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화 Burgeon qkfghk

이 글에서 소개될 발화팟은

연소에 의해 원핵생성이 막히는 부분을 해결하여 발화반응을 최대로 이끌어내고자 하는 구성들임.

(연소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까지 알아보는 심화적인 내용)


증발 중심의 [증발화팟]까지 전체적인 발화팟을 소개하는 자료는 아래 글에서 확인할 것.

싱글벙글 발화 파티조합 가이드

https://arca.live/b/genshin/87078717



목차

1. [이론적인 내용]

1-1. [발화팟의 장점 간략 설명]

1-2. [발화팟의 원핵생성 문제점과 해결안]

2. [연소문제가 해결된 발화팟]

2-1. [불딜러]

2-2. [베넷(6돌)]

2-3. [전환발화 (카즈하+베넷 / 진+베넷)]

2-4. [데히야 오프필드]

2-5. [토마 온필드/오프필드]

2-6. [향릉 온필드/오프필드]

3. [영상자료] (분량상 접기 기능 사용)

4. [마무리]




1. [이론적인 내용]



1-1. [발화팟의 장점 간략 설명]

만개팟이 <촉진/발산>의 격화반응들과 함께 이끌어가는 것이라면,

발화팟은 연소에 이은 <증발>반응이 중심이 되어 이끌어가는 구조라 볼 수 있음.

범위가 제법 넓은 자해딜 환경 상 힐러를 필수적으로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만개팟과 비교하면 까다로운 파티조합이라 볼 수 있지만,

아래와 같이 증발을 시작으로 발화팟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들도 분명히 있음.


1) 지속적인 연소에 의한 물딜러의 증발 환경이 갖추어짐.


그 중에서 영상과 같이 물딜러의 계수가 높은 스킬에 증발반응을 유도해줄 수 있음.

이는 발화팟 특성상 대체로 연소로 시작하는 사이클을 가지기 때문에 가능한 것.


1사이클에서는 연소를 먼저 발생시키기 위해 불딜러의 평타나 스킬로 시작해줄 필요가 있는데,

2사이클부터는 연소가 이전부터 계속 발생 중이라 1사이클처럼 불딜러의 순서를 꼬울 필요가 없어짐.

[예시 - 연나야시]

1사이클 <연비 평타x1 - 나히다 EQ - 야란 E(증발) Q평 - 시노부 E평 - 연비 (Q평) E평평평 평평평 · · · (E)>

2사이클 <나히다 EQ - 야란 E(증발) Q평 - 시노부 E평 - 연비 (Q평) E평평평 평평평 · · · (E)>



2) 불속성이 구성된 파티인 만큼 만개팟이 취약한 속성의 적들에게 특히 강력히 대응할 수 있음.

만개팟의 약점이 대표적으로 얼음실드의 적들이라 볼 수 있는데, 발화팟이 이를 제대로 카운터 칠 수 있음.

지난 3.7나선 12층 후반부가 심연메이지(얼음x1)+(물x1) / 심연사도(얼음x2)+(물x1) / 침례자(얼음-물-불)의 형태로 나온 적이 있는데, 얼음실드와 물실드가 지배적이였던 만큼 발화팟이 효과적으로 쓰였던 바 있음.





1-2. [발화팟의 원핵생성 문제점과 해결안] 

발화팟 계열에서 발화반응에 의존적인 [순수발화팟]은

연소에 의해 '개화반응(원핵생성)'이 막히는 부분을 큰 문제점으로 짚을 수 있음.

(증발 중심의 [증발화팟]은 발화가 보조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음.)



보통 발화팟에서 많이들 겪을 수 있는 현상인데,

연소가 발생하면서 물과 풀의 결합을 방해하여 개화반응을 억제하는 상황임.

만개팟과 비교해서 생성되는 원핵이 눈에 띄게 적음.



연소가 문제면 물을 하나 더 넣어서 불을 즉시 죽여버리는 [2물 발화팟] 방향은 어떨까?



아쉽게도 단순히 2물 구성으로는 여전히 원핵이 잘 생성되지 않았음.

연소가 발생과 동시에 종료 되었다 해도 1풀 구성의 풀부착 주기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임. 

그러니까, 단순히 연소만 없애면 될 뿐만이 아니라 개화반응을 일으킬 물부착과 풀부착이 충분하게 있어야 함.



위 결론을 토대로 원핵을 잘 뽑아낼 수 있는 구성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나옴.


1) [번개 + 발화팟] "원핵 ㅅㅌㅊ."


