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04년 개편전 서울시내버스 시계외요금 적용지역에서 광명과 과천만 제외하여 형평성 논란 자초, 광명ㆍ안양권 서울시내버스 노선은 칼질에서 비교적 자유 <->
서울시내버스의 시계외구간 가위질, 서울시계출입 경기도노선 총량제


2. 7호선 광명구간과 8호선 구성남구간에 대해 서울시가 군말없이 자기네 돈으로 건설 <->
 7호선 인천ㆍ부천구간, 4호선 남양주구간
, 5호선 하남구간 공사에 서울시비 투입x, 이제부터 기존 서울시내전철의 시계외연장은 직결이 아닌 평면환승을 원칙으로 하겠다고 천명, 7호선 인천ㆍ부천구간에 대해 서교공이 위탁받았던 것을 손절치고 인교공으로 이관.


3. 광명ㆍ구로ㆍ금천 택시사업구역 성사 <->
이후 여타 위성도시와의 택시사업구역 미추진, 서울택시 시계외할증 부활


4. 1988년 이래로 서남물재생센터가 광명시 대부분 하수를 위탁처리 (물론 광명시 지분만큼의 시설관리ㆍ증축 분담금 및 처리비용 유상징수) <-> 하수관거 설계미스로 서울시 하수체계에 유입된 소량의 안양시 하수를 빌미로 서울시가 안양시에 고소미 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