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마제를 추가한 바람gs 연구가 좀 많이 된 거 같아서 강의글을 따로 써보게 됐습니다. 재미있게 봐주세요.


목차

1. 덱리

2. 덱 설명 및 장단점

3. 덱에 있는 카드들 설명

4. 전개법

5. 글을 마치며...


1. 덱리

덱리는 40장과 60장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40장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추후에 60장 덱은 따로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2-1. 덱 설명 

바람gs는 제가 직접 만든 덱입니다. 사운드워리어랑 스피드로이드를 중점으로 쓸만한 바람속성 용병들을 투입했고 비교적 최근에 지원 받았던 마제스펙터 파츠 투입하며 현재의 바람gs형태가 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전개력이 좋긴 하나 사실은 매턴 펜소와 자원 회수 등을 하며 압박플레이를 하는 미드레인지 덱입니다. 기존에는 성풍랑을 썼으나 그 대신 마제스펙터를 넣게 되었고 후열, 전개의 요구치가 낮아짐, 패 소모가 줄어드는 등 여러 이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2-2. 덱 장점

1) 전개에도 쓰이는 패트랩

이 덱은 기타스와 패 코스트 1장 3렙 튜너 1개만 있어도 풀전개가 됩니다. 이중 3렙 튜너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3렙 튜너 패트랩에도 해당이 되며 그렇기에 덱 40장 중 16장을 패트랩으로 넣을 수 있었습니다.

2) 이론상 무한정으로 굴릴 수 있는 자원

스피드로이드의 cw/hsr라이더와 찬바라이더, 즈루 등을 이용해 계속해서 자원을 순환 시킬 수 있습니다.

3) 여러 상황에 대처가 가능

이 덱을 플레이 하며 진짜 여러 상황을 만나봤습니다. 마스트람, 빛/어둠 모두 소재로 한 앙헬, 절대내성, 스킬드레인, 코즈믹 블레이저 등등... 근데 진짜 웬만한 상황에 대처법이 있습니다. (물론 센서만별은 60장 덱리였을 때만 대처법이 있습니다.)

4) 꽤 좋은 복구력

물론 첫 전개만큼의 복구력을 하진 못합니다. 하지만 펜소하고 묘지에서 셴셴을 살리며 어느정도의 견제력은 다시 만들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이 정도의 견재력이 턴을 받을 때마다 세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상대가 아무리 필드를 클린 시켜도 킬을 못 낸다면 턴을 받고 다시 펜소하며 전개를 할 수 있습니다.

5) 장기전에도 강함

복구력 좋고 자원도 순환이 되면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결론입니다. 

6) 정보의 불균형

지금 하는 사람이 거의 저 밖에 없기 때문에 이 덱을 잘 아는 사람이 별로 없고 애초에 합쳐진 테마들도 약간 마이너하기 때문에 지금 한다면 정보의 불균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2-3. 단점

1) 호감패(60장은 괜찮습니다.)

풀전개는 기본적으로 2핸드이기 때문에 사이저스나 전전대공, 다이스, 프로그, 템피스트, 오라이온 등은 혼자 잡았을 때 굉장히 호감패가 됩니다. 물론 잡았다고 풀전개가 안 되는 것은 아닙니다. 마제지원을 활용한 전개에서 필드는 성풍랑을 넣었던 바람gs에 비해 여유가 있기 때문에 펜소를 다 해버리면 그만이긴 합니다. 하지만 그랬을 때 패를 더 소모하는 것이기 때문에 확실히 기분이 나쁠 때가 많습니다.

2) 여전히 부족한 마/함 퍼미션

마제 파츠를 이용했다 하더라도 그건 어디까지나 후열이고 몬스터 퍼미션일 뿐입니다. 그러다보니 여전히 마/함 퍼미션은 바로네스 혼자서 맡고 있습니다. 

3) 부족한 공격권(60장은 괜찮습니다.)

다른 덱들에 비해 공격권이 확실히 부족한 느낌이 많이 납니다. 패가 좋지 않으면 우라라 1개에 그대로 전개를 멈추고 턴을 넘겨줘야 될 때도 많습니다.

