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먹지 않도록 메모해두는 차원에서 올림


드?럼이나 총소리 같은 거 만들 때 유용할듯

단발일 때는 총소리 끝까지 재생

연발일 때는 총소리 연사속도에 맞춰 중간에 끊고 루프 같은 거



기본적으로 스테이트 3개가 필요함

사운드 재생되는 스테이트 (Buckler Punch)

아무것도 녹화 안 한 애니메이션 집어넣은 스테이트  두 개 (New State, Punch Ready)


첫번째 전환 세팅

조건은 사운드 재생되는 조건



두 번째 전환 세팅

조건은 무조건 만족할 수 있는 파라미터 (총소리를 만든다고 하면 총 들고 있으면 항상 켜짐 상태일 총기 ON 파라미터를 사용한다고 보면 됨)


세 번째 전환 세팅

Interruption Source를 Next State 로 세팅하고

Transition Duration을 1초 정도 줘야 함

여기에 Exit Time을 주면 최소한 그 길이만큼은 재생하게 만들 수 있음 (피직스본 같은데 달아서 애매하게 접촉해 드르르륵 소리나는 거 방지)

Exit Time이 아마 애니메이션 길이 따라 달라지는 걸로 아는데 잘은 몰?루

1프레임 짜리 애니메이션 넣으면 1= 1초로 받는 거 같음




이렇게 하면

한 번만 작동시킬 때는

New State(아무것도 안함)>Punch Ready(아무것도 안함)>Buckler Punch(사운드 재생)>New State 로 진행하며 사운드 재생하고

Transition 기간이 기니까 사운드를 온전히 재생함


재생 중간에 다시 작동시킬 때는

New State>Punch Ready>Buckler Punch>New State

과정에서 마지막  Buckler Punch > New State로 진행하는 1초 간의 전환 과정 중에

Interruption Source 세팅의 영향으로 New State>Punch Ready로 전환이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Audio Source 들어있는 오브젝트가 꺼져서 사운드 재생할 준비가 끝남

그리고 그 뒤에 이어질 Punch Ready>Buckler Punch 전환은 무조건 일어나게 세팅해뒀기 때문에 다시 사운드가 재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