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ㅁ..."




"멈춰!"




"멈춰라!"




"이 죽음의 다리를 건너려는 자는 3가지 질문에 답을 해야 한다."




"그대는 누구인가?"



"마듀 유입 유저인데요"




"선호하는 종족은?"



"흠... 종족은 모르겠고 첩자 덱을 하긴 한다만"




"인법 낙엽무에서 [낙엽]은 흔히 '낙엽이 떨어진다.', '떨어진 낙엽' 등의 표현이 존재하는데 해당 표기가 잘못된 이유는?"



"ㅅㅂ 뭔 그런 쌩뚱맞은 질문을"




"?"




"으아아아아악!"




"[쌩뚱맞다]가 아니라 [생뚱맞다]다."





"뭐야? 별것도 아니네!"



"""?"""




"이 죽음의 다리를 건너려는 자는 3가지 질문에 답을 해야 한다."




"수문장이여, 어서 질문하시오. 난 두렵지 않소!"




"그대는 누구인가?"



"신 마스터 룰 유입 유저이올시다."




"선호하는 종족은?"



"드래곤"




"......"




"... [드래곤]은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드래건]이 옳은 표현이다.


다음 카드에서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올바른 한글 표기가 표기된 것을 고르시오. 다만 여기서 [드래곤]의 표기는 예외로 한다."


1. 슈팅 퀘이사 드래곤

2. 궁극 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3. 앤틱기어 가젤 드래곤

4. 스노우더스트 드래곤

5. 트와일라이트 트윈 드래곤



"... 다 맞는거 아닌가?"




"유끼야아아아아앙아아악!!!!!!"





"그대는 누구인가?"



"8기 시절부터 입문한 오프라인 유저입니다."




"선호하는 종족은?"



"비행야수족"




"유희왕에는 행운을 알리는 올빼미오버레이 부엉이의 두 몬스터를 통해 두 단어가 전부 존재한다. 그렇다면 여기서 '부엉이'와 '올빼미'의 관련 정보 중 옳은 것을 전부 고르시오. '전체 정답' 또는 '없음'도 상관없네"


1.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종은 회갈색올빼미(Korean Wood Owl)이지만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목록의 이미지로 사용되고 있는 종은 황갈색올빼미(Tawny owl)이다.


2. 일본어에서 부엉이[ミミズク](~ズク) 올빼미[フクロウ](~フクロウ)로 구분한다.


3. 올빼미, 부엉이의 종 차이보다 올빼미가면올빼미의 종 차이가 더 크다.


4. 영어권에서는 올빼미부엉이를 구분하지 않고 [Owl]로 통일하지만 프랑스어만 [hibou](부엉이), [chouette](올빼미), [Strigiformes](분류학 학명)으로 나누어 부른다.


5. 영어권에서 수리부엉이는 유라시아종은 [Eagle Owl], 아메리카대륙종은 [Horned Owl]로 구분한다.




"정답은 1, 3, 4, 5다!


2번의 정보대로 일본에서 부엉이는 [~ズク](~즈쿠) 올빼미는 [~フクロウ](~후쿠로)로 구분하지만, 예외적으로 솔부엉이는 [アオバズク](아오바즈쿠)로 부르고 있지.


3번은 올빼미, 부엉이는 전부 올빼미목 > 올빼밋과에 와서야 올빼미속, 수리부엉이속, 소쩍새속 등등으로 나누어지지만, 가면올빼미올빼미속 > 가면부엉잇과 > 가면부엉이속으로 나누어지기 때문이지."




"다음은 트라이브리게이드 에어본의 효과 전문이다. 해당 예문에서 틀린 부분을 현행 맞춤법에 맞도록 수정하시오.


다만 카드군, 종족 표기, 카드명, 1턴의 표기은 예외로 한다."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자신 필드의 야수족 / 야수전사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이하로 종족이 다른 야수족 / 야수전사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덱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턴 종료시까지 무효화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링크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어 '턴 종료시까지 무효화된다.'에서 [무효화된다.]한자어 접미사이기 때문에 순화하여 [무효가 된다.]라고 쓰거나 또는 [무효로 한다.]라는 능동형으로 고쳐쓰는게 맞아!"




"...그게 끝?"



"네?"




"호옹이!!!!!!!!!!"




"그대는 누구인가?"



"나는 지금부터 입문할 뉴비다."




"호오... 선호하는 종족은?"



"그런 거 없다."



"..."




"... 다음 카드에 사용된 단어를 치환한 것 중 '어문 규범 - 외래어 표기법'과 차이 나는 것은?"


1. 사이버 [다이노소어] > [다이너소어]

2. 보옥수 앰버 [맘모] > [매머드]

3. [프록시] F 매지션 > [프락시]

4. [패러렐]엑시드 > [패레럴]

5. 영혼의 공유-[커먼] 소울 > [커몬]




"정답은 1, 4, 5다.


[다이노소어]가 아니라 [디노사우르]

[패러렐]이 아니라 [패럴렐]

[커먼]이 아니라 [코먼]이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표기지"




"다음 카드의 이름/효과대치어의 형태가 알맞게 짝지어진 개수는?"