4) 부족한 정보

덱을 설명할 때 말했다시피 이 덱은 제가 직접 만든 덱입니다. 그리고 정보의 불균형인만큼 이 덱은 정보가 거의 없습니다. 즉 연구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는 뜻이며 만약 이 덱을 한다면 이 글 외에는 거의 참고할 만한 정보가 없을 거라는 겁니다. 한마디로 이 덱의 숙련도 같은 것은 본인이 직접 올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3-1. 메인덱 카드들 설명

디제이스

혼자있을 땐 보통 말림패입니다. 다만 이 카드와 아무 사운드워리어 카드 1장을 같이 잡으면 패 코스트 없이 풀전개가 가능할 정도로 다른 카드들과 궁합이 굉장히 좋은 편에 속합니다. 패에 다른 사운드워리어 카드가 있으면 이 카드를 펜존에 미리 놓고 전개를 시작하면 필드에 사운드워리어 효과가 막히더라도 디제이스를 펜존에서 소환환하며 공격권을 늘릴 수 있습니다.


사이저스

이 카드 또한 혼자 있으면 말림패입니다. 문제는 디제이스랑은 다르게 다른 사운드워리어 카드와의 시너지가 상당히 별롭니다. 유일하게 디제이스랑 같이 잡았을 때 좋고 그 외에는 보통 패 코스트로 버리거나 덱에 얌전히 있을 때가 가장 좋습니다. 진짜 가끔가다가 이 카드를 묘지에 놓고 말명자로 디제이스 제외한 후 이 카드 효과로 살리면서 전개한 적이 있긴 합니다.


기타스

패 코스트를 요구하긴 하나 덱에서 직접적으로 사운드워리어 기믹에 닿게 해주며 3렙 튜너 패트랩을 전개로 쓸 수 있게 해주는 카드입니다. 디제이스처럼 다른 카드들과 시너지가 좋고 최근에 발견한 전개법에선 gom건으로 서치한 카드를 코스트로 하기 때문에 패를 소모를 덜 하게 됐습니다. 일반 소환을 통해 개체수를 늘릴 수 있으며 이것은 전개에도 쓰이고 돌파할 때에도 꽤 자주 쓰입니다.


기타리스

사이저스와 마찬가지로 상당히 말림패입니다. 그래도 사이저스에 비해 디제이스나 기타스와의 시너지가 좋습니다. 덱에 유일한 로우스케일 카드이기도 해서 중후반 부에는  패나 펜존에 확보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빨간 눈의 다이스

개인적으로 스피드로이드의 아이덴티티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카드입니다. 턴제 없는 레벨 조정을 해주는 카드이며 덱에 전개의 유연함을 주고 여러 패 상황을 하나 고점 전개로 연결시켜주는 카드이기도 합니다. 다만 첫 패에 잡았을 경우 말림패가 될 수 있습니다.


전전대공

스피드로이드의 유명한 호감패 전전대공입니다. 그래서 기존 순수 스피드로이드에선 이 카드를 2장 넣는 덱리도 꽤 많이 보입니다. 하지만 바람gs는 어차피 다 펜소를 하면 그만이고 3렙 튜너의 벨류가 좋기도 하며 능동적으로 패 코스트로 묘지에 묻어버릴 수가 있기 때문에 1장만 써도 괜찮다고 생각해 1장만 넣었습니다.


베이고맥스

이번에 마듀에서 풀리면서 유명인사가 된 베이고맥스입니다. 솔직히 다들 스피드로이드는 몰라도 얘는 알거라 생각합니다. 순수 스피드로이드에서도 1핸드 전개 요원을 맡고 있었고 바람gs에서도 역시 1핸드 전개요원으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타케톰보그

1핸드 전개 때에도 쓰이고 gom건으로 서치를 못할 상황을 만들지 않기 위해 넣었습니다. gom건은 무조건 덱에 스피드로이드 파츠 2개가 있어야 됩니다. 전개 때 끌어와야 할 카드는 다이스와 전전대공이니 덱에 그 2개 중 1개만 있다면 패의 타케톰보그로 끌어오면 되고 만약 패에 타케톰보그가 없면 덱에 타케톰보그가 있다는 것이니 gom건으로 끌어올 카드와 타케톰보그를 가지고 오면 됩니다.


