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월~화 중에 공개하려 했지만 그냥 공개


처음본 사람은 문제 풀고 오새요





















(정답공개)






1.정답:5
해설: 현재 래이저는 게이밍 데스크를 만든적이 없다

2.정답:청축, 갈축or광축, 흑축or회축 (초성에 맞으면 다 정답)


3.정답:흡음재, 윤활재, 붓(윤활재랑 붓은 순서상관x)
해설:흡음재는 통울림을 줄여주고, 축을 커스텀 해주는 윤활재랑, 윤활재를 바르는 붓이 필요하다


4.정답:3
해설: 커스텀 키보드는 mx형 스위치는 모두 호환된다


5.정답:스웨그키


6.정답:4
해설:led는 키보드를 꾸며주므로 커스텀 키보드에는 꼭 필요하지 않다


7.정답:5
해설:스웨그키는 키보드를 만드는 회사가 아닌 판매하는 유통사이다


8.정답:1
해설:로지택은 지금까지 자체적으로 만든 스위치가 없다


9.정답:그리스형인지 오일형인지, 부가기능, 점도
해설:첫번재 자리는 1일경우 오일형 2일경우 그리스형으로 나뉜다, 두번재 자리수는 대부분0, 있을경우 부가기능을 나타냄, 새번재 자리는 숫자가 클수록묽은정도를 나타냄(ex 크라이톡스105, 크라이톡스205)


10.정답:비올라축
해설:(MV스위치는 비올라축을 나타낸다)스위치 내의 한 쌍의 접점이 만나서 키 인식이 이루어지는 체리 MX와 달리, 체리 MV는 스위치의 접점과 PCB의 두 접점이 만나서 키 인식이 이루어진다.

또한, 스위치의 주된 반발력이 코일 스프링에서 발생하는 체리 MX와 달리, 체리 MV는 코일 스프링에서 1차적인 반발력이 발생하고, 스위치의 접점 역할을 하는 판형 스프링에서 2차적인 반발력이 발생하는 구조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키압이 처음부터 끝까지 선형적(Linear)으로 증가하지 않고, 2mm 지점의 입력 지점에서부터 키압이 가파르게(Progressive) 증가한다. 이는 거의 동일한 구조를 지녔던 체리 MY에서도 보이던 특성이다. 체리 MV의 이러한 키압 변화 특성을 체리 사는 CrossLinear Characteristic이라고 칭하고 있다.

체리 MV는 PCB 기판과 납땜 없이 고정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핫스왑을 지원한다. 핀 배열이 체리 MX와 다르기 때문에 서로 호환되지는 않는다. 슬라이더와 하우징은 LED 투과를 위해 반투명 색상을 띄고 있으며, 슬라이더는 체리 MX 키캡과 호환된다.

체리 MY와 동일하게 리니어 변종만 존재하며, 수명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키압은 입력 지점에서 45cN, 바닥 지점에서 75cN이다.(출처:나무위키)



0~8점:일반인, 키보드에 갓 임문자, 아직 키보드에대해서 익숙하지 않는사람 대부분 키보드가 집에 1게 밖에 없으며, 아직 여기가 낮설게 느껴질수 있다

9~15점:여기 와서 사람들과 대화가 가능한사람,
나름 키보드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여기서 놀수 있는 사람

15~28점:키보드 덕후, 성인 이상이면 키보드가 집에 기본은 3게정도, 커스텀도 해본적이 있으며,
여기에서 특가와 팁을 가끔 전수해 준다

29~37점:키보드에 진심인 사람, 여기있는 모든 글에 댓글을 달수 있고 축이름, 소리도 외우고 다니는 사람, 사실상 그냥 '키보드'  자체가 취미인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