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리언 검색이라고 and or not의 세 가지를 쓰는 검색방식이 있고 구글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이트에도 적용되어있음

단적인 예시로 아카 라이브 검색 시스템에도 불리언 방식은 적용되있으니 알아두면 좋음


1. or

가장 기초적인 검색 방식으로 사실상 띄어쓰기만 쓰면 적용됨

기호로는 +를 사용하고 해당 키워드 중에서 하나만 있으면 검색해줌


2. and

단어를 보면 알겠지만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한 것만 검색해줌

기호로는 &를 사용하고 있냐 없냐에 따라서 의외로 검색 수준이 달라짐


3. not

사실상 원하는 걸 검색하고 싶으면 제일 자주 쓰게 될 연산임

기호로는 -를 사용하고 -가 붙은 단어를 검색에서 제외해버림


예를 들어서 '라스트오리진 만화'라고 검색하면 ㄹ 사이트도 나오지만

'라스트오리진 만화 -루리웹'이라고 검색하면 루리웹을 제외한 사이트만 나옴



번외. 큰따옴표

큰따옴표가 갑자기 왜 나오냐 할 수 있는데, 큰따옴표도 검색에서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서 너가 '나는 솔로다'를 검색한다고 하면 '나는'이 들어간 문서랑 '솔로다'가 들어간 문서

이렇게 두 가지의 문서를 나눠서 보여주게 될거임 이러면 찾기 힘들잖아

하지만 "나는 솔로다"라고 큰따옴표를 붙여서 검색하면 "나는 솔로다"를 하나의 단어로 인식하고

"나는 솔로다"라는 문장과 완전히 똑같은 문장이 있는 문서만 검색해줌


정말 단순한 검색기법이지만 모르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은데 활용해보면 쓸만함



참고로 ㄹ에는 이 불리언 검색이 없어서 라오어와 라스트오리진을 구분 못한다는 말이 있고

이게 그 엿같은 단어의 유래라는 소문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