마제스펙터 프로그

말림패이긴 하지만 이 카드를 들고 말린 거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보통 말렸다는 것은 전개파츠 대신 패트랩만 많이 잡은 것일 텐데 프로그일소 템피스트 세트 패에 패트랩 4장인 채로 엔드를 하면 웬만하면 턴을 버틸만 합니다. 보통 전개 때에는 드라코로 덱에서 특소하는 카드입니다.


조급한 토마

스몰월드 루트 때문에 넣은 카드입니다. 드롤을 넣어도 되긴 하나 드롤은 약간 패트랩으로도 애매하고 증g 케어용으로도 애매하고 공격권이나 전개요원으로는 더 애매해서 그냥 토마 넣고 공격권 같은 느낌으로 쓰려고 넣었습니다.


3-2. 엑스트라 덱 카드들 설명

가십 섀도우

저점용이자 초반 전개 때 빠르게 세우며 상대 견제를 막기 위한 카드입니다. 마듀의 경우엔 베이고맥스가 무제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나 오프의 경우엔 보통 저점용으로만 쓰이는 카드입니다.


마제스펙터 드라코

기존 바람gs에서 마제파츠를 투입할 수 있게 해준 카드입니다. 조건이 까다로우나 아우로라돈과 마하고 이타를 이용해 마제 기믹을 끌어옵니다. 


gom건

바람gs라는 덱이 스피드로이드를 적극 활용하는 가장 큰 이유를 담당하는 카드입니다. 다른 바람속성 테마들을 보면 기믹 연결을 할 방법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 gom건은 기믹 연결이 간편합니다. 심지어 덱에서 2장까지 끌어올 수 있기 때문에 즈루를 제외하고 다이스와 전전대공을 끌어오면 레벨 조정을 하는 그런 전개를 할 수 있습니다.


환상수기 아우로라돈

뭐...다들 아실 거라 생각합니다. 이 카드 덕분에 효과를 쓴 gom건을 필드에서 치울 수 있고 손쉽게 개체수를 늘리며 5레벨 싱크로 할 수 있습니다. 링크마커도 2개나 밑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펜소하기도 좋습니다.


코르크10

단순히 개체수 증가를 해주는 카드라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카드가 중요한 진짜 이유는 다이스로 레벨 조정이 가능한 튜너라는 점입니다. 바람gs 정석적인 전개를 보면 다이스와 전전대공 이외에 따로 덱에서 끌어오는 스피드로이드 파츠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만약 코르크10이 없다면 다이스는 레벨을 조정할 튜너가 없다는 겁니다. 그래서 이 카드가 중요한 카드인 겁니다.


즈루

보통 gom건 코스트로 제외합니다. 솔직히 그게 다에요...


마하고 이타

원래는 단순히 필드에 개체수 증가를 해주는 카드였으나 이번에 드라코를 투입하게 되며 특정 전개에서 굉장히 재밌는 플레이를 보여주는 카드가 됐습니다. 그 때문에 마하고 이타 효과 타이밍을 정확히 알아야 하며 필드에 카드들의 래벨 증가를 고려해 가며 레벨을 조정해야 합니다. 상당히 까다로우며 덱의 난이도를 올려주는 카드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숙련도가 높으면 높을 수록 더 참신한 플레이들이 나올 거 같습니다. 그리고 이 카드는자신 필드 뿐만 아니라 상대 필드 레벨까지 건드리기 때문에 레벨 조정이 까다로운 덱 상대로는 그냥 필드에 꺼내두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찬바라이더

자원회수와 빠른 킬각을 위해 넣었습니다. 보통은 후공에 돌파할 때 쓰고 선공 때 전개하고 턴을 받은 뒤 킬각을 재거나 제외된 자원을 회수할 때 씁니다. 


