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마듀의 영향으로 뉴비들이 늘어나기도 했고 하니. 하나 정리글을 적고자 함.


최근, 자신의 덱 성향과 맞지 않음에도 무리하게 드로우카드를 채용함으로서 

덱 성능을 완벽하게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보여서 안타까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덱에 감마를 쓰거나 덱의 순환이 중요한 테마임에도 욕탐을 쓴다거나,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큼에도 욕졸을 써서 에이스가 전부 갈려서 칼서렌을 치거나, 아님 추가 드로우를 하려다 실패해서 전개가 꼬이거나


OTK 덱이 졸겸을 써놓고 왜 킬각이 안 잡힌다고 징징대거나


같은 경우를 봤다.

그래서 이 참에 덱에 맞는 항아리들을 정리해볼까 함.

일단 읽기 전에.


1. 내가 직접 굴리는 덱이라 해봤자 섬도, 섀도르 정도라 모든 테마를 직접 격어본 것도 아니고, 싱크로는 상검 빼곤 손도 대본적 없음.

거기다 나는 9기 중후반 샤이닝 빅토리즈부터 입문한 중고 뉴비라서. 지식이 편향될 수 있음. 

반박시 니 말이 맞노라.


2. 각 항목마다 요약 적어 놓음


3. 장문 주의. 



0. 서론

기본적으로 항아리는 테마에 적합한 드로우 수단이 없을 경우, 혹은 있어도 추가적으로 채용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맞다. 

따라서 자신이 사용하는 덱이 아래의 경우에 해당된다면 먼저 해당하는 카드부터 사용해보자.


1)테마에 자체적으로 드로우 수단이 있는 경우(ex. 세리온즈/오르페골/D히어로 등)

2)레벨에 맞는 드로우 카드가 있을 경우(ex. 제너레이드(9렙)/백룡(8렙)/흑룡(7렙) 등)

3)종족/속성에 맞는 드로우 카드가 있을 경우(ex. 어둠의 유혹/날개의 보은 등)

4)테마군 자체에 서치 카드가 흘러 넘치는 경우(ex.마돌체/E히어로 등)


물론 드로우 카드는 다다익선이라 생각하는 경우도 많고, 그것 역시 맞는 말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위에 해당해도 드로우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서론에서 하고 싶은 말은 일단 최우선적으로 위에 해댕하는 카드를 넣은 후에, 그 뒤에도 모자라다고 생각하면 채용하자는 것이다. 

아님 걍 넣던가. 꼴리는대로 하는 게 최고지. 게임인데


그러니 기본적으론 항아리 테마 + 기타 범용 드로우카드들로 알아보자.

참고로 항아리 시리즈는 전부 

당하면 

울어야 하는 건 당연하고, 최악의 경우도 상정하고 써야 한다.

키 카드가 전부 갈린다거나 말이야. 그게 싫으면 항아리 쓰면 안 된다.


1.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 (준제한)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10장을 뒷면 표시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을 항아리일거다. 

덱 위에서 카드를 10장이나 뒷면표시로 제외한다는 코스트가 무겁기도 하고, 여기에 

당하면 사실상 그대로 게임 졌다고 봐도 될 정도긴 하지만. 

솔직히 말해서 현존하는 항아리 시리즈 중에선 가장 뇌 빼고 쓸 수 있는 카드다.

덱을 10장이나 갈지만, 아직 30장이나 남았고 남은 파츠로도 덱을 굴릴수만  있다면 사실상 욕망의 항아리와 다를 게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1턴에 1번 발동 제약을 제외하면 그 어떤 맹세효과나 디메리트가 없다. 

따라서, 다음의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면 욕탐을 고려해볼 수 있다.


1. 카드 간의 연계가 매우 유기적이고 촘촘해서 카드 1장이라도 빠지면 전개/운영에 차질이 생기는 경우

(ex. 마돌체/정크도플/드라이트론/세피라)


2. 1장~2장의 극소수의 키카드가 제외되면 ㅈ되는 경우

(ex. PSY프레임,D드라군,용사 등의 용병 채용 시/ 십이수)


3. 덱자원을 많이 쓰는 경우

(ex. 섀도르/프레데터 플랜츠/데스피아 등의 융합테마 대다수)


이 3가지의 경우에는 욕탐의 사용을 지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반대로,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로 욕탐의 채용을 추천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아무튼 특정 카드를 잡아야 되는 경우



개인적으론 일단 이 2테마가 대표적이라 본다. 

