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현 단위는 전부 한자화된 지명으로 굳어지긴 했는데

마을 이름은 (뇌피셜이지만) 조선시대에도 순우리말 지명이 많이 남아있었을거 같거든


물론 읍지에 마을 이름이 한자로 기록되어 있긴 하지만

일본이 大阪라 쓰고 훈독으로 오사카라고 읽는거처럼

한국도 많은 지명이 음독이 아니라 훈독했을거 같거든 (마찬가지로 뇌피셜)


그게 맞다면

지금 법정리 단위까지 한자 지명화된 이유에는

리 단위까지 통합한 부군면 통폐합이 결정적인 이유라고 생각하거든

파딱군 주딱면 밑에 나무마을 위키마을 고닥마을 등등이 있었는데 이들 마을을 하나로 묶는 都地리가 생기면서

나무마을 주민들은 도지리라는 한자 지명을 새로 접했을거고

행정, 주소체계에서는 나무마을은 안쓰이고 도지리라는 지명만 쓰이면서 점차 도지리라는 지명이 보편화되었을거 같음(역시 뇌피셜)


만약 여러 자연마을을 하나로 묶는 상위 행정체계로서의 한자화된 지명인 법정리가 없었고

단순히 나무마을->목리, 위키마을->백과리, 고닥마을->뇌절리 같이

자연마을을 전부 한자화하는 작업을 했다고 하면

지역 주민 입장에서 한자화된 지명이 쉽게 정착될 수 있었을까? 싶음


뇌피셜의 결론은

부군면 통폐합으로 순우리말의 자연마을이

하나의 한자지명으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한자지명의 정착이 더 빠를 수 있었다는 생각


뇌피셜이라고 거듭 강조하고 있으니

반박은 언제나 대환영