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낙동강하구에서의 고니

최근 수정 시각:

1. 개요2. 고니 기본정보3. 상세4. 고니가 사하구에 끼친 영향5. 낙동강하구 고니 자료
5.1.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5.2. 학술자료5.3. 영상
6. 캐릭터

1. 개요 [편집]

낙동강하구에서의 고니를 설명하는 문서.

2. 고니 기본정보 [편집]

  • 자세한 내용은 고니 문서를 참고.
고니는 백조로도 잘 알려져있는 물새로 큰고니, 고니가 매년 겨울마다 시베리아에서 한국으로 와 월동하고 다시 북쪽으로 올라간다. 고니는 경남인 낙동강하구 지역에서 고니, 백조, 백고이, 고이 등으로 불린다.

3. 상세 [편집]

낙동강하구철새도래지는 대한민국 최대 고니 월동지로서 특히 을숙도에서는 수많은 고니가 찾아오며 낙동강 하구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는 을숙도의 대표적인 상징 새이다.

4. 고니가 사하구에 끼친 영향 [편집]

을숙도는 원래 김해군 대저읍이였지만 사하구에 편입되며 을숙도의 대표 새인 고니를 사하구의 구조로 하였고 사하구의 구(區)상징 마크도 고니의 형상을 담아 만들었으며 사하구 마스코트 고우니도 고니에서 따와 만들어진 캐릭터로 사하구는 고니의 상징이다. 고니는 낙동강하구지역에 오는데 사하구와 함께 강서구에도 많이 찾아온다. 다만 강서구의 마스코트, 구조는 청둥오리로 고니보다는 청둥오리가 상징에 가깝다.

5. 낙동강하구 고니 자료 [편집]

5.1.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 [편집]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은 부산연구원이 매년마다 낙동강하구 철새도래지 일원 및 서낙동강 일원의 무기환경, 생물환경, 사회환경 등을[1]
조사하여 관찰하는 사업으로 2003년부터 매년 시행(3년마다 종합조사)하여 현재 제 20차 연구 중에까지 이르고 있다. #에서 통계를 보거니 요약보고서를 다운받을 수 있다.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 조류조사에서는 고니의 개체수를 볼 수 있다.

5.2. 학술자료 [편집]

5.3. 영상 [편집]

6. 캐릭터 [편집]



사하구의 마스코트인 고우니다. 고우니는 구청 청사, 포스터, 쓰레기통, 책자 등 생활하는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사하구청 홈페이지의 고우니 캐릭터 설명
- 선의 여백과 간결함으로 한국적인 미를 나타낸 고니이다.
- 부드러운 라인은 고니의 우아함을 나타내고 화려하고 밝은 컬러는 사하구의 역동성을 표현하였다.
- 날개를 이루는 네 개의 선은 사하구의 대표적인 자연경관인 낙조, 낙동강 하구, 을숙도, 승학산 억새 등을 상징함과 동시에 미래를 향한 사하구의 힘찬 비젼을 상징한다.
사하구청 홈페이지의 고우니 로고 설명
- 고우니 : 곱다, 고운 고니, 고운 사람의 의미를 내포한다.
- 고니의 목에서 느껴지는 곡선을 가미하였다. 경쾌한 세 가지의 색은 진취적인 발전상과 역동성을 의미한다.
- 캐릭터와 동일한 색상을 사용함으로써 둘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냈다.

낙동강하구에코센터의 마스코트인 을숙이는 고니를 본따 만든 캐릭터다.
[1] 종합조사 시 추가항목은 토양, 식생·식물상, 어류, 저서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