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죄다 읍면 이름으로 부르고 읍면을 통째로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는 없음

여기다가 추가되는 게 예당리가 커서 예당리 및 주변은 예당으로 부르고, 명봉리는 보성에서 광주로 넘어가는 관문이라 그런지 명봉리 쪽 골짜기를 명봉이라고 부르는데 이들은 읍면명과 동일한 단위처럼 쓰임 (명봉은 다른 사람들도 쓰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일단 우리집에서는 명봉 3개리는 절대 노동이라고 안 부름)

그리고 여러 리를 통틀어 말하는 이름이면서 읍면명과 혼용하는 경우가 있는 게 회천면인데, 율포해수욕장 쪽 골짜기를 율포, 회령리 쪽 골짜기를 회령, 회천면 동부를 천포라고도 부르지만 다 그냥 회천이라고 부르기도 함.

그리고 나머지는 1개의 리만을 지칭하는데, 사는 읍면에 따라 읍면명 급으로 많이 쓰이는 리명들이 각각 다를 수 있으며, 이 경우에조차 해당하지 않는 리들은 그냥 리명을 굳이 언급해야 하는 경우에만 쓰임. 거기다가 일부 마을들은 법정리가 아닌 마을 이름으로 더 자주 불리는 경우도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