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m.news.naver.com/rankingRead.nhn?oid=366&aid=0000439073&sid1=105&ntype=RANKING


22일(현지 시각) 베이징상바오(北京商报)는 삼성전자가 이르면 오는 9월 광둥성(廣東省) 후이저우(惠州) 공장을 폐쇄할 예정으로, 현재 청산 작업을 진행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공장은 삼성전자의 중국 내 마지막 휴대전화 생산 거점이다. 삼성전자는 앞서 18년 된 톈진(天津) 휴대전화 공장도 지난해 말 폐쇄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올들어 끊임 없이 제기되고 있는 후이저우 공장 폐쇄설에 대해 "확인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중국 내 인력을 빠른 속도로 줄이고 있는 건 사실이다. 삼성전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19’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전자 총임직원 수는 30만9630명으로 2017년 32만671명에서 3% 줄었다. 같은 기간 중국 인력은 2만9110명으로, 2017년 3만4843명에서 16.4% 줄어 주요 지역 가운데 감소폭이 가장 컸다. 

....


삼성전자 휴대폰 공장 철수설(說)이 흘러나오는 배경에는 흔들리는 중국 내 입지 뿐 아니라 미⋅중 무역분쟁 격화와 중국내 인건비 상승 같은 영업환경 악화가 있다. 삼성전자는 2013년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0%를 기록했지만, 샤오미·화웨이 등 중국 브랜드의 저가 공세에 밀려 현재는 점유율이 1% 안팎에 머무는 형편이다. 전자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 공장의 장점은 저렴한 인건비로 거대한 내수시장을 직접 공략할 수 있다는 데 있다"며 "최근 중국 스마트폰 내수 판매량이 휘청이고, 인건비도 상대적으로 올라 중국에서 공장을 유지할 이유가 적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휴대폰 생산 거점을 베트남과 인도 등으로 이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박닌성, 타이응우옌성, 호치민 등에서 휴대전화·디스플레이·가전 제품을 생산 중이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베트남 생산법인 4곳에서 올린 매출은 총 657억달러(약 77조3600억원)에 이른다. 이는 지난해 베트남 국내총생산(GDP) 2800억달러(약 329조원)의 27.6%에 달하는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인도 노이다·첸나이 등에서도 휴대전화·가전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엔 노이다 공장을 증설하고 연간 6800만대인 현지 스마트폰 생산량을 2020년말까지 1억2000만대로 늘린다는 계획을 지난해 내놓았다. 전자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베트남과 인도는 중국보다도 인건비가 싸고, 현지 업체 경쟁력이 뒤처져 시장성 또한 밝다"며 "정부 차원에서 법인세 면제 등 각종 세제 혜택을 주는 것도 장점"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