쥬쥬

돌파할 때 빠르게 꺼내서 상대 퍼미션을 뺄 수 있고 버틸 때도 쓸 수 있으며 전개에도 쓰이는 카드입니다. 코스트로 묘지를 제외하나 이 덱은 사이저스나 찬바라이더, 셴셴 등을 이용해 제외된 카드도 쓸 수 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제외할 수도 있습니다.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저점으로 세울 수도 있고 라이더로 분리하면서 세울 수도 있습니다. 필드에 카드들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를 보통 막으며 록스의 효과를 일부러 막아 파괴한 후 록스를 펜존에 놓는 플레이도 할 수 있습니다


사운드워리어 록스

위에 있던 설명을 마저 이어 하자면 이 카드의 펜듈럼 효과를 보면 됩니다. 효과는 상대가 공격을 할 때 그 공격하는 카드와 펜존의 이 카드를 같이 파괴하는 겁니다. 의외의 정보의 불균형이어서 당하는 상대가 꽤 많습니다. 그리고 이게 턴제가 없기 때문에 리단 같은 카드가 피한 다음 다른 카드로 공격해도 파괴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상대가 알고 있다 하더라도섣불리 공격을 못하게 되니 플레이를 억제하는데 좋은 효과입니다. 보통 상대가 아제우스 각을 잴 때 쓰는 플랜입니다. 그리고 록스 자체를 말하자면 초반 전개 때 중요한 역할을 해주며 상대 턴에 라이더를 분리하면서 나와 엑덱의 후속 패로 들고 오는 카드입니다.


액스더

묘지의 다이스나 오라이온을 살리며 추가 전개를 위해 넣은 카드입니다. 다이스와 같이 셴셴을 뽑기 좋으며 마하고 이타 효과를 썼을 경우 다이스와 같이 라이더를 뽑기 좋습니다.


셴셴

필드 한정 어트렉터입니다. 의외로 까다로워하는 상대가 많으며 장기전에도 좋은 카드입니다. 묘지에서 살아나기도 하고 제외된 자원을 묘지로 보내기도 합니다. 가장 자주 하는 플레이는 셴셴으로 전전대공을 묘지로 되돌리고 전전대공으로 다이스를 소환한 후 묘지의 마하고 이타까지 소환하면서 추가 전개를 하는 것입니다.


바로네스

덱에 있는 유일한 마함 퍼미션입니다. 그만큼 신중하게 써야 됩니다. 특히 다른 건 몰라도 길항의 경우엔 자원이 회수가 안 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3번 효과도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묘지의 자원을 끌어쓰는 플레이를 자주 합니다.


cw/hsr 라이더

자원 회수, 비대상 파괴, 상대 턴에 분리하면서 퍼미션 보충과 후속마련까지 뭐하나 빼먹을 효과가 없는 라이더입니다. 순수스피드로이드의 경우엔 상대 턴에 분리했다가 무명자를 맞아 그대로 망할 수 있어 초반에 세우는 편이 아니지만 이 덱은 전개에 자원을 많이 쓰고 어차피 결과물에 셴셴이 있어서 라이더에 찍힐 무명자를 걱정할 필요가 없기에 초반 전개 결과물에 세우고 전개에 쓴 자원을 회수하고 있습니다. 상대 턴에는 분리를 해서 록스와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을 뽑습니다.


4. 전개법

1} 패가 디제이스 디제이스일 경우

1) 디제이스 일소 후 디제이스 효과로 사이저스 세트

2) 패의 디제이스 펜 세팅

3) 디제이스 펜 효과로 사이저스를 뒤집고 사이저스 효과로 기타스를 서치한 후 펜존의 디제이스 특소

4) 디제이스와 디제이스로 gom건 특소

5) gom건 효과로 즈루 제외 후 빨간 눈의 다이스나 전전대공 서치

6) 기타스 펜 세팅

7)  기타스로 서치한 카드 버리고 기타리스 특소

8) 사이저스와 기타리스로 록스 특소 후 록스 효과로 엑덱의 기타리스 패로

9) 기타리스 펜 세팅

10) 엑덱의 디제이스 2개 펜소

11) 디제이스 2개로 마제스펙터 드라코 특소

12) gom건과 록스로 아우로라돈 특소 후 아우로라돈 효과로 토큰 특소

13) 아우로라돈 효과로 자신과 토큰 릴리스하고 오라이온 특소 후 드라코 엑시즈 소재인 디제이스를 묘지로 보내며 프로그 특소 그 후 프로그로 마제스펙터 템피스트 세트

