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가 정확한진 모르겠는데 통계상 인구밀도랑 실질 인구밀도는 꽤 차이가 있는게 맞나?

물론 인구라던가 면적이라던가 완벽히 정확한 수치를 낼 수는 없겠지만 저 둘은 어림잡아 계산해도 차이가 꽤 클듯?


예를들어 대한민국 인구밀도라고 하면 그냥 주민등록 인구를 면적으로 나누잖아

근데 주민등록 인구중에는 실제 한국에 거주하지 않는 재외국민도 포함되어있고,

반대로 실제 한국에는 존재하지만 주민등록은 되지 않은 외국인 인구는 제외되어 있음.


그러면 실질적인 한국 땅에 존재하는(?) 사람의 수 = (주민등록 인구 - 재외국민 + 한국 거주 외국인 인구)일테고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JA1501&conn_path=I2(외국인인구)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 인구)

통계 참고하면 한국 영토에 존재하는 사람의 수는 (51,439,038 - 80,536 + 1,649,967) = 53,008,469명


면적도 실제론 사람이 살 수 없는 내수면 면적을 제외한게 실질적인 면적(토지)니까...

통계상 면적에서 내수면 면적을 뺀 값이 실질면적(?)이고.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28(토지면적)

https://www.fao.org/countryprofiles/index/en/?iso3=KOR(내수면)

통계 참고하면 한국 실질 토지 면적은 (100,432 - 2,850) = 97,582km²


오차 고려해서 어림잡아 각각 5,300만명 / 97,600km²라고 했을 때 인구밀도는 543.0명/km²

요약하면 아래와 같음


대한민국인구면적인구밀도
통계51,439,038명100,432km²512.2명/km²
실질53,000,000명97,600km²543.0명/km²


그냥 국가 단위로 명목상 계산한 통계값이랑 실질적 값이랑 확실히 많이 차이나는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