둘 다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개 쩌는 대신, 아무튼 1장~2장만 잡으면 그 뒤로는 어떻게든 전개가 된다. 


2. 진짜 아무거나 잡혀도 덱이 굴러가는 경우

뭐 이 외에도 많을거다. 

진짜 카드간의 연계가 널널해서 아무 카드끼리나 연계가 가능한 경우, 그래서 패가 많은 게 장땡인 경우엔 욕탐을 쓰는 게 맞다.


물론 추천하는 경우 모두 제외된 10장이 모두 키카드라 서렌치는 경우가 나올 수도 있지만, 애초에 그게 싫으면 욕탐 안 썼겠지.

그건 충분히 감수하고 가야 할 리스크라 본다. 그게 싫으면 다른 항아리 써야지.

키카드가 제한이나 준제한 쳐먹어서 갈리면 ㅈ되는 경우엔 쓰지 말라하는 것도 이것 때문임.



요약

: 디메리트가 없어서 제일 쓰기 편함.

아무튼 패가 많으면 되는 덱에서 쓰면 됨.

키카드는 항상 갈릴 수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쓸 것.




2. 욕망과 졸부의 항아리

①: 자신 메인 페이즈 1 개시시에,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뒷면 표시의 카드 3장 또는 6장을 무작위로 뒷면 표시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제외한 카드 3장당 1장, 자신은 덱에서 드로우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카드의 효과로 드로우할 수 없다.



여기서부터는 꽤 어지럽다. 

무조건 메인페이즈 1 개시시에 발동해야 해서 사실상 1턴에 1번 제한에다가 디메리트로 드로우 불가가 붙는다. 

물론 드로우 불가지 서치 불가가 아니라서 서치류 카드는 사용이 가능하다만, 

기타 항아리 시리즈나 효과에 드로우를 포함하는 카드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물론 말만 이렇지 사실상 엑덱을 사용하지 않는 덱이라면 다 쓸 수 있다.

개 중에서도 대표적인 경우는


1. 엑스트라 덱을 안 써도 되는 경우

특히 네크로즈를 위시한 대부분의 의식 테마들은 작정하면 엑덱을 안 쓰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해서 거의 반 필카 취급 받는다.

드로우 불가 디메리트만 주의해서 플레이한다면 특별히 신경 쓰이는 디메리트도 없기도 하고.


2. 엑덱 의존도가 있긴 하지만, 특정 몬스터 1~2종류만 있으면 되는 경우

둘 다 엑덱몹 1~2장씩만 살아 있으면 되는지라, 욕졸을 쓰기도 한다. 

다만 개인적인 견해로는 비추. 특히 마돌체는 요즘 들어 더더욱 엑덱 의존도가 올라가고 있는 추세라 더더욱 비추.

드래곤 메이드도 예전처럼 하스키 3장/슈트럴 3장만 넣고 나머지는 잡카로 채워서 굴리는 순수 드메면 모를까. 드링을 살짝 섞은 경우엔 추천하지 않는다. 

해당 경우엔 차라리 후술하는 카드를 쓰는게 더 나을 듯?


3. 엑덱에 의존하지 않는 플랜이 있을 경우

누가 얼터도 여기 포함이라고는 하던데, 얼터는 굴려본적도, 만나본 적도 거의 없어서 몰?루겄다.


아 근대, 엑덱을 안 쓰는 테마라고는 해도 

제왕은 못 쓴다.

제왕은 조건으로 '엑스트라 덱에 몬스터가 없을 경우'를 지정하고 있어서 아예 0장으로 하는 게 맞다.

욕졸 3장 다 써서 엑덱 비우면 5드로우 하고 개꿀 아님? 이라고 생각한다면....


요약

제왕 제외하고 엑덱 안 쓰는 덱이라면 써도 된다.

아님 진짜 엑덱에 딱 1장만 남으면 되는 경우나.

물론 욕탐과 마찬가지로 키 카드가 전부 갈릴 수도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써야 함.


그리고 이 욕졸의 단점을 살짝 보완해서 나온 카드가.


3.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 (준제한)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카드의 효과로 드로우할 수 없다.
①: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카드 3장 또는 6장을 뒷면 표시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제외한 수만큼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넘기고, 그 중에서 1장을 골라 패에 넣고, 남은 카드를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맨 아래로 되돌린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상대가 받는 모든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졸겸 되시겠다. 