기본 필드 완성


2} 패가 디제이스 사이저스일 경우

1) 사이저스 세트

2) 디제이스 펜 세팅

3) 디제이스 펜 효과로 사이저스를 뒤집고 사이저스 효과로 디제이스를 서치한 후 펜존의 디제이스 특소 그 후 특소된 디제이스 효과로 사이저스 세트

4) 디제이스 펜 세팅

5) 디제이스 펜 효과로 사이저스를 뒤집고 사이저스 효과로 기타스 서치

6) 기타스 펜 세팅

7) 디제이스랑 사이저스로 gom건 특소

8) gom건으로 즈루 제외 후 빨간 눈의 다이스나 전전대공 서치

9) 기타스로 서치한 카드 버리고 기타리스 특소 후 기타리스 효과로 펜존의 디제이스 패로

10) 사이저스와 기타리스로 록스 특소 후 록스 효과로 엑덱의 기타리스 패로

11) 기타리스 펜 세팅

12) 엑덱의 디제이스와 패의 디제이스 펜소

13) 디제이스 두개로 마제스펙터 드라코 특소

14) gom건과 록스로 아우로라돈 특소 후 아우로라돈 효과로 토큰 특소

15) 아우로라돈 효과로 자신과 토큰 릴리스하고 오라이온 특소 후 드라코 엑시즈 소재인 디제이스를 묘지로 보내며 프로그 특소 그 후 프로그로 마제스펙터 템피스트 세트

기본 필드 완성


3} 패가 기타리스, 디제이스일 경우

1) 디제이스 일소 후 디제이스 효과로 사이저스 세트

2) 기타리스 펜 세팅

3) 기타리스 펜 효과로 기타리스와 디제이스 패로

4) 디제이스 펜 세팅

5) 디제이스 펜 효과로 사이저스를 뒤집고 사이저스 효과로 기타스를 서치한 후 펜존의 디제이스 특소

6) 기타스 팬 세팅

7) 디제이스 사이저스로 gom건 특소

8) gom건으로 즈루 제외 후 빨간 눈의 다이스나 전전대공 서치

9) 기타스로 서치한 카드 버리고 디제이스 특소

10) 디제이스와 gom건으로 아우로라돈 특소 후 아우로라돈 효과로 토큰 특소

11) 기타리스 펜 세팅

12) 엑덱의 디제이스 2개 펜소

13) 디제이스 2개로 마제스펙터 드라코 특소

14) 아우로라돈 효과로 자신과 토큰 릴리스하고 오라이온 특소 후 드라코 엑시즈 소재인 디제이스를 묘지로 보내며 프로그 특소 그 후 프로그로 마제스펙터 템피스트 세트

기본필드 완성


4} 패가 기타스, 패 코스트 1장, 3렙 튜너일 경우

1) 기타스 펜 세팅

2) 기타스로 패 코스트 1장 버리고 덱에서 디제이스 특소 후 디제이스 효과로 사이저스 세트

3) 3렙 튜너 패트랩 일소

4) 디제이스와 3렙 튜너로 록스 특소 후 록스 효과로 엑덱의 디제이스 패로

5) 디제이스 펜 세팅

6) 디제이스 효과로 사이저스 뒤집은 후 사이저스 효과로 덱에서 기타리스 패로 그 후 펜존의 디제이스 특소

7) 디제이스와 록스로 gom건 특소

8) gom건으로 즈루 제외 후 빨간 눈의 다이스나 전전대공 서치

9) 기타리스 펜 세팅

10) 엑덱의 디제이스와 서치한 카드 펜소

11) 디제이스와 사이저스로 마제스펙터 드라코 특소

12) 서치했던 카드와 gom건으로 아우로라돈 특소 후 아우로라돈 효과로 토큰 특소

13) 아우로라돈 효과로 자신과 토큰 릴리스하고 오라이온 특소 후 드라코 엑시즈 소재인 사이저스를 묘지로 보내며 프로그 특소 그 후 프로그로 마제스펙터 템피스트 세트

