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 보기: 평안북도 벽동군

평안북도의 군

昌城郡 / Changseong County

현청 소재지: 우면로 21 (옥계리)

광역자치단체: 평안북도

하위 행정구역: 3읍 2면

인구: 44,001명

면적: 1322.56㎢

인구 밀도: 33.3명/㎢


1. 개요

평안북도의 군. 벽동과 함께 벽창호의 어원이 된 지역이다.


2. 역사

1943년: 수풍댐이 건설되어 창성면, 전창면(田倉面), 창주면(昌州面)이 수몰되어 군청이 우면(祐面)으로 이전하였다. 동시에 우면이 창성면으로 개칭되었다.

1960년

 - 평안북도의 모든 동들이 리로 전환되었다.

 - 동창면 두룡리가 대창면으로 편입되었다.

1966년: 동창면이 대유읍으로 승격되었다.

1979년: 창성면이 창성읍으로 승격되었다.

2007년: 대창면이 대창읍으로 승격되었다.


3. 경제

농업을 비롯한 1차 산업이 군의 경제를 지탱하고 있다. 대유읍에 있는 대유금광을 중심으로 금광이 번성하였으나, 채산성의 감소로 폐광되었다.


4. 교통

4.1. 도로

[창성군 도로지도]

4.1.1. 고속도로

 * 의주온성고속도로: (삭주 나들목) - 창성 교차로 - (벽동 교차로)

 * 평산창성고속도로: (운산 나들목) - 대창 나들목 - 신창 나들목 - 창성 나들목 - 창성 교차로 - (시종점)

4.1.2. 국도

 * 10번 국도


5. 문화유산 및 관광

 * 창성향교(昌城鄕校): 창성읍 인산리 소재.

 * 대유금광(大楡金鑛): 대유읍 대유리 소재.


6. 하위 행정구역

[창성군 읍면 지도]

[창성군 법정리 지도]

6.1. 읍

6.1.1. 창성읍(昌城邑)

 * 관할 법정리: 옥계(玉溪), 간암(間巖), 금야(錦野), 낙성(洛城), 달산(達山), 봉천(峰泉), 상(上), 신평(新坪), 유평(楡坪), 의산(義山), 인산(仁山), 임산(琳山), 중(中)

인구는 15,791명.

원래 지명은 우면(祐面)이었으나, 1943년 수풍댐 건설로 수몰된 구 창성면에 있었던 군청이 우면으로 이전하면서 현재의 지명으로 개칭되었다.

창성 교차로가 임산리에 있고, 창성 나들목이 옥계리에 있다.

7.1.2. 대유읍(大楡邑)

 * 관할 법정리: 이천(梨川), 대(大), 대유(大楡)

인구는 5,853명.

원래 지명은 동창면(東倉面)이었으나, 읍으로 승격되면서 현재의 지명으로 개칭되었다.

어자령(於自嶺, 474m)을 통해 북진시와 연결된다. 1897년 프랑스인과 미국인에 의해 채굴된 대유금광이 있으며, 북진의 북진금광과 옹진의 옹진금광과 함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금광으로 알려져 있다. 창성읍보다 일찍 읍으로 승격되고 인구가 3만 명 대에 도달할 정도로 번성한 읍이었으나, 80년대 채산성 문제로 광업이 쇠퇴하면서 인구가 감소했다.

창성군에 있는 읍면 가운데 유일하게 고속도로가 지나가지 않는다.

7.1.3. 대창읍(大倉邑)

 * 관할 법정리: 봉룡(鳳龍), 고직(高直), 두룡(頭龍), 창서(倉西), 학성(鶴城)

인구는 12,785명.

창성군청 남부출장소가 있으며, 옛 창성군의 중심 지역이다.

봉룡리에 대창 나들목이 있다.

8.2. 면

8.2.1. 신창면(新倉面)

 * 관할 법정리: 화풍(和豊), 신안(新安), 연풍(鉛豊), 완풍(完豊), 회덕(檜德)

인구는 3,681명.

신안리에 신창 교차로가 있다.

8.2.2. 청산면(靑山面)

 * 관할 법정리: 학송(鶴松), 금성(錦城), 봉명(鳳鳴), 상수양(上水陽), 양덕(陽德), 용두(龍頭), 용전(龍田), 율곡(栗谷), 청룡(靑龍), 학봉(鶴峰)

인구는 5,891명.

지경령(地境嶺, 165m)을 통해 운산군 성면과 연결된다.

학송리에 청산 나들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