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새 신청자 14배나 급증

지난해 503549명이 신청

서울·경기 6만명, 부산 1만명

전국서 161855명이 땅 찾아


대구=박천학 기자, 전국종합

지난달 대구 중구청을 방문한 김모(52) 씨는 ‘조상 땅 찾기 서비스’로 증조부 명의의 경남지역 토지 1114㎡를 확인했다. 김 씨는 6·25전쟁 때 증조부가 갑자기 사망하고 가족이 다른 지역으로 이사한 후 증조·고조부가 남겨둔 땅이 있었다는 주변의 말을 듣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전산조회를 의뢰했다. 김 씨는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땅을 찾았다. 추석을 앞두고 횡재한 것 같다”고 말했다.

아파트, 땅 등 부동산 열기가 식을 줄 모르면서 조상 땅 찾기 서비스 이용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땅값이 급등하는 수도권에서 서비스 이용이 폭증하는 가운데 지방에서도 만만치 않게 늘고 있다. 이 서비스는 후손이 각 지방자치단체에 신청하면 갑작스러운 사망이나 관리 소홀 등으로 물려주지 못한 조상 명의의 땅을 전산조회로 찾아주는 것이다.

14일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센터에 따르면 이 서비스 신청 인원은 2010년 전국 3만6492명에서 2015년 41987명, 지난해 503549명으로 10년 사이 13.8배나 급증했다. 이 가운데 조상 땅을 찾은 인원 역시 2010년 1만2918명, 2015년 10257명, 지난해 161855명으로 같은 기간 12.5배 늘었다. 또 이들이 찾은 땅은 2010년 144.59㎢, 2015년 572.32㎢, 지난해 806.17㎢로 10년 사이 5.57배 증가했다.

특히 정부의 각종 대책에도 개발지역 등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수도권에서 이 서비스를 통해 땅을 찾은 인원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서울은 2010년 2130명에서 2015년 2만2387명, 지난해 2만8044명으로 10년 사이 13.1배 증가했고 경기 역시 2010년 1938명, 2015년 2만4189명, 2020년 3만5019명으로 같은 기간 18.0배 폭증했다.

서울과 경기의 서비스 이용 열풍은 2015년부터 불붙기 시작했으며 이들 시·도는 이후 매년 2만~3만 명이 조상 땅을 찾고 있다. 이모(50·경기 용인시) 씨는 올해 주변의 권유로 이 서비스를 이용해 여주시 소재 조부 명의 임야 6000㎡를 찾았다. 조모(68·〃성남시) 씨도 부친 명의로 된 1만3587㎡ 규모의 땅을 확인했다. 이 서비스는 지방으로도 크게 확산해 2020년 땅을 찾은 인원이 부산 1만750명, 대구 7416명으로 파악됐다.

대구시 관계자는 “이 서비스는 후손이 몰랐던 땅을 찾아주는 효과가 크지만, 부동산 시장이 갈수록 과열되면서 조상 땅에 대한 기대심리도 덩달아 고조되는 현상을 보여 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