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이어서, 효자 얘기를 해 보려 한다.

   

참고로 다음은 열녀 이야기다.

   

   

   

   

“지난번에 삼강행실도랑 뚝배기 얘기 했는데요?”

   

그건 효자에 대한 아-주 간단한 예시일 뿐이다.

   

실제 효자는 종류도, 내용도 다양하고 복잡하기 짝이 없다.

   

최대한 간단히 설명해보겠다.

   

   

   

   

“효자의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은?”

   

지난 번에 부모님 말 잘 듣고, 잘 모시고 사는 것은

   

현대인의 눈으로 본 효도에 불과하다.

   

조선은 민간에 가장 큰 가치로서 ‘효’를 교육하려 했다.

   

따라서 조선은 효를 지나칠 정도로 중시한 나라였다

   

조선시대에 그거 안하면 패륜아다.

   

   

   

   

“그럼 어느 정도 되어야 효자인데요?”

   

아주 크게. 

   

우리의 눈으로 보면 ‘미친거 아냐?’ 하는 소리가 나올 정도.

   

사실 조선 초기엔 그 정도는 아니었다.

   

하지만 점차 성리학이 교조화되고 민간에 스며들며

   

효자의 수준이 상향평준화 되었다.

   

따라서 어지간한 방법으로는 효자가 될 수 없었다.

   

   

  

   

“어느 정도 해야 효자인데요?”

   

뒤에서 예시를 들겠지만, 손가락 하나 정도는 잘라줘야

   

효자 선정이 될 정도라고 보면 된다.

   

   

   

   

“손가락을 ㅅㅂ 왜 잘라요?”

   

뒤에 설명할 것이다.

   

열녀 같은 경우도 다음 편에 다루겠지만,

   

조선 초기엔 남편이 죽고 나서 재혼하지 않고 살기만 해도

   

후보에 들고 열녀로 선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후에는 남편을 따라 죽는 정도는 되어야 

   

열녀 심사를 받을 만 한 정도까지 간다.

   

   

   

   

“아니 왜 그렇게 극단적이 되는 건데요?”

   

일단 첫째. 가문의 영광이다.

   

효자로 선정된다면 각종 세금 혜택은 당연하고,

   

더 중요한 것은 효자문이 세워지고 

   

마을 전체에 효자라는 소문이 난다는 점이다.

   

   

   

   

“가문의 명예를 위해서도 있군요”

   

그리고 두 번째로는 수령들의 인사평가에 있다.

   

수령은 목민관(牧民官), 즉 백성을 기르는 관리다.

   

백성의 성리학적 교화와 교육 또한 수령의 임무이다.

   

당연히 인사평가에 효자 개수가 큰 영향을 끼친다.

   

그런데, 이왕이면 자극적인 이야기가 더 큰 점수를 받지 않을까?

   

   

  

   

“점점 자극적인 이야기가 되었겠군요”

   

효자는 중앙에서 선정하는 것이다.

   

당연히 전국에서 항상 사연이 날아들 테고,

   

그 중에서 이목을 끌어야 빨리빨리 처리가 되는 거다.

   

이 때문에 일부 욕심 많은 수령들은 

   

고을의 젊은이들을 모아 놓고

   

소위 ‘효자 교육’을 하기도 했다.

   

   

   

   

“효자 교육이요?”

   

어떻게 해야 효자가 되는지 알려주는 거다.

   

백문이 불여일견. 한 번 살펴보자.

   

실제로 이런 식이었는지는 모르겠다만,

   

대충 이런 느낌이 아니었을까?

   

   

   

   

“자, 다들 잘 모였다.”

   

   

   

   

“사또 나리, 저희는 뭐 하러 모였남유?”

   

   

   

   

“오늘은 너희들을 효자로 만들기 위한 교육을 하려 모았다.”

   

   

   

   

   

“저희는 부모님 잘 모시구 있는디 갑자기 웬 교육이래유?”

   

   

   

   

“이것들아, 국가에서 효자문이 안 내려오는데 무슨 효자야!”

   

   

   

   

“아니, 꼭 사람들이 알아줘야 효자랍니까?”

   

   

   

   

“아니, 답답한 것들아, 효자문이 얼마나 큰 영광인지 알아?”

   

   

  

   

“그거 그냥 사또 나리 인사고과 때문 아니어유?”

   

   

   

   

“어허, 나만 좋으라구 이러겠니? 너네 좋으라고 하는 거야!”

   

   

   

   

“저희는 뭐가 좋은데요?”

