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런 모드임. 스샷을 주기적으로 찍어줘서 자신의 림월드 플레이를 타임랩스로 움짤이나 영상으로 만들 수 있음.


근데 셋팅이 조금 귀찮음.

위 짤도 처음 써봐서 중간에 구도 바뀌고 난리난거임 ㅋㅋㅋ



중요한거만 설명해줌

Render settings

스샷찍혔을때 스샷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조정할 수 있음.

Designations

명령 내려놓은 것도 표기해주는 옵션임. 예를들어 채굴하라고 명령내려놓으면 스샷에 그것도 보임.

Thing icons

화력발전기나 자연냉방기 리필해달라고 뜨는 아이콘 같은 것들을 스샷에 보이게 함

Game conditions

스샷에 날씨(비오거나 번개치는 날씨요소)나 방사능 낙진, 섬광폭풍시 번개치는 장면 등도 스샷에 포함되게 함

Weather

날씨

Smooth render area on change(set smoothing steps)

스샷 범위 변경시 얼마나 부드럽게 변경되는 정도를 바꿀 수 있어.

내가 올린 움짤은 0으로 설정해둬서 바로 확확넘어가는데 유튜브 영상은 이 옵션을 설정해줘서 자연스럽게 확대되거나 축소된거야


Render interval(every x days)

스샷 찍히는 주기야. 기본값은 하루에 한번인데, 하루에 한번/x일에 한번 혹은 몇시간 주기로 설정할 수 있어

x일에 한번으로 정하면 바로 아래있는 옵션값을 따라서, 그 시간에 스샷이 찍혀.

이 짤에서는 12h로 되어있는데, x일에 한번 12시에 스샷이 찍한다는 소리야.

개인적으로 낮에 찍히도록 설정하는거 추천함.

그리고 x시간마다 찍히도록 설정하면 자동으로 비활성화됨.


Exported image encoding

사진 확장자 정해주는건데 개인적으로 PNG 선호해서 PNG 고름

Pixel per cell

셀당 픽셀인데, 쉽게말해 이미지 해상도

기본값이 24인가 그런데 조금 화질 구림. 물론 이거 올리면 용량 엄청 올라가니 적당한 값 선택하는게 좋아


Scale rendered image to fixed height(in px)

이미지 높이를 지정해줄 수 있어. 720이면 스샷사이즈가 @@@@ x 720 으로 되.

이건 고정된 값 쓰는게 나중에 움짤이나 영상만들때 좋을꺼야.


Export path

어디다 저장할지 정해주면 되는데, 자기가 직접 디렉토리를 영어로 작성해야되. 기본 셋팅은 바탕화면에 저장


Create subdirectories for each world

체크해두면 사진이 저장될때 각 지구마다 자동으로 시드값으로 폴더가 생성되고 거기에 저장됨


Exported image filename pattern

사진 저장시 이름 형식을 정해줄 수 있어

기본 셋팅은 게임내 시간이고, 내가 셋팅해 둔거는 스샷 찍힌 순번이야


인게임 사용법

명령탭 가보면 이게 생겼는데, 자신이 직접 스샷 찍히는 범위 설정해 줘야됨.

대각선으로 2개의 점만 찍어도 알아서 잘 찍어주긴 하는데 세심하게 셋팅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