과부하와 증발의 이중 반응으로 연소 게이지와 불 게이지 빠르게 소모시키고 물과 풀의 게이지를 적절하게 남겨서인지,

개화반응의 주기가 모든 발화팟 계열 중 가장 빨랐고, 원핵 생성량이 만개팟과 비슷할 정도로 만족스러웠음.

무엇보다 <촉진/발산> 반응까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었던 구성임.


[나행시]를 즐기던 원붕이들은 온필드에 불딜러를 넣어줘서 간단하게 이 구성을 접해볼 수 있다.



2) [풀 온필드 발화팟] or [2풀 발화팟] "원핵 ㅍㅌㅊ ~ ㅅㅌㅊ"


연소가 꺼진 직후에 풀부착을 우겨넣어서 원핵을 2~3개씩 확실하게 생성해내는 방향임.

특히, 나히다나 알하이탐이 온필드인 구성에서는 1풀이라도 원핵생성량이 아주 좋음.


이쪽은 총 네 가지의 구성을 고려해볼 수 있는데, 원핵생성량 순으로는 다음과 같다 보고 있음.

[풀 온필드 / 1풀+2물] > [풀 온필드 / 2풀+1물] > [풀 온필드 / 1풀+1물+( )] [풀 오프필드 / 2풀+1물]



3) [바람/바위/얼음 + 발화팟] "원핵이 쪼~금은 더 잘 나오는 수준..."

"바람/바위/얼음 캐릭터의 부착쿨이 중요함. 웬만해서는 온필드이어야 함."


'바람(확산)'과 '바위(결정화)'는 연소를 한방에 없애버릴 수 있지만, 물도 같이 보내버려서인지 아쉽게도 위 구성들과 비교하면 개화반응이 잘 일어난다고 할 수준은 아니었음.

하지만, 개화가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동시에 <연소→증발>연계가 가능한 것이 이 파티의 장점임.


'얼음'은 불을 한번에 끌 수가 없어서 위 바람, 바위와 상황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데, 

마찬가지로 개화가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동시에 <연소→융해/증발>연계가 가능한 것이 장점.

다만, 융해를 주로 가져가는 만큼 얼음딜러가 메인인 파티구성이어야 함.




아래는 연소 문제를 해결한 발화팟임. 원핵이 얼마나 잘 뽑히고 있는지 확인해보셈.


[번개 + 발화] <베넷6돌 : 과증발화팟>



[풀 온필드 + 발화] <풀 온필드 : 2물 발화팟>



앞서 보여준 짤들과 비교해보면 개화반응 부분에서 확실히 다름을 느낄 수 있을 것임.

단순히 [물+풀+불]로만 구성된 발화팟보다 원핵이 최소 2배는 더 잘 나오는 상태.





2. [연소문제가 해결된 발화팟]

"먼저 소개되는 그룹 순으로 접근성이 좋다고 할 수 있음." (세팅이 쉬운 순) 


내용전개에 앞서 물섭딜 포지션으로 자주 등장하게 될 [야란/행추]에 대해 이야기 할 것이 있는데,

발화팟에서는 행추보다 야란에게 점수를 훨씬 높게 주는 편임.

이는 이들이 증발의 주체가 될 수 있는 부분 때문인데, 행추는 4성의 스펙업 한계성 때문에 증발 고점에서 5성인 야란에게 밀려서임.

만개팟은 <촉진/발산>반응이 받쳐주고 있는 형태라서 원핵을 잘 싸주는 쪽이 우위를 점하기도 하지만, 발화팟은 <증발>반응이 이끌어가야 하는 구조라서 증발딜이 낮으면 그만큼 파티 DPS가 떨어짐.

이를 이해하면 좀 더 강한 발화팟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꺼임.



2-1. [불딜러]

- 불딜러를 발화트리거로 사용하는 파티

- 불딜러의 세팅은 '올원마세팅'과 '딜세팅'으로 나뉠 수 있고, 그에 따라 파티성격도 바뀔 수 있음.

  ┗ 원마세팅 불딜러 : 발화 중심의 [순수발화팟]

  ┗ 딜세팅 불딜러 : 증발 중심의 [증발화팟]

- 세팅은 '원마세팅' 쪽이 부옵 신경 안쓰고 원마주옵만 파밍하면 되는 것과, 특성을 아예 안올려도 되서 육성난이도가 매우 낮음.

  ┗ 애초에 깡딜로 찍어누를 것이면 '딜세팅' 쪽은 [야카베] [푸카베] [야푸베] 방향이 훨씬 고점 높음.



[불딜러(평타형)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다야나시, 클나야시, 연나야시 등)

발화팟 계열 중 가장 접근성이 좋은 구성.

