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개막식이 열릴 대전 '서남부종합스포츠타운'이 정부 심사에서 고배를 마시면서 대회 준비에 비상이 걸렸다.

계획대로 개막식을 치르기 위해선 속도감 있는 행정절차가 필수지만, 착공에 필요한 핵심 관문을 제때 넘지 못하면서 일정 지연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남은 절차와 토지보상 등 변수가 산적한 가운데 잼버리로 하락한 국가 신뢰도를 회복하고,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서라도 정부 관심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서남부종합스포츠타운 2단계 체육시설 건립 사업이 최근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 결과 '재검토'를 받아 통과에 실패했다. 사업부지 내 개발제한구역(GB)이 먼저 해제돼야 한다는 게 이유로, 행안부는 지난해 지방재정투자심사에서 조건부로 GB 해제를 제시한 바 있다. 현재로선 GB 해제의 핵심 관문인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중도위) 심의가 내달 예정대로 진행되길 바라는 수밖에 없다.

앞서 대전시와 국토부는 지난 5월 GB 해제의 당위성과 훼손지 복구 계획에 대한 사전 협의를 완료했다. 2021년 6월부터 끌어온 협의 절차를 2년 만에 매듭지은 것으로, 주민공람 절차도 끝마친 상태다. 시는 내달 중도위 문턱을 넘고 오는 12월쯤 국토부의 그린벨트 해제 결정·고시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GB 해제 후에는 곧바로 행안부 중투심에 재도전할 예정이다.

이 절차가 순항하더라도, 올해 3분기내 통과 목표를 세웠던 행안부 중투심이 고배를 마시면서 사실상 착공이 수개월가량 지연될 전망이다.

사유지가 대부분인 토지 보상에 시간이 얼마나 걸릴 지 예측할 수 없다는 점도 변수다.

보상이 1년 만에 끝나 2025년 첫 삽을 뜬다고 가정해도, 사실상 공사 기간이 부족해 대회 개최 전 완공이 불가능할 것이란 예측조차 제기된다.

일각에선 이 대회가 대규모 국제대회인 만큼,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특히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파행으로 하락한 대외 신뢰도를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더욱 촘촘한 준비 체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027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는 충청권 사상 첫 종합경기대회이자, 세계 150여 개국 1만 5000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국제행사다.

개최 시기에 맞춰 서남부종합스포츠타운을 건립하는 게 최대 목표인 상황이지만, 각종 행정절차가 맞물리면서 일정에 빨간불이 켜졌다.

대전시 관계자는 "내년 1분기에 중투심 통과를 예상하고 있다"며 "착공 시기가 지연됐지만, 적기에 준공이 어려울 경우를 대비해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개막식을 치르는 방안 등 플랜B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출처 : 대전일보(http://www.daejonilbo.com)


아이고 이게 뭔 일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