌딩)

백화점 : M백화점 1

대형마트 : 롯데마트 2 / 이마트 1 / 홈플러스 1

대형 상업시설 : 하나로마트 1 / NH타운 1 (2021.09) / MS리테일 1

지하상가 총연장 : 1km

서비스센터 : 삼성 1 / LG 1 / 애플 1

멀티플렉스 : CGV 1 (IMAX (강원도 유일) / 아트하우스) / 메가박스 1 / 롯데시네마 1 / 예정 1 (NH타운)

프로스포츠 팀 : 강원 FC

주요 축제 : 춘천닭갈비막국수축제, 춘천마임축제, 춘천인형극제

지역축제 : 소양제 / 의암제


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 / 서울양양고속도로

철도역 : 경춘선 6 (춘천, 남춘천, 김유정, 강촌, 백양리, 굴봉산)

버스터미널 : 춘천시외버스터미널 / 춘천고속버스터미널

여객선터미널 : 소양호여객선터미널


종합병원 : 강원대학교병원 (2차) /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2차) / 국군춘천병원

초등학교 : 35개교 2개분교 (+2개교)

중학교 : 19개교 (남자중학교 1개교, 여자중학교 2개교)

고등학교 : 14개교 (남자고등학교 4개교 (-1개교), 여자고등학교 3개교 / 특목고 1개교, 특성화고 3개교, 대안학교 1개교)

대학교 : 8개교 (4년재 4개교, 전문대학 4개교) (주요대학 : 강원대학교 / 한림대학교 / 춘천교육대학교)


주요 기관 : 강원도청 / 강원경찰청 / 강원도교육청 / 강원도소방본부 / 춘천지방법원 / 춘천지방검찰청 / 지방병무청, 조달청, 중소벤처기업청, 정부합동청사, 한국은행 등


도시 특성

서울과 가까운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토박이 비율이 상당하고 타 도시와의 교통이 폐쇄적이었던 관계로 지역색이 상당히 강함.

도청 및 도급 행정기관에 대한 사수의지가 매우매우매우매우매우매우매우 강함

대부분 사람들, 특히 비공무원이 상당히 낙천적인 성향

의암호, 청평호, 춘천호, 소양호 등으로 도시 발전에 과도한 제약을 받으면서 이에 대한 보상의식이 강함


도시구조 내부 특성

명동 (중심) - 단독주택형 상업시설 / 주거시설 - 고밀도 주거시설 (아파트) / 근린상업시설 형태의 스프롤

명동에 상업 / 업무시설이 집중된 단핵 중앙집중형 도시구조

산업시설의 경우 환경규제 때문에 대부분이 외곽에 위치


도시구조 외부 특성

주변에 도시가 없어 강원도 최대의 도시권을 형성함

주변 도시가 굉장히 멀어 (서울, 원주, 속초) 주변 도시 중 어느 곳과도 그리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함

준수도권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특성이 서울과는 현저히 다른 모습을 보임



다음은 원주




원주시 (原州市 / Wonju City)

면적 868.28

City 255,000 (도심) 280,000 (도심 + 혁신도시) 300,000 (도심 + 혁신도시 + 기업도시) / Urban 320,000 / 시 인구 354,437명 / 1.5% 통근통학권 400,000 / Metro 420,000 (원주 + 횡성 + 서평창) 850,000 (원주권 + 충주권 + 제천권)


역사

마한 54국 중 하나

백제

고구려 평원군

신라 북원소경 - 북원경

고려 원주 - 익흥도호부 - 원주목

조선 원주목 - 원주군 (1895) - 원주시 / 원성군 (1955) - 원주시 (1995)


신라 북원소경 - 북원경

조선 강원감영

남북전쟁기 강원도청 임시청사 (1950 - 1953)


읍 승격 1937년

시 승격 1955년


행정

1읍 8면 16행정동 18법정동


문화

중남부지방

영서 남부 방언

원주식 추어탕 등


최고층 건물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본원 (126.6m) (전 강원도 최고층 빌딩)

백화점 : AK프라자 1

대형마트 : 롯데마트 1 / 이마트 1 / 홈플러스 1

서비스센터 : 삼성 1 / LG 1 / 애플 1

멀티플렉스 : CGV 1 / 메가박스 2 / 롯데시네마 2

프로스포츠 팀 : 원주 DB 프로미

주요 축제 : 원주다이나믹페스티벌


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광주원주고속도로

철도역 : 중앙선 2 (서원주, 원주) / 경강선 1 (만종)

버스터미널 : 원주시외버스터미널 / 원주고속버스터미널

공항 : 원주공항


종합병원 : 원주기독병원 (3차) / 원주의료원 (2차) / 국군춘천병원

초등학교 : 51개교

중학교 : 24개교 (남자중학교 4개교, 여자중학교 2개교)

고등학교 : 15개교 (남자고등학교 3개교, 여자고등학교 3개교 / 특목고 2개교, 특성화고 3개교)

대학교 : 6개교 (4년재 5개교, 전문대학 1개교) (주요대학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 상지대학교 / 한라대학교)


주요 기관 :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관광공사, 도로교통공단, 원주지방환경청, 북부지방산림청, 강원지방우정청 등


도시 특성

춘천과는 달리 외지인 비율이 매우 높아 지역색의 경우 그렇게 강하지 않음. 다만 드문드문 있는 토박이들은 또 그렇지도 않음.

강원도청을 욕심내는 사람들이 매우 많음

사람들의 성향은 대체로 일반적이나 역시 토박이들은 조금 낙천적인 성향

(특히 원도심에서) 원주가 우범도시라는 인식이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경향


도시구조 내부 특성

원도심의 경우 낙후되었고, 중앙시장에서 좀 거리가 있고 신도심과 인접하지 못한 구 원주역 일대와 남부시장 일대의 경우 상당한 우범지역

외곽의 주요 지역인 태장동, 원주혁신도시, 원주기업도시가 기존 시가지와 상당히 분절성이 강함

춘천과는 달리 언덕이 아닌 산을 타넘고 발전한 관계로 단계동, 무실동, 구곡택지, 단관택지 등이 원도심과 도시구조가 분절됨

원주교도소의 존재로 인해 단계동과 무실동의 밀접성이 떨어짐

빈민촌(대명농원, 단구동)이 존재하며 1950년대-1980년대와 1990년대 - 현재의 도시 발전 방향이 달라 기존 발전 방향이었던 북부는 낙후되어 있음.

그러나 개발 가용부지가 분산되어 개별적인 개발에 용이해 소소한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게 됨


도시구조 외부 특성

주변에 도시가 많으나 원주시가 확실한 주도관계를 형성하지 못함

서울에서 온 이주민의 영향으로 지역색이 옅고 신도심지나 서부지역의 경우 상당히 경기도스러운 모습

충주, 제천과의 관계는 도시권은 아니지만 남남은 아닌 그런 관계


2편에서는 춘천, 3편에서는 원주의 각 지역에 대한 분석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