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 부스터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첫 데뷔한 테마다.

공룡+로봇 or 미소녀(?)를 곁들인 컨셉으로, 공룡족 라인에선 처음으로 미소녀급이라고 할만한 테마가 나왔다고 볼 수 있음.

기본적인 운영은 라이프의 극단적 소모를 동반한 함정 중심 운영과, 지속 함정류의 견제를 겸비한 켄트레기나의 타점 비트 덱

이었으나 최근 공개된 신규 카드 2장으로 운영 방식이 약간 변동이 생김. 이건 카드 소개하면서 차차 설명할 테니 잠시 접어둠.



-메인 몬스터


다이놀피아 테리지아

공룡족/효과

이 카드명의 ①, 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다이놀피아"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자신 마법&함정 존에 세트한다. 자신의 라이프가 2000이하일 경우, 추가로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올린다.

②: 이 카드가 전투/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에서 함정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다이놀피아 테리지아"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다이놀피아"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다이놀피아의 초동.

소환 유발 효과가 패에 넣는 게 아닌, 필드 세트라서 우라라에 안 맞지만 뵐러포영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소소한 타점 상승은 덤.

파괴 시의 유발 효과는 테리지아 이외의 레벨 4 다이놀피아 몬스터를 묘지에서 소생시키는 효과인데, 메인&엑덱 포함해도 레벨 4는 테리지아와 디프로스 밖에 없어서 현재로선 디프로스 소생 밖에 안 된다. 그래도 둘 다 서로 소생시키면서 소환 유발 효과도 쓸 수 있으니 못 쓸 정도는 아니지만, 묘지에 함정 제외가 코스트이므로 사용 시의 주의를 요함.




다이놀피아 디프로스

공룡족/효과

이 카드명의 ①, 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다이놀피아"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자신의 라이프가 2000이하일 경우, 추가로 상대에게 500 대미지를 준다.

②: 이 카드가 전투/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에서 함정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다이놀피아 디프로스"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다이놀피아"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덱 자체의 보좌 역할

메인 몬스터가 현재 테리지아와 디프로스 밖에 없어서 풀투입해도 덱에 6장 밖에 안 된다.

첫 패에 얘랑 함정들로만 잡혔을 경우엔 좀 머리가 아프다. 다이놀피아의 함정 효과 처리용으로 써먹던지, 아니면 덤핑으로 테리지아를 덤핑해서 파괴되었을 경우에 묘지에서 테리지아의 소생을 노리는 게 좋을 정도.

켄트레기나가 존재할 경우, 확실한 보좌 역할은 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 융합 몬스터


다이놀피아 켄트레기나

공룡족/융합/효과

카드명이 다른 "다이놀피아" 몬스터 X 2

이 카드명의 ②, 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의 라이프 수치만큼 내린다.

②: 자신/상대 메인 페이즈에, 라이프를 절반 지불하고, 자신의 묘지에서 "다이놀피아"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효과는, 그 함정 카드 발동 시의 효과와 같아진다.

③: 이 카드가 전투/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다이놀피아"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다이놀피아 덱의 중간다리, 핵심 및 준에이스

레벨 6에 타점이 4000이나 되는 말도 안되는 스펙이지만, 지속 효과로 자신의 타점을 라이프 수치만큼 내리는 효과가 있어서 사실상 4000까진 안 되지만....게임이 장기전일 수록 타점이 4000에 수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라이프 절반을 지불하고 묘지의 다이놀피아 함정의 효과를 베끼는 효과. 도메인과 프렌지를 베끼면 연속으로 덱융합&준덱융합을 할 수 있고, 브루트나 얼러트를 베끼면 견제 및 전개를 보완할 수 있다. 

파괴 시의 유발 효과는 메인덱의 몬스터들과 같은 효과.



다이놀피아 스텔스베기아

공룡족/융합/효과

카드명이 다른 "다이놀피아" 몬스터 X 2

이 카드명의 ②, 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의 라이프가 2000이하인 한, 자신은 "다이놀피아" 몬스터의 효과 및, 함정 카드를 발동하기 위해 지불하는 라이프가 필요 없어진다.

②: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대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③: 이 카드가 전투/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다이놀피아"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다이놀피아의 계륵

라이프가 2000이하일 때는 다이놀피아 몬스터의 라이프 감소 코스트와 함정 발동 시의 라이프 지불 코스트를 없애는 지속 효과. 신심, 신통 류는 물론이고, 스드 같은 함정의 지불 라이프도 없어진다. 단, 이것은 선택이 아니라 무조건 발동의 라이프 지불 코스트가 없어지는 것이므로 주의할 것.

2번 효과는 상대 몬스터 효과가 발동했을 때 바로 발동해야하는 유발 번대미지 효과.

빠르게 라이프를 소모해서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를 바보로 만드는 플레이로 전향된 다이놀피아 컨셉 상, 이제는 프렌지의 융합 소재 몬스터로 전락했다고 봐야한다.



