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rca.live/b/city/8358381?p=1 글에서 삘을 받아, pdf 그림을 도형화(shp파일) 해서 면적을 계산해보자.

일단 pdf파일을 다운받고...

찾아낸 사이트인 https://mygeodata.cloud/converter/ 를 엽니다. 여기서 영어가 보이는대로, 마우스가 끌리는 대로




pdf를 업로드 한 후...




shp로 변환합니다.  업로드한 자료가 벡터랑 래스터랑 메차쿠챠되어있는데 뭘로 바꿀거냐 하는 질문인데 벡터유형으로 해 줍시다.




인풋데이터에 이거저거 여러가지가 메차쿠챠되어있는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것들은 나중에 다 레이어로 구성이 될 예정입니다.

좌표계가 설명이 되어있기는하나, 저걸 따지지면 좀 설명이 복잡해지니, 이 파일을 단독으로 쓸 생각을 하고 건드리지 맙시다.

확장자는 shp로 하시고, convert now를 누질러줍시다.




쟈안, 다운로드를 해줍시다.




압축파일을 까 보면 파일이 많습니다. 대체로 cpg dbf prj shp shx파일이 한 세트라고 보시면 되는데, 우리가 쓸 건 shp파일입니다.

shp파일 중 하나인 'Admin_Lv3_tm-line'를 qgis에 드래그 투척해줍시다.



그럼 pdf에서 보던 파일에서 도형정보가 선으로만 따집니다. 이걸 면적(polygon)으로 바꿔야 면적 계산이 되겠죠?




'라인을 폴리곤으로' 라는 기능을 써 줍시다. 고로묘는 




요롷게 나옵니다. 근데 어머 찌블... 라인이 폐합이 안되서 폴리곤 구성이 안된곳이 보이네요...?

이러면 나가린데... ㅡㅡ....


왜 폴리곤 구성이 안되는지를 따져봅시다. 아래 과정은 이해하기 어려우실 수 있으니 넘어가셔도 무방합니다.




폴리곤 형성이 안되는 라인을 검토하기 위해 무결성 검증 기능을 씁니다. 




분석 결과 한 점에서 중복노드(중복점)이 있군요. 하나를 삭제해주면 위 사용한 기능인 '라인을 폴리곤으로'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할겁니다.




정상적으로 닫히는군요. 나머지 빵구나는 몇군데도 수정을 후다닥 해보겠습니다.




어지간한 곳은 다 닫힌거 같습니다. 이제 면적계산을 해볼건데요. 필드계산기에서 면적계산을 하는 기능입니다.




속성테이블은 속성값을 가지고있는 엑셀데이터라고 생각하시면 편하시고 필드계산기는 함수를 걸어 원하는 값을 구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면적이라는 새 필드를 만들면서, 그 값을 구하는 식을 'to_int($area)/10000'로 걸었는데요. 각 폴리곤의 면적을 구하는 기능이 '$area' 구요.

앞에 붙인 'to_int'는 소수점을 떼고 정수값으로 표현, 뒤에 10000으로 나눈 것은 제곱미터 단위 표현을 ha단위로 보기 위함입니다.






위와 같이 도형의 표현방법을 바까주고... 라벨 표현으로 계산한 면적도 나타내줍시다.





그러면 쨘, 완성입니다.... pdf를 벡터화시키는 사이트는 저도 신기하더라고요. 중간에 무결성검증이 좀 귀찮긴했는데,

그래도 무사히 다 닫히는 조건이었슴다. 이상 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