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식 로마자 표기


고대, 중세 국어를 로마자로 옮길 때 한국 표준인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절대 안 쓰고, 외국에서 자주 쓴다는 매쿤-라이샤워식 표기도 고대, 중세 국어에는 안 씀. 대신 예일식 로마자 표기란 걸 많이 써서 영어로 된 고대, 중세 국어 자료 볼 때 필수임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k n t l m p s ng c ch kh th ph h

ㅸ ㅿ ㅇ ㆁ ㆆ

W z G ng q

(G로 표기되는 ㅇ은 중세국어 '달아'(talGa)처럼 ㅇ이 앞 자음으로 안 바뀌고 따로 소리가 남아 있는 것)


된소리를 포함해서 자음이 연속된 표기는 그대로 로마자로 옮겨서 씀

ㄲ ㄸ ㅃ ㅆ ㅉ

kk tt pp ss cc

ㅺ ㅼ ㅽ ...

sk st sp ...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 ㆍ ㅐ ㅔ ㅚ ㅟ ㅢ ㆎ

a e wo wu u i o ay ey woy wuy uy oy

ㅑ ㅕ ㅛ ㅠ ㅒ ㅖ ㆉ ㆌ

ya ye ywo ywu yay yey ywoy ywuy

ㅘ ㅙ ㅝ ㅞ

wa way we wey


(현대 국어를 표기할 때는 ㅗ, ㅛ, ㅠ, ㅚ, ㅟ는 o, yo, yu, oy, wi로, 무, 부, 뿌, 푸는 mu, pu, ppu, phu로 표기하는 게 원칙.)


장모음: 모음 위에 줄을 그음

말(言): māl

섬(島): sēm


성조: 정해진 규칙은 없지만 평성은 `, 거성은 ´, 상성은 ˇ를 모음 위에 붙이는 게 일반적

하ᄂᆞᆯ〮: hànól

므〯지게〮: mǔcìké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