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부여군

최근 수정 시각:

충청남도자치군
부여군
扶餘郡
Buyeo County
군청 소재지
부여읍 사비로 33 (동남리)
광역자치단체
하위 행정구역
1읍 15면
면적
624.53㎢
인구
65,039명[1]
인구밀도
105.06명/㎢
군수
박정현(朴政賢)[2]
지역번호
041

1. 개요2. 역사3. 교통
3.1. 도로3.2. 버스
4. 교육5. 행정
5.1. 舊 부여군
5.1.1. 부여읍5.1.2. 규암면5.1.3. 은산면5.1.4. 초촌면
5.2. 舊 석성군
5.2.1. 석성면
5.3. 舊 홍산군
5.3.1. 홍산면5.3.2. 구룡면5.3.3. 남면5.3.4. 내산면5.3.5. 옥산면5.3.6. 외산면
5.4. 舊 임천군
5.4.1. 세도면5.4.2. 양화면5.4.3. 임천면5.4.4. 장암면5.4.5. 충화면
6. 관광

1. 개요 [편집]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군. 동쪽으로 논산시, 서쪽으로 보령시서천군, 북쪽으로 청양군공주시, 남쪽으로 전라북도 익산시, 군산시와 접한다. 백제의 수도였던 사비가 있었기에 백제문화단지,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이 지역에 있다.

2. 역사 [편집]

538년 백제의 성왕 시대에 웅진에서 천도하여 마지막 군주인 의자왕 때에 멸망하기는 660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1914년에는 부여군[3], 홍산군(鴻山郡)[4], 임천군(林川郡)[5], 석성군(石城郡)[6]의 일부를 합쳐 부여군(扶餘郡)이 되었다.

3. 교통 [편집]

3.1. 도로 [편집]

서천공주고속도로가 지나가며 부여IC와 서부여IC가 있다. 국도는 4번 국도, 29번 국도, 40번 국도가 지나간다.

3.2. 버스 [편집]

부여군의 군내버스로는 부여군 농어촌버스가 있고, 부여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탈 수 있지만, 고속버스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4. 교육 [편집]

5. 행정 [편집]

5.1. 舊 부여군 [편집]

5.1.1. 부여읍 [편집]

부여중앙시장, 궁남지, 부소산성, 부여시외버스터미널이 위치해있다. 뿐만 아니라 군청, 경찰서 등도 있다. 금강이 흐르며 부여대교가 있다.

5.1.2. 규암면 [편집]

KGC인삼공사의 고려인삼창부여공장, 인삼박물관, 부여종합운동장, 백제문화단지가 있다.

5.1.3. 은산면 [편집]

서천공주고속도로의 부여IC가 위치해 있다.

5.1.4. 초촌면 [편집]

5.2. 舊 석성군 [편집]

5.2.1. 석성면 [편집]

5.3. 舊 홍산군 [편집]

5.3.1. 홍산면 [편집]

서천공주고속도로의 서부여IC가 위치해 있다.

5.3.2. 구룡면 [편집]

5.3.3. 남면 [편집]

5.3.4. 내산면 [편집]

5.3.5. 옥산면 [편집]

5.3.6. 외산면 [편집]

충청 대망론의 주자였고, 前 국무총리 등을 역임했던 故 김종필이 외산면 반교리 출생이다. 2018년에 사망하여 그의 묘소 또한 반교리에 있다.

5.4. 舊 임천군 [편집]

5.4.1. 세도면 [편집]

5.4.2. 양화면 [편집]

5.4.3. 임천면 [편집]

5.4.4. 장암면 [편집]

5.4.5. 충화면 [편집]

6. 관광 [편집]

  • 가림성
  • 국립부여박물관
  • 궁남지
  • 낙화암
  • 백마강
  • 백제문화단지
  • 부소산성
  • 부여왕릉원
  • 정림사지
등등
[1] 2021년 2월 주민등록인구[2] 더불어민주당, 재선[3] 부여읍, 규암면, 은산면, 초촌면[4] 홍산면, 내산면, 구룡면, 남면, 옥산면, 외산면[5] 충화면, 양화면, 임천면, 장암면, 세도면[6] 석성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