   

   

  

   

“가문의 영광은 물론, 세금 감면도 받는다고. 요즘 세금 폭탄 땜시 힘들잖냐?”

   

   

  

   

“세금도 깎아준다면 해 볼 만하죠. 그럼 저희가 뭘 해야 되는데요”

   

   

   

   

“그래그래, 일단 요즘 개나 소나 효자라 컷이 좀 높아진 건 알지?”

   

   

   

   

“뭐 그렇겠죠. 효자 아닌 놈이 어디있겠어요”

   

   

   

   

“적어도 3대 효행 정도는 되어야 비벼볼 만하다고.”

   

   

   

   

“3대 효행이유? 그게 뭔데유?”

   

   

   

   

“제일 큰 효행 3가지지. 뭐 다 그런거 아니겄어?”

   

   

   

   

“그래, 맞다. 일단 첫째는 할고(割股)라 불리는 건데... 혹시 찢어지게 가난한 사람?”

   

   

   

   

“저 소매가 찢어졌는디유”

   

   

   

   

“그런 찢어짐 말고, 진짜 하루 한 끼도 제대로 못 먹는 애들 없어?”

   

   

   

   

“저희 집은 매일 보리죽만 먹고 있어유...”

   

   

   

   

“그래, 딱 좋다. 자, 여기 받아라”

   

   

   

   

“???? 칼이네유?”

   

   

   

   

“이제 그걸로 네 허벅지를 파.”

   

   

   

   

“????????? 네?????????”

   

   

   

   

“아 참, 피부는 되도록 없이 근육과 지방만 도려내는 게 좋아. 지혈하려면.”

   

   

    

   

“아니 그게 아니라 이게 뭐하는...”

   

   

   

   

“도려낸 허벅지 살을 국 끓이든지 해서 부모님 잡수시게 하는 거야. 아 근데 들키면 안된다?”

   

   

   

   

“들키면 안되는 이유가 있나요?”

   

   

   

   

“새꺄, 부모님 걱정 끼쳐 드리면 그게 효도냐? 당연히 다른 고기인 척 하고 드려야지”

   

   

   

   

“그럴 거면 시-발 돼지고기나 한 근 끊어드리지 내 허벅지를 왜 파요!”

   

   

   

   

   

“그래야 효자 된다니까? 효자 하기 싫어?”

   

   

   

   

“아니 다른 건 없어유? 이런 거 말고”

   

   

  

   

“맞어유, 잘못 자르다 죽으면 어떡해유!”

   

할고란 허벅지를 나눈다는 뜻이다.

   

부모님께 자신의 허벅지 살을 내어드리는 것인데,

   

말마따나 굳이 자기 고기일 이유가 없다.

   

3대 효행 중에 가장 안 쓰이는 효행이 할고다.

   

실질적으로 별 쓸모도 없고 아프고 위험하기만 할 뿐이다.

   

   

   

   

“쯧, 깐깐하긴, 다음으로 넘어가자, 그래. 다음은... 아, 단지(斷指)네.”

   

   

   

   

“단지... 어 잠깐만요. 손가락을 자른다굽쇼?”

   

   

   

   

“자, 부모님이 죽을 병에 걸린 사람 있나?”

   

   

   

   

(......)

   

   

   

   

“뭐 언젠간 생기겠지. 미리 알아둬”

   

   

   

   

“진...진짜로 손가락을 자르나요?”

   

   

  

   

“그럼, 안 자르니? 손가락을 잘라서 태우고, 그 재를 부모님 약에 타 드리면 되는거야. 쉽지?”

   

   

   

   

“아니 아예 잘라서 태우는 건 그 뭐시냐... 신체 발기 아닌감유?”

   

   

   

   

“신체발부 수지부모다, 발음 똑바로 해 새꺄! 그리고 부모님 살리는데 자식이 손가락 좀 자를 수도 있지!”

   

   

   

   

“안 자르고 피를 흘려드리는 정도는 안되나요?”

   

   

  

   

“그 정도는 좀 약한데... 아! 너네 혹시 열 살 미만의 동생 있니?”

   

   

   

   

“있는데, 왜요?”

   

   

  

   

“여길 보면 가평의 7살 소년 강영천이 병이 든 어머니를 위해 손가락을 베어 피를 드리다 혼절했기에 효자문을 내렸다고 적혀 있네”

   

   

   

   

“7살 꼬맹이한테 그 짓을 어떻게 시켜유!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지”

   

   

  

   

“7살 꼬맹이?”

   

실제 가평군에 있는 강영찬 효자문에 적힌 내용이다.

