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행정구역 경계는 GADM, 배경 지도는 Google Earth, 도시 인구는 citypopulation.de (시는 가도 인구 합계) 에서 가져옴


이번 그림은 중국의 자치구 중 가장 인구가 많지만 뭔가 존재감이 없는 광시를 그려보았습니다


면적 23만 km²로 한반도보다 조금 넓은 광시는 중국의 소수민족 자치구 중에선 중국 영토로 편입된 역사가 긴 편인데, 진나라 때 처음으로 군이 설치되었고 '廣'이란 명칭은 삼국시대 때 오나라가 옆동네 광둥에 광주(廣州)를 설치하면서 처음 등장. 광시성(廣西省)은 명나라 때 설치되었고, 1958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소수민족 인구가 많은 광시성을 자치구로 바꾸면서 지금에 이르게 됨. 물론 행정구역 설치의 역사는 오래되었으나 남쪽 끝에 위치한 산악 지대라 중앙의 힘이 잘 닿는 곳은 아니었고 역사적으로 보면 반란이 잦은 지역이었다고.


자치구는 중국 남부를 가로지르는 산악 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최고봉인 마오얼산(猫兒山)의 높이는 해발 2,141m. 산맥이 아주 높지는 않지만 자치구 대부분 지역이 카르스트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높고 가파른 산들과 깊은 계곡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풍경으로 유명한 지역. 가장 유명한 관광지로 산수가 유명한 구이린(桂林)이 있는데 저는 안 가봄.. 지형은 전반적으로 북고남저의 형세이고, 위 지도에서 인구 5만 넘는 진들 표시해 놓은 것을 봐도 비교적 해발고도가 낮은 남쪽 지역에 사람들이 많이 사는 걸 체감 가능.



(클릭하면 커짐) 북회귀선이 자치구 중앙을 지나가는데 아무래도 산지대라 그런지 겨울은 위도에 비해선 좀 추운 것 같기도



자치구의 인구는 4,900만 명으로 남한과 얼추 비슷하고, 2010년 기준으로 도시화율은 40.0%로 높은 편은 아니었음. 위의 지도에서 동남쪽에 인구 5만 넘는 진(鎭)들이 빼곡한 것을 보면 얼핏 보이지만 인구밀도는 동남쪽이 높고 서북쪽이 낮은 모양. 자치구내에서 가장 큰 도시는 성도 난닝(南寧)이었고, 류저우(柳州)와 아마 인지도는 가장 높을 구이린이 그 뒤를 이었음.




2010년 기준 광시좡족자치구 인구 중 62.8%는 한족, 31.4%는 좡족, 5.8%는 기타 소수민족으로 자치구 치고는 한족 인구의 비율이 압도적인 편. 성도 난닝을 비롯해 서북쪽 지역은 좡족 인구가 많지만 동남쪽 지역은 한족 인구가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위의 지도에도 보이다시피 인구밀도는 동남쪽 지역이 훨씬 높아서... 그 외에 자치구 북쪽의 산악 지역에는 야오족, 먀오족, 둥족과 같은 다른 소수민족들도 거주하고 있음.


좡족은 동북아시아에서 한족, 일본인, 한국인에 이어 네 번째로 인구수가 많은 민족으로 중국 내에서는 가장 많은 소수민족임. 다만 인구규모에 비해 존재감이 심히 없는데 아무래도 우리나라에서 먼 중국 서남부에 거주하고, 유명한 국가를 세운 적도 없고, 또 중국 정부와 특별히 분쟁을 겪는 것도 아니라 그런 듯. 사실 타이계 민족인 좡족은 좀 더 고지대에 거주하는 소수민족들과 비교했을 때 문화적으론 한족화가 상당히 진행된 편이었고, 좡족이라는 정체성도 50년대 민족식별작업 이후에야 확고하게 자리잡은 모양.


언어의 경우 05년의 조사에 의하면 인구의 49.9%는 서남관화(西南官話: 중국 서남부에서 쓰이는 방언), 49.7%는 보통화(普通話: 표준중국어), 45.5%는 좡어를 사용한다고 조사되었음: 으외로 좡족 인구보다 좡족 구사자 비율이 더 높음. 그 외에는 광동어 방언들이나 광서평화(廣西平話: 중국어 남방 방언의 한 갈래), 야오어처럼 다른 소수민족 언어를 사용하는 비율이 30.8%였다고.


좡어는 중국 위안화에 중국어, 몽골어, 위구르어, 티베트어와 함께 적혀 있는 5가지 언어 중 하나인데 j, q, x, z 같은 글자를 성조표기하는 데 써서 저처럼 모르는 사람이 보면 뭔가 당황스런 느낌 ㅋㅋ; 실제 좡어의 하위 '방언'들끼리는 서로 통하지 않고, 소통을 위한 언어로는 표준 좡어가 아닌 중국어가 사용되다 보니 입말 말고 공식적인 언어로는 사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모양. 이 때문에 중국어 위백에 의하면 차라리 옛날처럼 라틴 문자가 아니라 방언차이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한자를 사용해 좡어를 표기하는 게 낫지 않냐는 의견도 있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