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달 썼었던 비교글이 NVIDIA 자체 트윅을 빼지 않아 부정확할수 있어서 보충할겸 다른 라이브러리도 테스트해봤음


이번엔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

1. NVIDIA 트윅 제거

2. 게임외 부하 최소화

3. 그레이스 시티 1채널 돌아다니며 로딩 유도, 평균프레임 계산


이렇게 진행함.


참고로 컴 사양은 라이젠 5 5600 + RTX 3060 모델이며 테스트에 사용한 Wrapper 라이브러리는 https://emulation.gametechwiki.com/index.php/Wrappers 여기 페이지중 DX9/윈도우 환경 지원하는것 다운로드함


순정상태의 경우 최소프레임(끊김 발생한 시점)이 16프레임 최대프레임은 106프레임이 나옴. 다만 최대프레임은 잠깐 튄거고 실제로 인겜 프레임은 40~60선에서 유지되었음(스샷 시간이 맨 뒤인건 인겜스샷으로 찍었다가 오버레이 안찍혀서 나중에 다시찍음)


주로 고전겜 구동에 사용되는 dgVoodoo의 경우 한단계 더 거치는 특성상 예상대로 최소 7프레임 최대 78프레임 평균도 45프레임 정도를 보여줌. 인겜 프레임도 적용시와 크게 차이나지 않는 30~60 정도로 유지됨.


참고로 설정값은 위 스샷하고 같음. Output API에서 DX12도 선택 가능하긴해도


소워는 호환성문제인지 걍 튕겨버려서 테스트하진 못했음


챈에서도 언급된 DXVK 성능이 제일 좋은데, 최하프레임(아마 변환하면서 생기는 딜레이일거임)이 낮긴 해도 평균이랑 최상이 높고, 인겜 프레임도 미적용시보다 훨씬 높았음.


OpenGL로 변환해주는 WineD3D의 경우 성능이 낮은건 물론


그래픽 오류도 발생해서(캐릭터 그림자 부분이 지나치게 커져서 맵을 덮어버린 상황) 사실상 DX9 구동엔 유용하지 못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