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여서 3축 GS

오프라인에서도 가지고 있다는 것 인증


1. 덱리 소개

이건 지금 쓰고 있는 덱리. 아직까지는 열심히 연구중임

3x2로 퍼미션 하나만 깔끔하게 나와주면 좋겠는데... 가십 섀도우는 1드로 주는 거 때문에 겜 이상해지기 쉽고, 로커스트 킹은 필드만 막는거라 결국 니비루를 못 막으니까


2. 덱의 장점.

1) 비파괴 + 상대 필드에 몬스터를 쉽게 남기지 않는 방법의 견제.

빅헤드 가봉가의 엑시즈 소재로 흡수하는 견제, 고블린즈 크레이지 비스트도 마찬가지로 마법 함정을 흡수하는 비파괴 견제

GP-PB의 비대상 비파괴 장착, FA 다크 나이트 랜서의 비대상 엑시즈 소재로 흡수.

상대 필드에 카드를 남기지 않으면서 재활용이 쉽지 않는 방식의 견제를 위주로 함.


2) 아드 수급 능력.

전개를 궤도에 올리면 확실하게 아드를 수급하는 능력이 있음.

엑시즈 아머 토르피도의 드로 1, GP 지속 마법의 드로 1로 정크 아드가 아닌 비공개 유효 아드를 버는 능력도 있고,

전개 과정 중에서 패를 코스트로 요구하는 게 거의 없어서 깔끔하게 아드가 벌림.

필드에 가봉가, 캐리, 가십 세우고서 마함 존에 배터럭, 펑크 함정, gp 함정 깔고 추가로 더 깔 수 있음.

가끔은 뭘 세트하는 게 더 좋지 하고 고민할 정도


3) 난이도가 어렵지 않음.

전개 덱이라고는 해도 덱 전체에서 전개에 대한 제약을 거는 건 GP 레온의 소환시 효과를 사용한 후에 걸리는 거 뿐임.

고블린라이더도, GP도, 펑크도, 겉절이로 들어있는 엑시즈 아머도 전개에 전혀 제약을 거는 게 없음


3. 덱의 단점.

1) 공격권이 압축되는 순간에 뭐 맞으면 아픔.

하다보면 딱 느껴지는 게, 딱 공격권이 압축되는 순간이 있음. 딱지 잘 치는 사람들은 한 번 맞아보면 그걸 착 알아채서 바로 견제하더라. 그 순간을 좀 조심할 필요가 있는데, 그걸 케어하는 게 쉽지 않음.


2) 결과물을 세울 때 선택을 해야함. 만능 필드를 세울 수 없음

엑시즈 덱의 한계 같은 느낌이기는 한데, 3축이라는 특이한 축을 사용하다보니 카드풀이 상당히 한정되어 있음.

듀얼근에 따라서 결과물을 잘 세울 필요가 있음. 사이딩에 들어가면 뭘 배제해야하고, 뭘 예상해서 막아야하는 지 잘 구별해야함.


3) 마법/함정을 통한 돌파에 비교적 약함.

고블린라이더는 수비력이 0이라 수비표시로 몬스터를 세우기 힘들고, 엑시즈 아머도 수비력이 좀 빈약함. 라이트닝 스톰에도 당할 수 있음. 상대에 대한 견제를 단일 카드 한 장으로 하기 힘들기 때문에 길항승부도 아픔. 전개덱이라 당연히 니비루도 아픔

사이딩으로 극복하거나 결과물을 세울 때 취사선택을 잘할 필요가 있음.


4. 카드 채용 이유

1) 펑크는 3 3을 늘어놓기 좋고, 라이프를 코스트로 까는 카드들이라 GP랑 연계되기가 좋음.


2) 고블린라이더는 3 3을 늘어놓은 다음 나올 수 있는 아드 사기 수단임.

빅헤드 가봉가 효과로 다그 가져오고, 다그 효과로 대참상을 가져온 다음, 대참상 효과로 미얀다를 가져와 특소하면 가봉가 옆에 3 3이 추가로 나옴. 그걸로 골프 엑시즈하면서 소재로 미얀다를 째면, 채리엇 캐리호 밑에 있는 소재로 묘지의 미얀다가 한 번 더 기어나옴. 채리엇 캐리호로 가져온 캐리를 특소하면 미얀다 + 캐리로 3레벨이 2체 추가로 나옴


3) 골프는 견제를 취하기 좋으면서 전개 윤활유도 잘 해줌. 펑크 골프 덱은 이미 다 알고 있잖아


4)

여유되면 가져오는 용도. 드라가이트를 세워서 길항승부를 막거나 하는 용임. 드라가이트 퍼미션용 수속성은 미얀다랑 캐리가 채워줌


5)

다용도 퍼미션. 드라가이트 못 세우면 이걸 목표로 하는 편. 길항승부를 막는 용으로 세운다고 해도 좋음. 비어있는 라즈는 다크 나이트 랜서로 바꿔먹을 수도 있다.


6)

 

③: 이 카드 이외의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니비루를 막을 추가 수단. 3x3이라 소환이 조금 난이도가 있기는 하지만, 세울 수 있으면 좋음. 세워두고 고블린라이더 대참상으로 미얀다를 빼오고, 미얀다 효과로 하나 더 빼서 전개를 이어갈 떄도 있음. 가십으로 막나 얘로 막나 어차피 1번이면 상황봐서 꺼내면 된다. 대신 아슈라왕은 풀 아머드 엑시즈로 엑시즈 몬스터 달고서 피니셔로 활약해줄 수 있음.

아슈라왕에 토르피도를 붙이면 공 4600 4800 5000으로 치면서 상대에게 배틀을 통한 반항의 여지도 주지 않는 이상한 피니셔가 됨.


7)

①: 필드의 엑시즈 소재가 3장 이상일 경우, 자신의 "고블린" 몬스터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환주라거나 RR 같은 강력한 내성으로 누운 덱들을 대처하기 위해서 채용해보고 있는 중. 덱에 사로스를 여유있게 채용할 수 있는 덱은 아니어서 직공에서 답을 찾자라는 생각. 타점은 대집회의 정신나간 타점 상승으로 대충 해결하고...


덱리는 아직도 고민중 미완성임... 토템 버드라거나, 팽이 채용이라거나, 대충첩 쓰는 게 맞나? 라거나, 그리아레 삼걸 쓰는 게 맞나? 라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