나행시, 나야시에 '평타형 불딜러'만 붙이면 완성되는 발화팟 계열임.


[불딜러(평타형) : 과증발화]


(대표1 : 연야피백, 클야피백, 다야피백 등)

(대표2(호박나히다) : 연행피나, 클행피나, 다행피나 등)

번개섭딜로 연소를 제어하는 발화팟 계열

행추를 채용할 시 우렴검의 피해감소와 소량 힐 기능들을 이용해서 '호박나히다'도 고려해보기 좋음.

다만, [야란+호박나히다] 구성은 위험한 상황이 많이 발생하니 주의.


[불딜러(평타형) : 슈퍼아머 과증발화]


(대표 : 연나행북, 클나행북, 다나행북 등)

72.3%~85.3% 피해감소 + 북두 1돌 보호막 + 2단 경직저항 + 행추 우렴검 힐

종려파티 이상으로 단단하고 유지력 좋은 [행추+북두] 파티.

발화 자해딜에는 피해감소 기능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나히다에게 호박을 들어주는 것이 안정적임. (행추와 함께 2힐 구조)

북두의 원충은 1번개 팟인 만큼 230~250에 기준 잡아야 함.

1:1 보스전에서는 북두의 E를 2번 굴려주는 사이클을 사용하는 것이 좋음.

예시 <북두 E - 서브1 EQ - 서브2 EQ - 북두 EQ - 온필드 딜타임>

(페보 북두는 이 부분을 고려할 필요가 없음.)


[불딜러(평타형) : 2풀 발화]

(대표 : 다야나백, 클나야백, 연나야백, 호야나백 등)

연소가 꺼졌을 때 한번에 많은 원핵을 생성 해내고자 하는 2풀 발화팟.

2풀 구성답게 물부착이 자주 꺼지기 때문에 불딜러의 증발이 불가능한 만큼

'원마세팅의 불딜러'만을 추천함.

호박나히다를 사용한다면 키라라(4돌)도 고려해보기 좋음.



[불딜러(강공형)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데아나시, 클나아시 등)

강공형 불딜러에 대한 연소해결 발화팟 (발화+만개)

행추/야란 조합에 비해 물부착이 좋지 못한 것은 아쉬운 부분.


[불딜러(강공형) : 과증발화]


(대표 : 클나피코, 클나미코, 데나미코 등)

강공형 불딜러에 대한 연소해결 발화팟 (발화+과증)

행추/야란 조합에 비해 물부착이 좋지 못한 것과

코코미가 <연소-증발>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쉬운 부분.





2-2. [베넷(6돌)]

- 베넷 6돌 조건부

- 베넷이 '올원마세팅'을 통해 직접 온필드에서 발화트리거가 될 수도 있음.

  ┗ 이 경우, '시노부 만개팟'처럼 파티 전체가 딜러인 셈이라 꽤 매력있는 구성임. (베넷이 발화트리거인 동시에 힐러라 덱압축)


- 원충은 [온필드 베넷] 140~160 권장 / [오프필드 베넷] 230~270 권장



[원마베넷 온필드 : 과증발화]


(대표 : 베야피나, 베야미나, 베행피나, 베나행북 등)

올원마 베넷이 온필드 발사대가 된 구성.

베넷이 직접 발화트리거가 되는 조합으로, 파티원 모두가 딜러인 형태임.

올원마 베넷의 힐량은 대충 1초당 4000대라 보면 되고, 이는 만개 시노부보다 높은 수준임.



[레이저 온필드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레야나베, 레나행베 등)

레이저 온필드의 발화+만개 파티.

레이저가 기본 물리 평타와 Q울프 번개데미지가 이중으로 들어가서 가능한 조합임.

이 파티에서 레이저의 세팅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선택지가 있음.

 원마레이저(0돌)<원원원>(발화+만개 중심)

번개레이저(4돌)<공번치>(촉진딜 중심)

(물리레이저는 이 파티구성에서 불가능함.)


야란/행추 자리에 푸리나가 들어갈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엔 원마레이저가 아닌 4돌파의 번개레이저 딜세팅으로만 준비하는 것이 옳음.



[원마 번개행자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벊나야베, 벊나행베 등)

올원마 번개행자가 온필드 발사대가 된 구성.

올원마 번개행자의 원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온필드 발사대로 들어오고, 6돌 베넷에 의해서 동시에 발화트리거가 되는 형태임.

온필드 번개행자의 원충은 1번개팟인 만큼 160~180을 권장하고, 곡옥은 본인이 먹어야 함.

행자가 크포를 끼거나, 베넷이 페보를 드는 방향으로 세팅 난이도를 낮출 수 있음.