다이놀피아 렉스텀

공룡족/융합/효과

"다이놀피아" 융합 몬스터 + "다이놀피아" 몬스터

이 카드명의 ②, 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라이프 수치 이상의 공격력을 가진 상대 필드의 몬스터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②: 자신/상대 턴에, 라이프를 절반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 시까지, 자신의 라이프 수치와 같게 된다.

③: 이 카드가 전투/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레벨 6 이하의 "다이놀피아"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다이놀피아의 구세주&신규 에이스 몬스터

융합 소재로 다이놀피아 융합 몬스터를 요구하지만, 프렌지의 효과로 쉽게 뽑을 수 있다.

1번 효과는 자신 라이프보다 높은 타점을 가진 상대 필드 몬스터들의 효과 발동 락. 얘를 라이프 소모를 최대한 적게 소모해서 뽑는다고 해도, 벌써 플레이어의 라이프는 2000이다. 보통 에이스 몬스터, 중급 몬스터들의 타점은 대부분 2000을 넘어가기 때문에 상당히 좋은 필드 지속 효과.

2번 효과는 깡타점을 가진 몬스터를 순식간에 응애로 만들어버리는 효과. 덤으로, 텍스트가 "같게 한다." 라서 실제 공격력이 0인 경우, 그 몬스터는 타점이 상승을 한다.

파괴 시의 유발 효과는 다른 다이놀피아 몬스터와 동일하되, 레벨6 이하라서 파괴되더라도 묘지에 정규 소환한 켄트레기나를 소생 시킬 수 있다.


-함정 카드


다이놀피아 도메인

함정 카드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 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자신/상대 메인 페이즈에, 라이프를 절반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덱/필드에서 "다이놀피아"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융합 소재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②: 자신의 라이프가 2000이하이며, 상대가 마법/함정/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상대 효과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효과 대미지는 0이 된다.


존1나 중요한카드1

1번 효과는 라이프를 지불하고 패/덱/필드 위의 몬스터를 소재로 다이놀피아 몬스터를 융합 소환하는 효과.

덱도 포함하기 때문에 우라라로 체인이 가능하다.

프렌지를 발동 못했을 경우, 도메인으로 켄트레기나->렉스텀으로 연결해야하는데, 여따가 우라라 쳐맞고 케어 못하면 피눈물이 난다. 

2번 효과는 다이놀피아 일반 함정 카드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번댐 무효 효과




다이놀피아 얼러트

함정 카드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 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라이프를 절반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레벨의 합계가 8이하가 되도록, 자신의 묘지에서 "다이놀피아" 몬스터를 2장까지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이 턴, 자신은 "다이놀피아" 몬스터 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으며,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로는 직접 공격할 수 없다.

②: 자신의 라이프가 2000이하이며, 상대가 마법/함정/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상대 효과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효과 대미지는 0이 된다.


묘지의 다이놀피아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카드.

레벨의 합계로 따지므로 테리지아&디프로스를 소생시키거나, 융합 몬스터 1체를 소생시킬 수 있다.



다이놀피아 브루트

함정 카드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 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라이프를 절반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다이놀피아" 몬스터 1장과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②: 자신의 라이프가 2000이하이며, 상대가 마법/함정/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상대 효과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효과 대미지는 0이 된다.


자신의 다이놀피아 몬스터와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비대상 지정으로 파괴하는 카드.

내 필드에 효과처리로 파괴할 다이놀피아 몬스터가 없으면 불발된다.




다이놀피아 프렌지

함정 카드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 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상대 메인 페이즈에, 라이프를 절반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및 엑스트라 덱에서 "다이놀피아"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융합 소재 몬스터를 1장씩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②: 자신의 라이프가 2000이하이며, 상대가 마법/함정/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상대 효과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효과 대미지는 0이 된다.


존1나중요한 카드22, 다이놀피아의 새로운 초동

도메인과 달리 소재 몬스터를 덱과 엑스트라 덱에서 끌고와서 융합 소환하는 효과.

역시나 이것도 덱을 건드리므로, 우라라에 쳐맞는다. 그래도 도메인이랑 같이 융합 몹 꺼낼 수단이 늘어났다는 것에 감사하자.

도메인은 켄트의 효과로 총 2번 융합한다는 가정 하에, 그러면 소재로 쓸 메인 몬스터가 2장 밖에 안 된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프렌지로 이젠 계륵이 되어버린 스텔스베기아를 소재로 보내고 렉스텀을 뽑으면 그만.

주의 할 점은, 상대 메인 페이즈 한정해서 발동가능하다. 켄트의 효과로 베끼고 싶어도, "상대 메인 페이즈"라는 텍스트가 효과 내에 존재하는 한, 이것 역시 상대 메인 페이즈에서만 발동 가능하다.