1.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 [히마리] 

2. 구경거리 고블린 [뒤치다꺼리]

3. 괴짜 얼룩말 [일찍]

4. 인스펙트보더: (효과의 횟수가) [꼭짓점]

5. 경량화 [칼로리량]




"3개"




"틀렸다! 정답은 '2번, 3번'으로 2개다!"




"... 무슨 소리를 하는 거지?


4번 [횟수]는 기본적으로 한자어+한자어는 사이시옷이 적용되지 않지만 예외로 6단어에 한정해서 사이시옷이 적용되는데 [횟수]는 그 예외에 들어가는 단어다. 그러니 사이시옷이 적용된 다른 예시인 [꼭짓점]과 알맞게 짝지어진다고 할 수 있지. 



그리고 [일찍]라는 단어는 1988년 맞춤법 개정 이전에는 [일찌기]에서 'ㅣ가 탈락하면서 생긴 단어'라고 생각했지만, 맞춤법 개정을 통해 [일찍+이]의 형태로 분석하여 [일찍이]라는 표현이 표준어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얼루기][얼룩+이]가 될 수 없지.


이는 '~하다.' 또는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되는 경우는 원형을 밝혀야 하지만 '~하다.' 또는 '~거리다.'가 붙을 수 없는 단어에 '~이'또는 다른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원형을 밝히지 않기 때문이지.


[얼루기]는 당연히 '얼룩하다.', '얼룩거리다.' 같은 단어가 될 수 없으니 [얼루기]가 옳은 표현ㅇ"




"그만...! 그만...!"




"크아악 수치심이!!!!!!!!!"




"다 듣지도 않고 내려가네... 출제자녀석 [히마리]'힘+아리'의 형태인 전남 방언인걸 몰랐나봅니다."



"...2, 4, 5가 답 아닌가? [히마리]는 블루아카 캐릭터 아님?"



"?"




"으아아아아아악!!!!!"






답안이 나오지 않은 문제의 해설


(1)

"인법 낙엽무에서 [낙엽]은 흔히 '낙엽이 떨어진다.', '떨어진 낙엽' 등의 표현이 존재하는데 해당 표기가 잘못된 이유는?"


정답: [낙엽][落](떨어질 낙)[葉](잎 엽)의 한자가 합쳐진 단어이며 '잎이 떨어지는 현상', '떨어진 잎'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낙엽이 떨어진다.' 보다는 '잎이 떨어진다.' 혹은 '낙엽이 진다.', '떨어진 낙엽' 보다는 '낙엽', '떨어진 잎'이 자연스럽다.



(2)

다음 카드에서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올바른 한글 표기가 표기된 것을 고르시오 다만 여기서 [드래곤]의 표기는 예외로 한다."


1. 슈팅 퀘이사 드래곤

2. 궁극 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3. 앤틱기어 가젤 드래곤

4. 스노우더스트 드래곤

5. 트와일라이트 트윈 드래곤


정답: 1, 5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레인보우 > 레인보

앤틱 > 앤티크

스노우 > 스노가 옳은 표기이다.



(3)

다음은 트라이브리게이드 에어본의 효과 전문이다. 해당 예문에서 틀린 부분을 현행 맞춤법에 맞도록 수정하시오.


다만 카드군, 종족 표기, 카드명, 1턴의 표기은 예외로 한다."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자신 필드의 야수족 / 야수전사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이하로 종족이 다른 야수족 / 야수전사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덱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턴 종료시까지 무효화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링크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턴 종료시까지]에서 동작 명사 뒤에 붙는 ''는 의존명사로 보아서 띄어서 써야한다.

또한 ''는 순화어로 ''가 존재한다.

[무효화된다.]에서 ''는 한자어 접미사이기 때문에 순화하여 [무효가 된다.]라고 쓰거나 또는 [무효로 한다.]라는 능동형으로 고쳐써야한다.



(4)

"다음 카드의 이름/효과대치어의 형태가 알맞게 짝지어진 개수는?"


1.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 [히마리] 

2. 구경거리 고블린 [뒤치다꺼리]

3. 괴짜 얼룩말 [일찍]

4. 인스펙트보더: (효과의 횟수가) [꼭짓점]

5. 경량화 [칼로리량]


정답: 1, 2, 4


1. [항아리] [缸](항아리 항) + ~아리, [히마리] [힘] + ~아리

2. [구경거리] [구경] + ~거리, [뒤치다꺼리] [뒤치닥] + ~거리 (뒤치닥거리는 문화어)

3. [얼룩] [얼루기] '[얼룩] + ~이' (다만 원어를 밝히지 않음), [일찍] [일찍이] '[일찍] + ~이' (원어를 밝혀 적음)

4. [횟수] (돌아올 회) + (셀 수) (사이시옷 적용), [꼭짓점] [꼭지] + [점] (사이시옷 적용)

5. [경량] (가벼울 경) + (헤아릴 량) (한자어가 앞에 올 때는 두음법칙 미적용), [칼로리양] [calorie](칼로리) + (헤아릴 량) (외래어 또는 고유어가 앞에 올 때는 두음법칙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