이 그룹은 생소할 수 있으니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글을 참고.

번개행자 만개팟 가이드



[원마 풀행자 : 2풀 발화]

(대표 : 풇나야베, 풇나행베, 풇야콜베, 풇행콜베 등)

올원마 풀행자가 온필드 발사대가 된 구성.

6돌 베넷에 의해서 풀행자가 발사대인 동시에 발화트리거가 되는 형태임.

2풀 구성이라 풀행자의 요구원충량도 대폭 감소함.

풀행자의 원충은 160~180을 권장하고, 

나히다가 구성된 경우에는 풀입자가 계속 나오는 만큼 140까지도 가능함.

행자가 크포를 끼거나, 베넷이 페보를 드는 방향으로도 세팅 난이도를 더 낮출 수 있음.



[북두 온필드 : 과증발화]


(대표 : 북나야베, 북푸나베)

북두 메인딜러의 촉진/발산+과증발화 파티.

이쪽은 북두가 딜세팅이라 깡번개 촉진딜이 메인이고, 발화가 보조적 수단임.

패링북두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파티 중 가장 최고의 구성.

행추+북두 피해감면 파티와 북두 온필드 조합





2-3. [전환발화 (카즈하+베넷 / 진+베넷)]

- 베넷의 불장판을 이용해서 카즈하/진의 원폭을 불전환 시켜 발화트리거로 만듦.

- 원핵 생산량 및 트리거 주기 : 진(1초 확산) > 카즈하(2초 확산)

- 카즈하는 원핵생성 부분보다 피증버프와 몹몰이 기능이 강점임. (증발 중심적 파티)

- 나히다 파티의 경우 물확산이 어려워서 카즈하/진의 성유물은 '청록4'보다 '도금4', '낙원4', '원마2+원마2' 쪽을 추천함.

  ┗ [카즈하(6돌) 온필드 발화팟]은 예외임.


- 원충은 오프필드 기준으로 카즈하/진 모두 180~200이상을 권장 (크시포스 추천)


[풀딜러 온필드 : 연소증발화(확산)]


(대표 : 나야카베, 나야진베, 나행카베, 나행진베 등)

풀딜러가 온필드인 전환발화팟. (야란/행추가 증발을 먹음)

풀부착 빈도가 높은 만큼 원핵생성 부분에서 이점을 가짐.

나히다 외에도 알하이탐이나 카베와 같은 풀평타 캐릭들이 올 수 있음.



[물딜러 온필드 : 연소증발화(확산)]

(대표 : 아나카베, 아나진베, 탈나카베, 탈나진베 등)

물딜러가 온필드인 전환발화팟. (물딜러가 증발을 먹음)

물딜러가 메인인 구성이라 증발 중심적인 파티에 가까움.



[카즈하(6돌) 온필드 : 연소증발화(확산)]


(대표 : 카나야베, 카나행베 등)

카즈하 6돌의 평타확산을 이용하는 연소증발화팟.

카즈하가 온필드에서 지속적인 몹몰이로 발화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구성임.


베넷6돌 구성의 일반 카즈하 온필드팟도 비슷하게 운용할 수 있는데,

그쪽은 카즈하 6돌처럼 꽉 찬 확산이 불가능해서 연소 제어에 대해 완벽하다고 볼 수 없음.





2-4. [데히야 오프필드]

- 데히야의 E(검지옥)를 발화트리거로 사용하는 파티. (2.5초틱)

- 데히야의 E(검지옥)를 통해 9초간 '경직면역' 상태가 될 수 있음.

- 데히야가 발화를 터치는 간격이 길어서 [데히야+시노부]나 [데히야+원마덴]과 같은 이중 트리거의 구성을 추천함.

- 데히야 발화팟을 <연소-증발> 사이클로 시작하고 싶다면, 2돌파의 E 추가 지속시간은 아주 좋은 별자리가 될 것임. (12초→18초)


- 적용대상의 히트박스가 높을 시 E(검지옥)가 원핵을 못터뜨리는 이슈 있음. (범위판정 문제)

┗ 이중으로 원핵을 트리거 할 수 있는 파티구성이면 해결 되는 부분임.

- 실드에는 E(검지옥)가 안터지니 주의. (라이덴 E와 동일)

┗ 이중으로 원핵을 트리거 할 수 있는 파티구성이면 해결 되는 부분임.



[풀딜러 온필드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나야데시, 나행데시 등)

풀딜러가 온필드인 [데히야+시노부] 무지개팟.

풀부착 빈도가 높은 만큼 원핵생성 부분에서 이점을 가짐.