욕졸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메인페이즈 1 개시 시, 라는 조건이 사라져서 언제든 발동할 수 있다. 

단, 드로우 불가 디메리트가 더 강해져서 욕졸과 달리 사용하기 전에 드로우 했다면 발동할 수 없다.


2) 제외하는 카드를 자기가 직접 고를 수 있다. 따라서 욕졸을 썼을 때처럼 키카드가 전부 갈려버리는 불상사는 피할 수 있다.


3) 단, 2장 드로우가 아니라 덱 위에서 3장/6장을 뒤집은 뒤 1장을 패에 넣는 효과로 바뀌었다.

사실 이걸 드로우카드로 봐야하는 지도 의문이지만, 일단 이름이 항아리라 드로우카드라 치자.


사실 현 유희왕에서 최강의 항아리가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이 카드의 존재만으로 덱의 안정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기 때문이다.

생각해보자, 지금 메타에서 대부분의 티어덱들은 키카드 1장~2장으로 전개할 수 있는 결과물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근대 이걸 덱을 6장이나 뒤집어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한 메리트다.

조금 과장해서, 준제한 정도의 금제는 사실상 무의미하게 만드는 정도?

그래서 이 카드도 꽤 빠르게 준제 먹었다. 욕탐은 한 1년 버텼던 거 같은데.


지금 메타에서 사기카드라 대부분의 덱들이 쓰긴 하지만. 일단은 이러한 형태의 덱들이 가장 적합하다고 본다.

일단 그 전에, 거의 대부분의 조건을 욕졸과 공유하기 때문에 욕졸을 쓰는 덱이면 일단 채용 가능하다.

그나마 차이점을 말해보면...


1. 엑스트라 덱을 15장 전부 사용하지는 않는 경우

 



섬도의 경우에는 내 개인적인 플레이스타일이 섞인 경우도 있다. 

나는 엑덱에 섬도희 5종류 + 하리파, 셀레네, 엑세스 밖에 안 넣어서 졸겸을 쓰기도 한다.

섬도는 운영덱이지 전개덱이 아니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쨌건 인게이지가 1장 잡히냐 2장 잡히냐는 크니까.

나중에 링케이지 지원 받으면 링케이지 찾기도 할거고.


요약

: 엑덱 15장 꽉꽉 채워 쓰는 거 아니면 써도 됨. 

아님 욕심부려서 걍 쓰던가.


현 메타에 주로 쓰이는 인기 있는 항아리는 이 3개 정도가 끝이고 뒤에 나오는 항아리들은 메타에서 살짝 밀린 경우가 많은 비주류 항아리나 드로우 카드들이다.


4,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①: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넘기고, 그 중에서 1장을 골라 패에 넣고, 그 후 남은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길게 말할 필요 없다. 디메리트가 특소불가라서 일반소환 위주의 덱에서만 쓸 수 있다. 

대충 이 정도?


요약

특소 안하는 덱은 써

물론 일소만 하는 덱의 경우엔 사실상 디메리트 없는 졸겸이라 충분히 사용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5, 생명단축의 패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①: 자신은 패가 3장이 되도록 덱에서 드로우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상대가 받는 모든 데미지는 0이 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자신의 패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애니 출신의 근ㅡ본 카드긴 하지만... 원본은 5장 드로우라는 개사기 카드였지만, 당연히 욕망의 항아리도 영구금지 먹은 마당에 그대로 나올리가 없다. 


결과적으로는 최대 3드로우라서 항아리를 포함한 드로우 카드들 중에서는 제일 드로우 수가 많긴 하다. 대신 여기는 욕겸보다 더 심해서 특소불가+상대가 받는 데미지 0+턴 종료시 패 전부 버림 이라는 3중 디메리트가 있다.


그래서 이것도 보통은 위의 욕겸과 마찬가지로 일소 위주의 덱이 쓴다만...

이 경우에 쓰는 경우가 있다.



아무튼 패를 다 털 수 있는 경우


보통은 함떡이 썼다. 

패를 버리는 디메리트라 그냥 5장 세트를 해버리면 끝이었거든.


그 외에는 클리포트가 썼'었'다. 당시 클리포트는 스드+일반소환으로 날먹하는 덱 느낌이 강했고 거기에 남는 카드는 그냥 

팬듈럼 존에 세팅해버리던가 하는 식으로 패를 다 털기도 쉬웠다. 

