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m.news.naver.com/read.nhn?oid=014&aid=0004305171&sid1=105&mode=LSD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바른미래당 신용현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이 국회 입법조사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9월 기준, 애플코리아의 공식 수리점은 88개로 삼성전자(178개), LG전자(167개)에 비해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직영 서비스센터로 178개를, LG전자는 직영 서비스센터 소속 분점 36개를 포함해 167개를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애플코리아는 직영점 1개, 공식서비스 업체(제휴사) 87개 총 88개의 사후서비스망을 운영하고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은 삼성전자는 35개, LG전자는 31개, 애플코리아는 25개의 서비스센터를 운영해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지방에서는 국내 제조사와 애플간의 서비스센터 격차가 심했다. 경기도는 삼성전자 42개, LG전자 37개, 애플코리아 20개를 운영하고 있다. 경북지역은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수리점이 각각 13개씩이었던 반면, 애플코리아는 3개에 불과했다. 전북지역도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7개, 애플코리아는 2개뿐이었다. 


신용현 의원은 “스마트폰이 업무, 일상 등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물건이 된 만큼 고장이 났을 경우, 최대한 빨리 수리가 이뤄질 수 있어야 소비자 불편이 덜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하지만 일부 지역의 경우 면적이 넓음에도 공식 수리점 개수가 적었을 뿐 아니라 일부사업자는 타사에 비해서도 현저히 적었다”며 “이럴 경우 소비자는 거리가 먼 공식 수리점을 이용하거나 공인되지 않은 사설업체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며 “어느 쪽이든 소비자가 불편을 감수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신 의원은 “최근 스마트폰과 관련된 소비자 불만 중 하나가 바로 AS와 관련된 부분”이라며 “정부와 제조사는 소비자 불편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