나히다 외에도 알하이탐이나 카베와 같은 풀평타 캐릭들이 올 수 있음.



[풀힐러 온필드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나야데라, 백야데라 등)

풀힐러가 온필드인 [데히야+만개트리거] 무지개팟.

나히다에게 호박을 주어서 풀힐러 온필드로도 사용할 수 있음.

힐러가 존재하는 구성인 만큼 만개트리거는 원마덴을 사용하기 좋음.


[풀힐러 온필드 : 과증발화]


(대표 : 나데야피, 백데야피 등)

풀힐러가 온필드인 [데히야+번개섭딜] 과증+발화팟.

이쪽은 데히야의 E 2.5초 간격 동안 원핵이 좀 쌓일 수 있음.

번개섭딜들이 원핵을 만개트리거 만큼 제어해주지 못하기 때문.




[번개딜러 온필드 : 과증발화/무지개] (호박나히다)

(대표 : 각야데나, 미야데나, 사야데나, 레야데나 등)

번개딜러가 온필드인 데히야 과증발화/무지개팟.

번개딜러가 '딜세팅'이냐, '원마세팅'이냐에 따라서

격화 중심인 [과증발화팟]이 될 수 있고, 만개/발화 중심인 [무지개팟]이 될 수 있음.

풀힐러 포지션은 '호박나히다'를 적극 추천함.

번개딜러의 체력관리를 잘 못해주었다면, 잠시 호박나히다를 온필드로 굴려줘도 됨.




[느비예트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느라나데)

느비예트+데히야의 무지개팟.

데히야의 E 9초 경직면역으로 명함 느비도 즐기기 좋은 구성임.

느비가 자체 힐에 장거리형이라 만개트리거는 원마덴이 좋음.


[느비예트 : 과증발화]


(대표 : 느나데미, 느나데피, 느나데북 등)

느비예트+데히야의 과증+발화팟.

번개섭딜들이 원핵을 제어하지 못하는 만큼 데히야의 E 2.5초 간격동안 원핵들이 쌓일 수 있음.



[물딜러 온필드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아나데시, 탈나데시, 모나데시 등)

물딜러가 온필드인 [데히야+시노부] 무지개팟.

물딜러 증발 및 아무거나나가라...



[물힐러 온필드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코나데라, 모나데라 등)

물힐러가 온필드인 [데히야+만개트리거] 무지개팟.

모나에게 호박을 주어서 물힐러 온필드로도 사용할 수 있음.

힐러가 존재하는 구성인 만큼 만개트리거는 원마덴을 사용하기 좋음.


[물힐러 온필드 : 과증발화]


(대표 : 코피나데, 모피나데 등)

물힐러가 온필드인 [데히야+번개섭딜] 과증+발화팟.

번개섭딜들이 원핵을 제어하지 못하는 만큼 데히야의 E 2.5초 간격동안 원핵들이 쌓일 수 있음.




[설탕 온필드 : 연소증발화(확산)]


(대표 : 설나야데)

호박설탕 온필드의 데히야 연소증발화.

연소중에 발화를 일으키는 "설탕 온필드 연소발화파티", 나데야설

이 글에서부터 소개되었던 파티인데,

설탕의 원폭을 불전환을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해보임. (물전환 X)

설탕의 원폭은 적에게 불부착이 되었는지 확인하거나, 데히야의 E 2.5초틱에 맞추어 던지면 웬만해선 불전환이 될거임.

설탕의 원폭이 물전환이 되는 경우에는 물섭딜의 <연소→증발> 연계가 망가지니 주의해라.



[사유 온필드 : 연소증발화(확산)]


(대표 : 사나데아, 사나데코 등)

사유 온필드의 데히야 연소증발화.

사유의 E구르기와 Q원폭으로 확산을 최대한 발생시켜주면 됨.

장판 설치형 물섭딜에서도 행추급 물부착을 가진 애가 나오기를 기원함...





2-5. [토마 온필드/오프필드]

- 토마의 Q원소폭발을 발화트리거로 사용하는 파티. (평타형 1초틱)

- 겹겹 보호막들을 통해 부분적으로 경직면역을 얻을 수 있음.

- 4돌 토마 권장.

- <원마토마의 육성>

 ┗ 무기 : 키타인 5재 / 온필드는 용학살창도 고려 가능.

 ┗ 성유물 주옵션 : 원마/원마/원마

 ┗ 오프필드 포지션은 요구하는 원충량 때문에 세팅 난이도가 높은 편이니 주의. (부옵에서 원충 10~20%씩 뽑아야함)


- 토마 온필드 : 토마 원충부담 최소화 (+나히다 원마버프)

- 토마 오프필드 : 일반적인 발화트리거


- 원충은 [온필드 토마] 130(+1페보)~150 권장 / [오프필드 키타인토마] 160~180 권장



[토마 온필드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토야나시, 토나행시 등)

원마토마 온필드의 무지개팟.