   

어린 아이었기에 손가락을 베는 정도로 가능했지, 

   

성인이라면 아예 자르는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다.

   

   

   

   

“다 그렇다 치고... 이것도 안 들켜야 되나유?

   

   

   

   

“최대한 숨겨보고, 근데 그거보다 더 중요한 게 있어. 드시고 나아야 돼.”

   

   

  

   

“?????? 그건 하늘이 정하는 거 아닌감유?”

   

   

   

   

“그러니까, 하늘이 감복해 부모님이 자리를 털고 일어나야 인정이라니까?”

   

   

   

   

“그게 시발 뭐래유, 괜히 사람 하나만 병신 되겄네”

   

   

   

   

“맞아유, 사또. 이게 K-장애인 만들기 프로젝트랍니까?”

   

   

   

   

“손가락 자르면 효자 선정 안되도 군 면제 받겠네유!” 

   

   

  

   

“에잉, 이것도 안돼, 저것도 안돼. 되는 게 뭐야?”

   

   

   

   

“그런 거 말고 썅 좀 현실적인 걸 줘바유”

   

   

    

   

“그럼 마지막 상분(嘗糞)은 어때? 부모님 똥을 먹고 건강상태를 점검하는 건데...”

   

   

   

   

   

“스캇물 극혐 ㅅㅂ...”

   

   

  

   

“그래도 손가락 자르는 것 보단 눈 딱 감고 한입 정도면...”

   

   

   

   

“미친새끼, 햇반이라도 가져다 줄까? 한그릇 뚝딱할래?”

   

   

   

   

“야야, 한번으론 안 돼. 적어도 한 일년은 매일 해야 되는 거야.”

   

   

   

   

“아니 시발 1년은 정신병자지 그게 효자유?”

   

   

   

   

“좀 멀쩡한 걸 달라는 게 그렇게 어려운 일인감유?”

   

   

   

   

“에휴, 그럼 변비 치료는? 부모님 똥꾸멍에 대고 기름 불어 드리면 되는데?”

   

   

   

   

“???? 그걸로 변비 치료가 된다구요?”

   

   

   

   

“여기 보니까 된다는데? 한 번 해봐, 기름이랑 빨대는 관청에서 챙겨줄테니까”

   

   

   

   

“그런데요 사또. 그러고 보니 저는 부모님이 다 돌아가셨는데 여기 왜 있나요?”

   

   

   

   

“부모님이 돌아가셨어도 괜찮아, 이것아. 대신 자연의 도움이 필요해.”

   

   

   

   

“자연의 도움이라니 무슨 소리래유? 전 드루이드가 아닌데...”

   

   

   

딱 봐도 드루이드같이 생겼구만, 암튼 부모님 산소 있지?“

   

   

   

   

“그럼요, 있쥬. 아주 정성스레 모시고 있어유”

   

   

   

   

“거기에 도둑이 들어야 돼.”

   

   

   

   

“?????????? 도둑이 산소를 왜 털어유?”

   

   

    

   

“뭐 도굴꾼이겠지. 암튼 여기 보면 경남에서 산소에 든 도둑을 호랑이가 쫓아내 효자에 선정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그게 왜 제가 효자인 건데요?”

   

   

   

   

“네 효심에 자연이 감복했잖냐, 새꺄.”

   

   

   

   

“그럼 하염없이 기다려요?”

   

   

   

   

“아니면 산소 앞에 금고 올려놓고 한우 꽃등심을 옆에 두던가”

   

   

   

   

“사또는 천재에유? 당장 가봐야겠다.”

   

   

   

   

“나머지는 여기서 빨대랑 기름이라도 받아가, 변비치료라도 해보자!”

   

   

   

   

“어... 네!”

   

   

조선의 효행은 상당히 그로테스크 한 것들이 많다.

   

이 정도 고생은 되어야 ‘진심’이라고 판단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하지만 이렇게 한다고 바로 효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 이래도 안된다고?”

   

안된다기보단, 효자 심사는 굉장히 오래 걸린다.

   

왕이 결재해야 하는 문제인 것은 물론,

   

단순 절차만 해도,

   

수령에서 관찰사, 관찰사에서 예조, 예조에서 임금에게 결재를 받으며,

   

그게 다시 똑같은 과정으로 내려가야 효자문이 세워지는 셈이다.

   

짧아야 2~3년, 길면 몇십 년씩 걸리는 것이 효자 선정이다.

   

   

   

   

암튼 오늘은 여기까지다.

   

생각보다 분량이 많이 나왔다.

   

다들 데이터는 무사하신지...

   

다음 주제는 열녀다.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돌아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