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벳 순 정렬



AIM-9B 사이드와인더(1955~)

미 공군/해군에서 처음 대량 운용한 AIM-9 미사일

AIM-9C

AIM-9B의 유도방식을 열추적에서 반능동 레이더로 교체한 형식

해군에서 잠깐 쓰이다가 AGM-122 사이드암으로 개조됨

AIM-9D

AIM-9B를 미 해군에서 개량한 모델

개선된 시커와 더 오래 타는 모터를 장착함

AIM-9E

AIM-9B를 미 공군에서 개량한 모델

노즈가 길어지고 항력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변형됨

AIM-9F(AIM-9B FGW Mod. 2)

AIM-9B를 독일에서 개량한 모델

AIM-9E와 비슷한 성능의 시커를 장착함

AIM-9G

AIM-9D를 기반으로 SEAM 개량을 한 모델(SEAM=Sidewinder Extended Acquisition Mode)

시커가 자체적으로 탐색 패턴으로 움직이고 레이더 또는 IRST등을 통해 조준이 가능해짐

AIM-9H

AIM-9G에서 시커를 개량한 모델

베트남전에서 D/G 모델 대비 개선된 격추율을 보였다 함

AIM-9J

AIM-9E에서 로켓 모터와 시커 및 전자장비 개선, 카나드 형태가 변경된 모델

AIM-9L

미 해/공군이 같이 개발한 모델

B모델 이후 공군은 E/J 해군은 D/G/H로 자체적으로 개량해서 사용하던걸 통합하고 미사일의 성능을 전체적으로 상향 시킴

1978년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고 80년대 들어 여러 동맹국에 수출됨

AIM-9M

AIM-9L을 기반으로 IRCCM을 추가하여 플레어/IR 재머 등에 교란되지 않게 개량한 모델


AIM-9N(AIM-9J-1)

AIM-9J의 시커 성능을 개량한 AIM-9J-1의 이름을 바꾼 모델


AIM-9P

AIM-9J를 기반으로 수출을 위해 개량한 모델

AIM-9L의 판매 허가가 되지 않은 국가에게 고성능의 미사일을 제공하기 위해 1978년 개발됨

수출용이었으나 미 공군도 구매하여 사용함


AIM-9R

AIM-9M을 기반으로 시커를 이미지 추적 시커로 교체한 모델


AIM-9X

기존의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들을 대체하기 위해 ACEVAL/AIMVAL프로젝트, ASRAAM개발 등의 과정을 거쳐 나온 결과물

이미지 열추적 시커를 사용해서 쉽게 기만되지 않으며 카나드가 고정식 핀으로 바뀌고 조종면이 꼬리쪽으로 이동했으며 추력편향 노즐을 사용함

2003년 배치



해군: D, G, H

공군: E, J, N, P

공통: B, L, M, X


해군기에 AIM-9J 달리냐는 질문이 자주 보여서 한번 써봤어

AIM-9 개발사를 보면 AIM-9L에서 다시 통합하기 전에는 해군과 공군이 각자 필요에 맞춰서 자체적으로 개량해서 사용했기 때문에 발사기 레일도 다르고 서로 호환이 안됨

깊이있는 정보를 위한게 아니라 간략하게 모델명과 형태 정도만 보여주기 위한 글이라 상세한 스펙은 생략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