온필드 답게 토마의 필요 원충량이 확 줄어서 세팅이 쉬워지고,

[불딜러 발화팟]과 비교하자면 겹겹 보호막으로 경직면역 좀 얻을 수 있다는 것 정도가 이점.


[토마 온필드 : 과증발화]

(대표 : 토야피나, 토야미나, 토나행북 등)

원마토마 온필드의 과증+발화팟.

기본적인 조합 설명은 위와 동일하고,

토마의 겹겹 보호막들이 발화 자해딜로부터 제법 잘 보호해주다보니 '호박나히다'로도 체력관리가 잘 되는 편이었음.

토마의 체력이 많이 빠졌다 싶으면 스왑 해가면서 안정적으로 진행해도 됨.


[토마 온필드 : 2풀 발화]


(대표 : 토야나백, 토행나요 등)

원마토마 온필드의 2풀 구성 발화팟.

연소가 꺼졌을 때 한번에 많은 원핵을 생성 해내고자 하는 방향성을 가짐.

호박나히다를 사용할 시 키라라(4돌)도 고려해보기 좋음.




[풀딜러 온필드 : 토마 발화 계열]

<무지개팟> (대표 : 나야토시, 나행토시 등)


<2풀 발화> (대표 : 나야토백, 나야토요, 나행토백, 나행토요 등)

풀딜러가 온필드인 토마 발화팟.

풀부착 빈도가 높은 만큼 원핵생성 부분에서 이점을 가짐.

나히다 외에도 알하이탐이나 카베 같은 풀평타 캐릭들이 올 수 있음.



[풀힐러 온필드 : 토마 발화 계열]


<과증발화> (대표 : 나야피토, 나행피토, 백토야피, 백토행피 등)


<무지개팟> (대표 : 나야토라, 나행토라, 백토야라, 백행토라 등)


<2물 발화> (대표 : 나야행토, 백푸야토, 백야행토 등)

<2풀 발화> (대표 : 나야풇토, 백나야토 등)

풀힐러가 온필드인 토마 발화팟.

풀부착 빈도가 높은 만큼 원핵생성 부분에서 이점을 가짐.

나히다에게 호박을 주어서 풀힐러 온필드로도 사용할 수 있음.

힐러가 존재하는 구성인 만큼 만개트리거는 원마덴을 사용하기 좋음.




[번개딜러 온필드 : 과증발화/무지개] (호박나히다)

(대표 : 각야토나, 미야토나, 사야토나, 레야토나 등)

번개딜러가 온필드인 토마 과증발화/무지개팟.

번개딜러가 '딜세팅'이냐, '원마세팅'이냐에 따라서

격화 중심인 [과증발화팟]이 될 수 있고, 만개/발화 중심인 [무지개팟]이 될 수 있음.

풀힐러 포지션은 '호박나히다'를 적극 추천함.

번개딜러의 체력관리를 잘 못해주었다면, 잠시 호박나히다를 온필드로 굴려줘도 됨.




[물딜러 온필드 : 토마 발화 계열]


<무지개팟> (대표 : 아나토시, 탈나토시, 모나토시 등)


<과증발화(호박나히다)> (대표 : 아피토나, 탈피토나, 모피토나 등)


<2풀 발화> (대표 : 아나토백, 탈나토백, 모나토백 등)

물딜러가 온필드인 토마 발화팟.

물딜러가 고려해볼 수 있는 토마 발화팟들.

이 중, [아나토시]는 밈 짤이 있을 정도로 유명하다.



[물힐러 온필드 : 토마 발화 계열]


<과증발화> (대표 : 코피나토, 모피나토 등)


<무지개팟> (대표 : 코나토라, 모나토라 등)

<2풀 발화> (대표 : 코나풇토, 모나풇토 등)

풀힐러가 온필드인 토마 발화팟.

모나에게 호박을 주어서 물힐러 온필드로도 사용할 수 있음.

이쪽은 [물딜러 발화팟] 만큼 증발딜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 단점.




[바람딜러 온필드 : 토마 연소증발화(확산)]


(대표 : 방나야토, 설나야토, 헤야나토, 리나야토 등)


(대표 : 한나야토, 한나행토 등)

바람캐릭이 온필드인 토마 연소증발화팟.