그래서 이것 때문에 생단패가 준제한까지 간 적도 있었다.

지금은 메타가 변해서 생단패 자체가 줘도 안 쓰는 카드가 되서 안 쓰지만.


요약

쓰지마. 이거 쓸 바에 욕겸 써라.



6. 탐욕의 항아리

①: 자신 묘지의 몬스터 5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5장을 덱에 넣고 셔플한다. 그 후,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이건 꽤나 옛날카드라 그런가, 턴 제약도 없고 묘지 자원만 잘 쌓을 수 있으면 오히려 샐비지까지 하면서 2드로우를 볼 수 있다.

표면적으론 이것만 보면 개 사기카드지만, 괜히 무제한이 아니다. 


특히 최근 메타에서는 묘지에 남아 있는 카드 역시 자원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의외로 첫턴에 묘지에 몬스터 5체를 쌓기가 쉽다하더라도 그런 덱들은 보통 묘지자원 역시 사용하는 덱이다. 오히려 탐욕으로 돌리는 게 디메리트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뭣보다, 묘지에 몬스터 5체가 없으면 패에서 노는 쓰레기가 되는 지라 

묘지에 몬스터를 극단적으로 쌓는 덱이 아니면 잘 안 쓰게 된다.


그나마 최근에는 링크 소환 덕분에 묘지에 몬스터 쌓기가 쉬워져서 취향에 따라 쓰기도 한다.

나 같은 경우엔 섬도에서 카가리 샐비지하려고 썼었다. 지금은 원크리웨이 쓰지만.


요약

묘지의 몬스터를 잘 쌓음 + 그 몬스터를 덱에서 재활용해야 하면 채용을 고려해볼 것.



7. 기타 드로우 카드

위에 6가지가 현 메타에서 그나마 쓰는 범용 드로우카드들이고, 여기서 말하는 것들은 특정 조건이 맞으면 사용 가능한 드로우카드다.

당연히 우선도는 개인적으론 항아리보다 높다.


0)

멍멍이!? 등의 서치 카드는 제외. 


1) 어둠의 유혹

덱이 어둠속성 통일이면 쓸 것

덱이 썬더드래곤이면 무적권 3장 쓸 것


2) 셀레스티엘 섹스턴트/칠성의 보도/트레이드 인/쿠지키리의 부적


덱의 몬스터 태반이 6/7/8/9로 통일 되어 있으면 쓰면 된다. 


대부분은 기억이 안 나는데, 9레벨은 제너레이드가 있다.



3) 조화의 패

덱에 드래곤족/공격력 1000이하/튜너 3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카드가 많아야 한다.


보통은 


백룡/드래그니티 정도가 아니면 잘 안쓴다. 

가끔 버스터 블레이드들이 쓰기도 하던데... 얘들도 내 기억이 맞으면 드래그니티를 용병으로 써서 그랬다.


4) 종족 드로우

날개의 보은은 필드에 비행야수족 뿐+2종류 이상의 조건에 800LP 지불이 코스트고

아이언 드로우는 필드에 기계족 효과 몬스터 2장만 존재할 것이라는 조건에 드로우 후 딱 1번만 특소 가능이라는 디메리트가 있다.



5) 테마 드로우



개인적으론 이렇게 자체 드로우가 있는 테마가 진짜 갓 테마라 생각한다. 

아님 서치카드가 많거나. 둘 다 없는 테마가 진짜 서러운 테마다.


8. 마치며

사실 드로우라는게, 카드 게임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아이러니하게도 우선도가 떨어지는 행위다.

무조건 서치>드로우니까, 테마에 서치 카드가 많다면 사실 굳이 드로우 카드를 넣을 필요는 없다고 본다.


특히 마듀를 하는 경우를 보면 누가 말해준건진 모르겠는데 다들 항아리를 꼭 넣던데, 개인적으로는 우선도는

서치카드>테마 드로우 카드 > 속성/종족/레벨 드로우 카드 > 항아리 라고 생각한다.


물론 덱의 성향이나 패말림의 정도 등을 고려한다면 항아리가 우선될 수도 있지만 다들 자기 덱에 맞는 드로우 카드를 써보자.


쓸 때 없는 장문 읽어줘서 매우 고맙고 

당연히 반박 시 니 말이 다 맞음.


그래도 피드백, 기타 의견이나 내가 틀리게 적은 내용이 있다면 말해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