기본필드 완성


*기본필드 전개법

1) 토큰2개와 오라이온으로 액스더 특소 후 액스더 효과와 오라이온 효과로 묘지의 다이스와 토큰 특소(액스더를 엑스트라 존에 특소)

2) 다이스와 프로그로 마하고 이타 특소

3) 묘지의 전전대공 효과로 다이스 특소 후 다이스로 마하고 이타 레벨2

4) 다이스와 마하고 이타로 코르크10 특소 후 코르크10 효과로 묘지의 다이스와 마하고 이타 특소 그 후 다이스 효과로 코르크10 레벨5

5) 코르크10과 마하고 이타로 바로네스 특소

6) 묘지의 마하고 이타 효과로 마하고 이타 특소

7) 마하고 이타, 다이스, 토큰으로 셴셴 특소

8) 바로네스 효과로 펜존의 기타리스 파괴

9) 묘지의 사이저스 효과로 제외된 기타리스 특소

10) 기타리스와 액스더로 cw/hsr라이더 특소


5} 패가 기타스 디제이스일 경우

1) 기타스 펜 세팅

2) 기타스로 디제이스 버린 후 기타리스 특소 그 후 기타리스 효과로 기타스 패로

3) 기타스 일소 후 효과로 묘지의 디제이스 특소 그 후 디제이스 효과로 사이저스 세트

4) 디제이스와 기타리스로 록스 특소 후 록스 효과로 엑덱의 디제이스 패로

5) 디제이스 펜 세팅

6) 디제이스 펜 효과로 사이저스를 뒤집고 사이저스 효과로 기타리스를 서치

7) 록스와 기타스로 gom건 특소

8) gom건으로 즈루 제외 후 빨간 눈의 다이스나 전전대공 서치

9) 기타리스 펜 세팅

10) 엑덱의 기타리스와 록스 패의 서치한 카드 펜소

11) 필드에 사이저스 효과로 필드에 기타리스 효과 복사 후 펜존의 디제이스 특소

12) 기타리스와 록스로 바로네스 특소

13) 디제이스와 사이저스로 마제스펙터 드라코 특소

14) gom건과 서치했던 카드로 아우로라돈 특소 후 아우로라돈 효과로 토큰 특소

15) 아우로라돈 효과로 자신과 토큰 릴리스하고 오라이온 특소

16) 토큰과 오라이온으로 마하고 이타 특소

17) 묘지의 전전대공 효과로 묘지의 빨간 눈의 다이스 특소 후 다이스 효과로 마하고 이타 레벨2

18) 마하고 이타와 다이스로 코르크10 특소 후 코르크10 효과로 묘지의 마하고 이타와 다이스 특소 그 후 다이스로 마하고 이타 레벨4

19) 마하고 이타와 토큰과 다이스로 액스더 특소 후 액스더 효과로 묘지의 다이스 특소 그 후 다이스로 코르크10 레벨 4

20) 묘지의 마하고 이타 효과로 마하고 이타 특소

21) 마하고 이타 효과로 자기 자신 릴리스 후 드라코 효과로 엑시즈 소재인 디제이스 묘지로 보내며 프로그 특소 그 후 프로그 효과로 템피스트 세트

22) 빨간 눈의 다이스와 액스더로 cw/hsr라이더 특소

23) 코르크10과 프로그로 셴셴 특소


베이고맥스를 활용한 전개법까지도 있으나 그건 어차피 위의 전개법에서 파생 됐다고 보면 되기 때문에 굳이 안 쓰도록 하겠습니다.


5. 마치며...

힘들게 만든 덱입니다... 연구도 열심히 했고 신지원이 나올 때마다 활용해보려 했었습니다. 이번에 많은 사람들이 알아주면 좋을 거 같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질문해주신다면 세부적으로 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