설탕이 온필드인 경우에는 설탕이 호박을 들어주고,

나머지 딜러의 경우에는 나히다가 호박을 들어주는 방향으로 준비해볼 수 있는 구성임.

한운은 출시 전이지만, '법구+힐러'라서 언급해주었음. 

호박설탕과는 다르게 정식 힐러로서 들어가게 됨.





2-6. [향릉 온필드/오프필드]

"분량상 [향릉 발화팟]쪽은 향릉이라서 가능한 구성만을 소개하겠음."

"나머지는 [토마 발화팟]쪽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니 그쪽을 참고하면 됨."


- 향릉의 Q 화륜을 발화트리거로 사용하는 파티. (4돌파시 14초 지속)

- <연소→증발>연계에 강점을 가지는 구조임.

- 4돌 향릉 권장.

- <원마향릉의 육성>

  ┗ 무기 : 키타인 5재 

  ┗ 성유물 주옵션 : 원충/원마/원마 (레벨 돌파스텟이 '원마'라서 가능한 세팅임.)

  ┗ 토마쪽 보다 세팅 난이도가 높은 편이니 주의.


- 향릉 온필드 : 향릉 원충부담 최소화 (+나히다 원마버프)

- 향릉 오프필드 : 일반적인 발화트리거


- 원충은 [온필드 키타인향릉] 150~180 권장 / [오프필드 키타인향릉] 200↑ 권장(보스전은 +1페보까지)

- 온필드 향릉쪽은 E누릉지를 2번 사용하는 방향으로 운영해야 안정적임. 아니면 1페보

- 증발 중심의 [증발화팟]에서는 기존 '딜세팅 향릉<원불치>'을 사용해도 됨. 특히 [향릉+베넷] 구성.



[향릉 온필드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향나야시, 향나행시 등)

원마향릉이 온필드인 무지개팟.

온필드로서 원충요구량을 한층 낮추고, 나히다팟 경우에는 원마버프까지 얻는 방향.



[풀딜러 온필드 : 향릉+베넷(국대팟)]

(대표 : 나야향베, 나행향베 등)

풀딜러가 온필드인 [향릉+베넷] 발화팟.

풀딜러 온필드가 2풀 구성 이상의 풀 부착력을 가져서 이 자리에 소개될 수 있는 것임.

베넷이 쓰이는 만큼 향릉은 기존 딜세팅<원불치>를 추천함.



[노엘(페보) 온필드 : 연소증발화(결정화)]


(대표 : 노야나향, 노행나향 등)

페보 노엘이 온필드인 연소증발화팟.

궁을 켠 노엘의 평타 ICD가 None이라서 <결정→연소→증발> 연계가 매우 좋다고 함.

이 구성에서의 노엘은 '교관4'를 세팅해주는 방향도 존재함.

연소증발화 - 풀 서브가 백출 단독인 발화 파티



[느비예트 : 과증발화]

(대표 : 느나피향, 느나미향 등)

느비예트의 향릉 과증발화팟.

[느비+데히야] 발화팟쪽도 증발을 노리기에 좋았지만,

이쪽은 향릉 화륜의 부착쿨이 없는 만큼 증발에 더 집중할 수 있는 구조라 할 수 있음.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화륜의 범위 만큼 근거리 전투를 요구하는 것임.


[느비예트 : 무지개(아무거나나가라)]


(대표 : 느라나향, 느나향시 등)

느비예트의 향릉 무지개팟.

이쪽은 번개섭딜을 넣어줄 수 없을 시 고려할 수 있는 차선택 정도의 "굳이?" 싶은 구성임.

원핵 트리거는 거의 향릉에게 주도권이 있기 때문에 만개트리거가 할 수 있는게 번개섭딜에 비해서 별로 없음.

데히야의 트리거 간격이 2.5초로 길어서 만개트리거가 유효했던 것과는 다른 상황임.



- 그 외의 방향은 [토마 발화팟]쪽을 참고할 것 -





3. [영상자료]

 <분량상 접기 기능 사용> (펼치기/접기)

"영상자료는 그룹들간의 동등한 비교를 위해서 나히다가 들어간 파티만을 선정했지만, 나히다 자리에 풀행자나 콜레이가 와도 됨. 파티 DPS의 차이는 있으나, 근본적인 파티 성격은 달라지지 않음."



