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 채널

1. 공산주의의 이념적 기반인 마르크스 경제학의 근거가 되는 노동가치설 자체가 불완전함. 

(1) 나무위키 노동가치설 같은데서 볼 수 있듯이 노동가치라는 개념은 원래 시작부터 어느 정도 도덕이라던가 시장이나 경제 환경과는 별개의 가치가 개입되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함.(즉, 외생적임.)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어떻게든 노동가치라는 개념의 해석을 바꾸거나 뭘 하거나 어떻게 해서라도 바꾸려고 하는데 그다지 성공적이지는 않아보임. 애초에 증오도 분노도 없이 현실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과학에서 도덕가치 개념이 들어가는 시점에서 공산주의의 이념적 근거인 마르크스 경제학에 학문으로서는 한계가 있다고 봄. 


(2) 이 밖에도 설령 (1)의 문제가 아니라도 학문적으로 다른 문제가 있음. 마르크스 경제학에서 상정하는 노동가치설은 노동만이 경제학적으로 의미있는 생산요소라고 보고 있는데 이 말은 '노동 외에 다른 생산요소(특히 자본)는 경제학적 가치가 없다는 말이기도 함'. 자본을 투하된 노동이라고 하는데 이 말 역시 수학적으로 보면 자본을 노동의 함수로 보아서 사실상 자본의 독자적인 가치를 부정하겠다는 거임. 과연 그 말이 맞는지와 관해서는 통계적으로 보아서 자본이 가치가 없다는 걸 부정하면 되는데 내가 아는한 그걸 지지하는 통계적 분석이 19세기 이래 충분히 쌓인 거 같지는 않음.


2. 마르크스 경제학 외에도 정부 기능 자체의 한계로 인해 공산주의가 망했다고 봄

   가격이 싸건 질이 좋건 뭘 하건 간에 원래 시장에서는 시장에서의 경쟁 논리에 따라 자원이 분배됨. 반면에 정부는 정치 논리에 따라서 자원을 분배함. 물론 시장 논리에 따라 자원을 분배하는 것이 반드시 도덕적으로 올바르다고 볼 수는 없을 거임. 하지만 같은 비판은 정부가 정치 논리에 따라 자원을 분배할 때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봄. 


   비유하자면, 흔히들 수능에서는 학원에 돈지랄할 수 있는 사람들이 SKY합격을 할 수 있는 경향이 강함. 그리고 그게 옳지 않다는 말이 있음. 하지만 그렇다고 정부가 개입한다? 조민, 정유라같이 정부가 자신의 권력을 동원해서 자기랑 친한 애들한테 SKY 합격증을 퍼줄 수도 있음. 그건 옳은 거임? 


   더군다나 도덕 외에도 현실적으로 보더라도 시장에서는 나름대로 혁신하고 더 효율적이고 더 고객 니즈를 파악하는 놈들이 살아남지만 정부가 개입하는 세상에서는 혁신이고 효율이고 나발이고 결국 지도자에 아부하는 놈들이 살아남음. 근데 지도자에 아부하는게 과연 시장에서의 혁신, 대응, 효율보다 사회적으로 효율적이긴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