다이놀피아 쉘

카운터 함정 카드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 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상대 배틀 페이즈 개시 시에, 라이프를 절반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다이놀피아 토큰"(공룡족/어둠/레벨10/공0/수300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턴,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토큰이 존재하는 한, 상대는 다른 몬스터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②: 자신의 라이프가 2000이하이며,전투 대미지를 받는 대미지 계산 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대미지는 0이 된다.


상대 배틀 페이즈 개시시에 몸빵용 토큰을 뱉는 효과. 카운터 함정이라 스펠 스피드를 맞추지 않는 한 대부분 통과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파괴되면 어그로 효과가 풀리고, 토큰이 남아있어도 다음 상대 턴엔 어그로 효과가 없으므로 주의.

2번 효과는 다이놀피아 카운터 함정 카드의 공통 전투 대미지 무효 효과. 일반 함정 카드는 해당 턴의 모든 효과 대미지를 무효로 하는데 반해, 카운터 함정의 전투 대미지 무효 효과는 1회성 효과이므로 주의.



다이놀피아 소닉

카운터 함정 카드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 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자신 필드에 "다이놀피아" 몬스터가 존재하고, 상대가 마법/함정 카드를 발동했을 때, 라이프를 절반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다이놀피아"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②: 자신의 라이프가 2000이하이며,전투 대미지를 받는 대미지 계산 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대미지는 0이 된다.


다이놀피아 몬스터 1장을 내주고, 상대 마함 카드의 발동을 막는 카드. 당연하지만 필드에 다이놀피아 몬스터가 없으면 발동 불가능이다. 이 효과로 다이놀피아 몬스터가 파괴되어도 파괴 시의 유발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이놀피아 리버전

카운터 함정 카드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 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자신 필드에 "다이놀피아" 융합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라이프를 절반 지불하고 자신 묘지에서 카운터 함정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효과는 그 카운터 함정 카드의 발동 시의 효과와 같아진다.

②: 자신의 라이프가 2000이하이며,전투 대미지를 받는 대미지 계산 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대미지는 0이 된다.


다이놀피아 융합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는 카운터 함정.

굳이 다이놀피아 카운터 함정이 아니더라도, 신심, 신통 같은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 카운터 함정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초동에 말림 패가 되기 쉬우므로, 보통 1장 넣거나 안 넣는다.



-같이 쓰면 좋은 카드

1. 환창의 미세라사우르스 : 공룡족 한정 효과 내성 부여 카드. 프리 체인도 가능하므로 1번 효과 사용후, 다이놀피아 몬스터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2. 궁극의 전도 티라노 : 묘지 과하게 쌓인 테리지아, 디프로스를 제외하고 소환할 수 있다. 전체 공격도 가능하고 번댐, 뒤집기가 프리 체인도 가능하므로 상당히 유용


3. 천옥의 왕 : 요즘 대부분의 함떡 테마에 어울리는 픽. 공개 상태에서 특소했을 경우, 필요한 마/함을 아무거나 들고 올 수 있다.


4. 신의 심판, 통고, 경고 : 라이프 소모 테마답게 운영만 적절하게 하는 동안은, 자유롭게 써먹을 수 있다. 단, 통고나 경고 같은 경우는 지불 수치가 정해져있으므로, 잘못 쓰면 필드 한 자리를 먹거나 패에서 썩을 수 있다는 점을 주의.


5. 군웅할거, 왕궁의 칙명 같은 지속 함정류 : 센서 만별은 렉스텀 1장만 필드에 놓기엔 불안하다. 종족 1종 제약을 거는 군웅할거나 속성 제약을 거는 어전시합이 괜찮은 픽. 함떡 테마 답게 왕궁의 칙명도 어울린다.


6. 화석조사, 졸겸, 욕겸 같은 항아리류 : 자신 턴에 전개력이 거의 바닥이라고 봐도 무방할 수준이기에 상대 턴에 전개할 카드의 서치가 필요하다.


7. 족제비의 대폭발 : 현재 몇개 안되는 덱들의 써먹기 편한 함정 카드. 상대 필드의 몬스터 타점의 합이 자신의 라이프 수치 이하가 되도록 덱 바운스 시킨다. 또 플레이어 명령형 텍스트라 완전 내성도 씹는다는게 매력적.


대충 예시 레시피


(그냥 참고만 해)


렉스텀&프렌지 공개 전에는 그냥 켄트레기나 2마리 세워놓고 스드 킨 다음에 타점으로 비트하는 형식으로 운영했지만

이젠 굳이 스드 채용할 필요까진 없어보임.

리버전, 쉘은 취향껏. 난 긴급사태 대비해서 쉘 1장을 넣긴 했는데, 익숙해지면 뺄려고. 빼고 니비루 예정 중.


자신 턴 전개력이 바닥이라 증G에 대한 메리트가 별로 없어서 증G 빼고 굴리는 픽도 있긴 함.



+2022.01.09 추가)

국내에서 테마 번역명이 다이놀피어로 확정되어서 그냥 테마 이름은 다이놀피어로 생각하고 이해하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