<불딜러 발화팟> [클나야시 무지개]

(클2 나2 야2 시6) <원마클레 제례_악단2+도금2>

<클레 E - 나히다 EQ - 야란 EQE - 시노부 E - 클레 E평 Q 평평평 평평평 · · · >

"원마클레라서 강공은 실드 제거용"


<불딜러 발화팟> [다나행북 슈퍼아머 과증발화] (호박나히다)

(다1 나2 행6 북6) <원마다이 빗물_악단2+도금2> (북두 원충 250)

<다이 E - 나히다 EQ - 행추 EQ평E평 - 북두 EQ평 - 다이 Q 평E*3 평평평평 · · · >

"원소입자가 제한된 1:1 보스전에서는 북두의 E를 2번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이클을 조금 변형하였음."



<베넷6돌 발화팟> [베야피나 과증발화]

(베6 야2 피6 나2) <원마베넷 크포3재_교관4>

<베넷 E - 나히다 EQ - 야란 EEQ - 베넷 Q - 피슬 E/Q - 베넷 평E 평평평 평E 평평평 · · · >


<베넷6돌 발화팟> [레행나베 무지개]

(레6 행6 나2 베6) <원마레이저 빗물_도금4> 

<레이저 E - 나히다 EQ - 행추 EQE - 베넷 Q - 레이저 E Q평 E 평평평 평평평 · · · >


<베넷6돌 발화팟> [풇나야베 2풀 발화]

(풇6 나2 야2 베6) <원마풀행자 암철검_악단2+도금2(원충144)>

<풀행자 E - 나히다 EQ - 베넷 E - 야란 EEQ - 풀행자 EQ - 베넷 Q(E) - 풀행자 E 평평평평 평평평평 · · · >



<전환발화 : 진> [나야진베 연소증발화]

(나2 야2 진6 베6) <원마 진 크포3재_도금4>

<나히다 E - 베넷 E - 나히다 Q - 야란 EEQ - 베넷 Q(E) - 진 EQ - 나히다 E 평평평강 평평평강 · · · >


<전환발화 : 카즈하> [나야카베 연소증발화]

(나2 야2 카2 베6) <원마카즈하 크포3재_도금4>

<나히다 E - 베넷 E - 나히다 Q - 야란 EEQ - 베넷 Q - 카즈하 EQ - 나히다 E 평평평강 평평평강 · · · >



<데히야 발화팟> [느라나데 무지개]

(느1 나2 데0 + 원마덴) <원마데히야 빗물_도금4>

<느비 (E)Q - 라이덴 E - 나히다 EQ - 데히야 EE - 느비 강 강 E 강>


<데히야 발화팟> [각야데나 무지개] (호박나히다)

(각2 야2 데0 나2) <원마각청+원마데히야>

<각청 EE - 나히다 E평Q - 데히야 EE - 야란 EQE - 각청 EE 평평평평x2 평Q 평EE 평평평평x2>



<토마 발화팟> [나야행토 풀 온필드+2물] (호박나히다)

(나2 야2 행6 토6) <원마토마 키타인5재_악단2+도금2(원충171)>

<나히다 EQ - 행추 EQ - 야란 EQE - 토마 QE평 - 나히다 E 평평평강 평평평강 · · · >


<토마 발화팟> [미야토나 무지개] (호박나히다)

(미2 야2 토6 나2) <원마미코+원마토마(원충171)>

<미코 E - 나히다 EQ - 토마 QE평 - 야란 EQE - 미코 (E) 평평평(E) 평평평(E) · · · >


<토마 발화팟> [코나토라 무지개]

(코1 나2 토6 + 원마덴) <원마토마 키타인5재_도금4(원충162)>

<코코미 E - 라이덴 E - 나히다 EQ - 토마 QE평 - 코코미 Q 평평평 평평평 · · · >



<향릉 발화팟> [노야나향 연소증발화]

(노6 야2 나2 향6) <원마향릉 키타인5재_도금4(원충208)>

1. <향릉 E - 나히다 EQ - 야란 EQE - 향릉 Q - 노엘 EQ 평 - 향릉 E - 노엘 평평평 평평평 >

2. <나히다 EQ - 야란 EQE - 향릉 EQ - 노엘 EQ 평평평 평평평 · · · >


<향릉 발화팟> [느피나향 과증발화]

(느1 피6 나2 향6) <원마향릉 키타인5재_도금4(원충208)>

<피슬 E -느비 (E)Q - 나히다 EQ - 향릉 EQ/QE - 피슬 E/Q - 느비 강 강 E 강>





4. [마무리]



1줄 요약 : 복잡하다 싶으면 걍 발화팟에 '번개'를 쳐 넣어라.


가볍게 원핵이 잘 나오는 발화팟을 즐기고 싶으면 [나행시]에 '불딜러'를 꽂으면 됨.

여유좀 있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원붕이들은 관심가는데로 경험해보셈.

각각의 파티계열 마다 추구하는 방향이 조금씩 달라서 재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